'5344억 위안' 중국 네이멍구자치구의 올 1분기 지역총생산(GDP)이다. 한화로 103조 원가량이다. 전년 동기 보다 5%를 웃도는 성장이다. 중국의 성(省)별 경제가 차이를 두고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모습을 회복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위드 코로나' 정책 전환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중국 정부 역시 다양한 재정정책으로 경기 부양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네이멍구자치구 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네이멍구자치구의 국내총생산(GDP)은 5344억 위안(약 103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다. 산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1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173억 위안으로 6.4% 성장했고, 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609억 위안으로 7.4% 성장했다. 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56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했다. 네이멍구자치구의 경제를 좌우하는 원탄 생산량 및 발전량은 1분기에도 중국내 1위를 유지했다. 1분기 네이멍구자치구의 규모이상 공업 기업의 원탄 생산량은 3.12억t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다. 또 1분기 규모이상 공업 기업의 발전량은 1703.8억 킬로와트시(㎾h)로 전 세계 발전량의 8.2%를 차지했다. 이는 중국내
'세계 경제의 22% '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중국이 세계 경제 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할 것이며 그 비중은 미국의 두 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기에는 미묘한 원칙이 담겨져 있다.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오늘날의 지위를 누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과거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은 세계 경제의 50%를 차지하는 경제 대국으로 떠올랐다. 그 이전 글로벌 경제는 미국과 유럽이 양분하는 체제였지만 유럽이 세계대전으로 전장터가 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미국 쪽으로 완전히 기울어지게 됐다. 이후 미국은 금태환 정책 속에 돈을 마구 찍어내다 부도를 냈는데, 오히려 세계는 미국이 찍어낸 종이조각, 즉 달러를 기축통화로 인정해주는 쪽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그 결과 현재의 글로벌 화폐 시스템이 안착됐고, 미국의 달러는 세계의 모든 물건의 가치를 매기는 기준이 됐다. 현재 글로벌 경제에서 미국의 비중은 대략 25% 수준이고 중국은 17% 수준이다. 하지만 달러 중심의 글로벌 화폐 시스템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중국의 위안화가 달러 대비 25대 17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누구도 말하지 못한다. 그런데 이런 경제 상황이 5년 뒤
'3억5000만 건' 지난 3월 중국의 일일 택배 물량이다.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택배는 중국의 경제 활성도를 보는 또 다른 지표다. 최근 중국 경제가 빠르게 온라인 경제로 변신하면서 사람이 이동을 얼마나 하느냐보다 택배량이 얼마나 늘었느냐를 살피는 게 중국 소비 수준을 가늠하는데 더 주효하게 됐다. 간단히 물건의 손바뀜이 그만큼 많았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물건의 손바뀜이 결국 매매요, 무역이요, 생산과 소비의 변화다. 지난 3월 중국의 소비 회복 조짐이 뚜렷해지면서 하루 평균 택배 물량이 3억5000만 건에 달했다. 중국 국가우정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 택배 발전 동향’에 따르면, 3월 중국 택배 발전 지수는 307.7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5% 증가했다. 그 중 발전 규모 지수, 서비스 품질 지수 및 발전 역량 지수는 각각 408.9, 363.8 및 222.9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9%, 19.9% 및 18.8% 증가했다. 택배 시장이 빠른 회복세를 나타냈으며 서비스 품질 및 역량도 대폭 향상됐다. 항목별 지표에 따르면, 3월 택배 업무량의 지난해 동기 대비 증가율은 27.6%, 매출은 23% 증가했다. 특히 3월 한
'9조 8900억 위안' 약 1875조 원으로 올해 1분기 중국의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 대비 5% 가까이 증가했다.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중국 경제가 분명한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1분기 수출입 관련 데이터를 13일 발표했다. 1분기 중국의 화물 무역 수출입 총액은 9조 8900억 위안(약 1875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성장했다. 그 중 수출액은 5조 65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4조 2400억 위안으로 0.2% 성장했다. 수입 대비 수출이 대폭 늘었다. 중국 경제가 고급소비재와 중간재의 자급자족에 성공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공급망 재편으로 중국은 중간재 자급자족에 빠르게 나서는 한편, 글로벌 사회는 여전히 중국의 싼 소비재 공급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더 높아진 셈이다. 결국 미국의 중국 고립 정책은 반대 효과만 극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월별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1월에는 춘절의 영향으로 수출입이 7% 감소했다가 2월에는 8% 성장했으며 3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15.5%까지 증가했다. 1분기 전
'0.7%' 중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폭이다. 경제학에서 보는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은 2% 안팎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5~6%의 고물가를 잡기 위해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린 이유다. 하지만 물가는 낮아도 문제다. 이른바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 때문이다. 중국의 3월 물가 동향은 물론 디플레이션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현재 수치는 경제가 발전하면서 자연히 성장해야 하는 부분이 정체돼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중국 경제가 빠르게 두자릿수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경기의 '일상 회복'과는 거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및 생산자물가지수(PPI)를 11일 발표했다. 신화통신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의 3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했으며 지난달 대비 0.3% 하락했다. 1분기 CPI 상승률은 1.3%로 집계됐다. 중국 당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경제가 일상 회복으로 돌아선 뒤에도 소비 부문은 여전히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통신은 3월 중국 CPI 추이로 볼 때 중국 내수 시장이 여전히 취약함을 알 수
'105만2000대' 지난 3월 중국에서 팔린 중국 브랜드 승용차 숫자다. 전월 대비 20.4%, 전년 동월 대비 16.4%가 늘었다.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본격적인 중국 시장 장악에 나서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한 국가의 산업을 제조업 중심으로 만들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조 중심 국가들 가운데 자동차 산업이 없는 나라가 없다. 미국이 그랬고, 독일과 일본이 그렇다. 한국 역시 빠지지 않는다. 지금도 이들 나라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글로벌 자동차 생산의 대부분을 도맡고 있다. 과거 유럽에서 영국, 프랑스, 스웨덴, 이탈리아 등도 주요 자동차 제조국으로 유명했다. 하지만 조금씩 쇠태했다. 이들 나라의 제조업 전체가 조금씩 쇠퇴한 모습이다. 그만큼 자동차 산업은 한 나라의 경제에 큰 의미가 있다. 중국은 뒤늦게 자동차 산업을 시작하면서 내연기관 차로는 영원히 주요 제조국의 뒤꽁무니만 쫓을 뿐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과감하게 외국 브랜드 제조사에게 시장을 내주면서 자국 업체들은 전기 자동차 개발에 적극 나서도록 지원했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자 시장을 보유하게 됐다. 테슬라가 미국 업체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중국 브랜드 전기
'40억 달러' 약 5조 292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지난 3월 중국 주식형 편드 자금 시장에 유입된 글로벌 자금이다. 중국에 돈이 쏠리고 있다. 미국 은행권의 불안이 계속되는 가운데 주식형 펀드 자금이 미국에서 중국 등 아시아 신흥국 시장으로 이동하는 '머니 무브'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10일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6∼31일 4주간 미국의 주식형 펀드 자금 시장에서 103억 달러(약 13조 5000억 원)가 순유출됐다고 전했다. 같은 기간 신흥국 주식형펀드 시장에는 55억 달러(약 7조 2000억 원)가 순유입됐고, 이 가운데 72.7%인 40억 달러(약 5조 2000억 원)가 중국으로 향했다. 블룸버그는 최근 자금 흐름에 대해 투자자들이 중국과 아시아 신흥국 시장에 대해 미국의 은행권 불안 여파에서 상대적으로 나은 상황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한국을 비롯해 호주, 인도네시아, 인도 등이 기준금리 인상을 잠시 멈추는 등 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통화정책에 변화를 보이는 것도 긍정적 요인이라는 시장 평가가 나온다고 설명했다. 중국 주식 시장의 수익률이 미국 금리 이상을 보장한다는 확신이 글로벌 펀드 케리어들이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7조 6586억 위안' 한화로 약 1469조 원으로 2027년 중국 요식업 규모 예상치다. 식도락은 중국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즐거움 가운데 하나다. 현대 산업 가운데 요식업이 바로 중국인들이 중시하는 식도락을 책임지는 산업이다. 식도락이 중국 전통 문화에서 뿌리가 깊은 만큼 중국의 요식업도 그 뿌리가 깊다. 중국인들은 집에서 요리를 하기보다 대부분이 외식을 즐기는 덕에 요식업 산업의 규모도 크고, 형태도 다양하다. 중국 당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면서 중국 요식업 시장이 빠르게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기업정보 사이트 치차차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올해 1∼3월 자본금 500만 위안(약 9억5000만 원) 미만 중소기업 757만 개가 신규 등록했는데 이 중 10%에 해당하는 75만1000여 개가 요식업체로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요식업체 등록 취소 건수는 전년 동기보다 78.3% 줄어든 5만6000여 건에 불과했다. 7일 중국 현지 매체 러쥐차이징(乐居财经)에 따르면 중국 요식업 시장 규모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4조 6721억 위안(약 896조 원)으로 연간 복합 성장률이 8.6%에 달했다. 하지만 코로나19
'11.6%' 올 1분기 중국 소매 매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중국의 소비 수요가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 중국의 상품 소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6% 늘었다. 중국은 지난해 코로나 봉쇄정책을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경제가 과거의 일상을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다만 기존에 기대됐던 '보복소비' 수준은 아니라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6일 중국 국가세무총국에 따르면 1분기 숙박/음식, 엔터테인먼트, 주민 서비스 등 서비스업이 크게 성장하여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이 각각 22.8%, 13.7%, 9.4%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2019년의 수준을 회복한 것이다. 특히 장기 침체에 빠졌던 부동산 소비가 회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 산업의 1~2월 판매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2.3% 증가했다. 3월에는 더 성장하여 지난해 동기 대비 17.9% 성장했다. 중국 당국은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해 작년부터 규제 완화 등 다양한 부양책을 내놓았다. 이에 지난 2월 70대 도시의 신규 주택 가격지수가 18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이날 열린 중국 국무원
'16% 성장' 올 1분기 중국의 신규 중소기업 등록 수 증가폭이다. 신규 기업이 증가한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의 경제활동이 활성화하고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중국 경제의 방향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말 그대로 흥과 망의 기로에 서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일단 긍정적인 것은 중국 당국이 경제를 짓누르던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바꾸면서 일상의 회복과 함께 경제 활동의 회복도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미중 갈등 속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까지 이어지면서 세계 경제는 과거와 같은 '빅뱅의 확장' 국면에서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국면 전환 중이다. 여기에 공급망 불안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전역의 인플레이션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경기 침체 속 인플레이션의 발생은 공포의 스태그플레이션, 공황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과거 미국의 공황은 소비 수요 감소가 원인이어서 국가적인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진행하면서 극복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의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은 한 현상이 지역마다 다른 크고 작은 원인들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해결책을 찾기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일단 중국의 올 1분기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