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중국 쓰촨성 청두(成都)의 기존 주택 가격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폭이다. 두자릿수에 육박한다. 부동산 시장 침체기의 긴 터널을 지나고 있는 중국에서 눈에 띄는 기록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같은 상승세가 14개월째 이어진다는 점이다. 중국 당국의 대규모 서부 개발 호재 덕분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물론 쓰촨성 특유의 소비 문화도 한 몫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쓰촨성은 예부터 소비성향이 강하기로 유명하다. 역사 유적이 많아 관광산업이 발달하고 지역색으로 오후 수면을 취하는 특징이 있다 보니 당대에 즐기고 돈이 있을 때 쓰자는 소비 위주 성향의 사고가 짙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 70대 주요 도시 집값 통계에 따르면 청두의 신규 주택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기존 주택 가격 상승률은 9.2%에 달해 중국 내 1위에 올랐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과 방역 봉쇄로 상하이, 선전, 광저우 등 중국의 경제 거점 도시들이 충격을 받은 것과 달리 '서부 대개발 프로젝트' 수혜 도시인 청두는 견조한 성장을 이뤄내 신규 주택과 기존 주택 가격이 14개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확산과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
'K-팝' 한국 걸그룹의 매력에 세계 곳곳이 들썩인다. 이웃 중국, 일본은 물론이고 저 멀리 아프리카에서도 한국에서 가수를 하겠다고 찾아온다. 한국 문화를 좋아하면 자연스럽게 한국 제품도 좋아하게 된다. 바로 문화의 힘이다. 부드럽지만 마음과 온 몸으로 좋아하고 따라하게끔 만든다. 문화적 자산에 한 나라의 지적 능력까지 더해진 게 바로 부드러운 힘, 소프트 파워다. 근대 이후 세계가 서로 조우하던 시절, 군사력이 그 나라의 힘이었다면 이제는 소프트 파워가 한 나라의 경쟁력을 말해주는 시대가 됐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2023년 세계 '소프트 파워' 지수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소프트 파워'는 문화, 과학기술, 교육, 언론, 역사유산, 국제관계 등의 경쟁력으로 '하드 파워(군사력, 경제력 등)'에 상반되는 개념이다. 미국이 역시 부동의 1위다. 영국과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이 10위내 상위권에 포진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각국 4, 5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 지표는 총 8개였다. 문화유산, 국제관계, 국가행정관리, 상업과 무역, 언론, 교육과학, 인간과 가치관, 지속가능성 등이다. 올해 '소프
'2599억 위안' 약 49조 원이다. 올 1~2월 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늘어난 수치다. 서비스 아웃소싱은 한 회사가 영업 등 회사활동을 위해서 외부에 서비스를 의뢰한 계약이다. 외부 용역 계약인만큼 연간 고정비 지출 계약인 셈이다. 즉,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지 않는 한 함부로 체결하지 않는 계약이다. 그런데 이 계약이 연초부터 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 회사들의 올해 대외 영업 활동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중국 상무부 서비스무역국이 올해 1~2월 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산업 관련 데이터를 17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2월 중국 기업들의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은 2599억 위안(약 49조 원), 집행 금액은 1615억 위안(약 30조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3%, 10.6% 증가한 것이다. 그 중 해외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은 1313억 위안, 집행액은 90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1%, 23.7% 증가했다. 사업 구조 측면에서 살펴보면 해외 정보 기술 아웃소싱(ITO),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지식 프로세스 아웃소싱(KPO) 집행액이…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끝나면서 최근 중국인들의 해외 여행이 다시 시작됐다. 중국은 지난 10일 온오프라인 여행사들이 해외 단체 여행상품과 '항공권+호텔' 패키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나라 40개국을 추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중국인들은 세계 최대 여행객이었다. 각국 관광 경제에서 중국인들이 차지하는 부분이 적지 않았다. 이런 중국인들의 여행 추세를 알 수 있는 게 중국 공항이다. 중국 공항은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외국인들로 붐볐다. 중국인들이 해외로 나가는 것보다 외국인들이 중국으로 들어오는 숫자가 훨씬 많았다. 하지만 조금씩 중국 이용객들이 늘더니 지금은 이용객 수가 비등해졌다. 일부 공항은 이미 중국 내국인 이용객수가 외국인 이용객 수를 초과한지 오래다. 2022년 중국 민항 통계 보고서가 최근 발표됐다. 연간 공항 이용객 수를 기준으로 한 2022년 중국 공항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상위 5개 공항의 경우 연간 이용객수가 2000만 명이 넘는다. 1위 광저우 바이윈(白云)국제공항, 2612만2000명 2위 충칭 장베이(江北)국제공항, 2168만7000명 3위 선전 바오안(宝安)국제공항, 2155만1000명 4위 쿤밍…
'57만9000t,' 중국의 올 1~2월 하루 평균 원유 생산량이다. 전년 동기보다 그 증가폭이 2%에 육박했다. 대신 원유 수입은 역시 비슷한 수준으로 줄었다. 중국이 원유 등 에너지 생산량을 조금씩 늘리며 자급 상황을 개선하고 있어 주목된다. 현재 글로벌 사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 인상이 다양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서구의 제재에 러시아가 자국산 원유와 천연가스 등을 무기로 내세우면서 에너지 자급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시되는 상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2월 중국의 원유, 천연가스, 석탄 등 주요 에너지 생산량이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1~2월 원유 생산량은 하루 평균 57만9000t, 총 3417만t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수치다. 원유 수입량은 8406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1~2월 천연가스 생산량은 하루 평균 6억7000만㎥, 총 398억㎥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천연가스 수입량은 1793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감소했다. 1~2월 석탄 생산량은 하루 평균 1244만t, 총 7억3000만t
중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사회 평가를 진행해 발표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도시들 간 경쟁이 유발되고 경쟁에 의해 도시들의 다양한 지표 수준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어떤 기준이건 평가가 진행되고 발표된다는 것은 전반적인 수준을 끌어올리는 선순환의 결과를 유도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이 같은 평가 방식의 도입이 필요해 보인다. 한국의 도시들 간 발전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지표를 만들어 도시 간 비교를 진행해 종합적인 수준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중국 소비자협회가 '2022년 100대 도시 소비자 만족도 평가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쑤저우(91.81점) 2위 칭다오(90.40점) 3위 항저우(89.74점) 4위 옌타이(89.17점) 5위 난징(88.13점) 6위 푸산(88.15점) 7위 톈시(88.13점) 8위 샤먼(84.45점) 9위 베이징(84.42점) 10위 이창(83.54점) 이번 도시 소비자 만족도 평가는 지난해 4분기에 중국내 주요 100개 도시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 지표는 소비공급, 소비환경, 소비자 권리보호 등 3가지였으며 조사 결과 소비공급은
지난해 연말 중국 당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중국인들이 보복 소비에 나서면서 중국 내수 경기의 가늠자인 소매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2월 소매 판매 총액은 총 7조 7000억 위안(약 1456조 원)에 달해 이전 3개월 동안의 하락세에서 벗어났다고 15일 밝혔다. 1∼2월 소매 판매 증가율은 3.5%로 작년 12월(-1.8%) 대비 크게 개선됐다.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변화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차단하려는 상하이 등 대도시 봉쇄로 작년 4월(-11.1%) 급전직하했다가 8월(5.4%)과 9월(2.5%)에 반등했다. 이후 10월(-0.5%), 11월(-5.9%) 등으로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왔다. 푸링휘(付凌輝)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춘제(春節·설) 기간 여객 이동량이 71.2%, 중국 국내 관광객 수가 23.1% 각각 증가해 여행사 및 관련업계 소득이 모두 대폭 성장했다"고 밝혔다. 또 "오프라인 대면 서비스 소비 증가로 1~2월 요식업 소득이 전년 동기 대비 9.2% 성장해 지난해 12월의 하락에서 비교적 큰 폭의 반등을 실현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1∼2월 산업 생산 증
컴퓨터 시장에서 노트북 포션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지역별 격차를 보이며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중국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데스크톱 시장은 늘어나는 반면, 노트북 시장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Canalys)에 따르면 중국의 개인용 컴퓨터(데스크톱,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출하량은 올해 약 4830만 대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데스크톱(데스크톱 워크스테이션 포함) 판매량은 올해 15% 증가한 1730만 대, 노트북(이동 워크스테이션 포함)은 7% 감소한 3090만 대으로 각각 예상됐다. 테블릿PC의 경우 지난 3년 동안 대중화가 이뤄지면서 소비자 수요가 둔화돼 올해 8% 감소한 2210만 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도 중국 컴퓨터 시장은 소폭 성장해 개인용 컴퓨터(데스크톱, 노트북, 워크스테이션)과 테블릿PC 판매가 올해 대비 각각 7%, 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 당국은 지난해 중앙정부 기구와 국영기업에 외국산 PC를 2년 내 자국산으로 교체하라는 지시를 내린 바 있다. 그로 인해 중앙정부 기구에서만 최소 5000만 개의 PC가 교체될 것으로 추산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노
'만강홍'과 '유랑지구2' 등 이른바 '애국 영화'의 흥행 호조에 힘입어 중국의 올해 영화 흥행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춘제(春節, 설)에 맞춰 지난 1월 22일 개봉한 '만강홍'과 '유랑지구2'는 50일 만에 각각 45억 위안(약 8500억 원), 40억 위안(약 7500억원)의 흥행 수입을 올리며 역대 흥행 순위 6위와 10위에 올랐다. '만강홍'은 작년 흥행 1위를 기록한 '장진호의 수문교'(40억 6732억 위안)를 추월했다. 2월 중국 전역의 박스오피스 매출은 38억6100만 위안(약 73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총 16개 지역의 매출이 1억 위안을 넘어섰다. 2월 기준 중국의 지역별 박스오피스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광둥성, 4억7162만 위안 2위 장쑤성, 3억120만 위안 3위 저장성, 2억5040만 위안 4위 쓰촨성, 2억3543만 위안 5위 베이징, 2억963만 위안 6위 상하이, 2억14만 위안 7위 산둥성, 1억9925만 위안 8위 허난성, 1억9792만 위안 9위, 후베이성, 1억5900만 위안 10위 안후이성, 1억5689만 위안 광둥성이 4억7162만 위안으로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으며 전체 매출의 12.2%를 차
'2.31억㏊' 중국의 산림 면적이다. 지구 육지의 31%인 전세계 산림 면적 약 40억ha의 5.8%가 중국에 있는 것이다. 적지 않은 크기다. 하지만 중국의 산림 녹화 수준은 여전히 미흡하다.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진 전쟁의 상흔이 여전히 큰 탓이다. 전쟁이 끝나고 신중국이 수립한 지 70년이 넘었지만 대도시 특히 베이징, 상하이 인근 산림의 조밀도는 여전히 세계 평균을 밑돌고 있다. 과거 한국 정부가 그랬듯 중국 당국 역시 각고의 노력으로 무성한 산림을 조금씩 만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전국녹화위원회(全国绿化委员会)가 지난 12일 제45회 식수절(植树节, 식목일)을 맞아 '2022년 중국 국토 녹화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삼림 면적은 2.31억㏊로 전체 면적의 24.02%, 초원은 2.65억㏊로 전체 면적의 50.32%에 달했다. 사실 중국에서 녹화는 생존의 문제다. 사막지역이 갈수록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사막화로 인한 황사 피해는 이미 중국을 넘어 한국까지 피해를 줄 정도다. 중국 당국은 이를 막기 위해 녹지화 사업에 더욱 힘쓰고 있다. 지난 한 해 전국적으로 383만㏊의 인공조림이 완료됐으며, 18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