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광이 더 수월해질 전망이다. 중국 외교부가 외국인의 중국 방문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예고했다.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이 지난해 일방적 비자 면제 국가를 확대했으며 향후 적용 범위를 더욱 넓힐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양회(兩會)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내용과도 일맥상통한다. 마오 대변인은 "현재 중국은 38개 국가를 대상으로 일방적 비자 면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54개 국가에 대해 240시간 무비자 환승을 허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3년 한 해 동안 2000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무비자로 중국에 입국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12%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일방적 비자 면제 정책을 통해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339만 명을 넘어 전년 대비 1200% 급증했다. 그는 "앞으로도 외국인의 중국 방문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추가 조치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국 각 대사관과 영사관은 이미 비자 예약 절차를 폐지했으며 방문 비자는 즉각 발급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즉각적인 출국 환급 서비스가 시범 운영 중이며, '외국 카드 내부
‘2,070억 위안’ 한화로 약 41조 5,159억 원 가량이다. 베이징, 텐진 등 소위 ‘징진지’ 경제 구역의 올 1~2월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보다 2% 이상 늘었다. 중국 전역의 수출입 총액은 같은 기간 소폭 줄었다. 베이징 지역의 수출이 늘었다는 것은 다른 지역의 수출입 총액이 상대적 감소폭이 컸다는 의미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 세관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올 1~2월 수출입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2월 동안 징진지(京津冀) 지역의 수출액은 총 2,070억 위안(약 41조 5,159억 원)으로, 같은 기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올해 1~2월 동안 징진지 지역의 신흥 산업과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강세를 보였다. 정보기술 산업 분야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1% 증가했으며, 항공우주 산업에서는 항공기 부품 수출이 14% 증가했다. 문화 제품 중에서는 중국풍 장난감(国潮玩具) 수출이 76% 증가했으며, 자동차 제조 산업에서는 자동차 부품 수출이 2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베이징 지역(중앙 정부의 베이징 소재 기관 포함)의 수
‘6조 5,363억 위안’ 한화로 약 1,314조 2,538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1~2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이다. 큰 금액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 1%이상 줄었다. 수출은 소폭이지만 늘었고, 수입이 크게 줄면서 총액이 감소했다. 불확실한 대외 경제 여건에 처한 중국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해관총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올 1~2월 수출입 현황을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2025년 1~2월 수출입 총액은 6조 5,363억 위안(약 1,314조 2,5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이 중 수출 총액은 3조 8,812억 위안(약 780조 3,928억 원)으로 3.4% 증가했고, 수입 총액은 2조 6,551억 위안(약 533조 566억 원)으로 7.3% 감소했다. 이에 무역수지는 여전히 1조 2,260억 위안(약 246조 5,118억 원) 흑자를 기록했다. 동방금성 연구개발부 집행총감인 펑린(冯琳)은 "현재 글로벌 수요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다소 둔화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미화 기준으로 보면 1~2월 중국의 수출 증가율은 2.3%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4년 12월보
‘약 7,508억 위안’ 한화로 약 150조 7,981억 원 가량이다. 지난해 중국의 중소기업들이 집행한 투자 융자금액이다. 전년보다 10% 이상 훌쩍 늘어난 수치다. 기존 단순 ‘제조’만 주력한 중국이 ‘기술 굴기’에 나서면서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까지 대거 기술 투자에 나선 때문으로 분석된다. 앙광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인터넷정보센터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해 6000만 개 중소기업의 인터넷 공개 데이터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공개했다. 공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소기업의 신규 투자·융자 건수는 5,780건을 넘어 전년 대비 7.3%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기업의 투자·융자 건수 중 96.4%를 차지했다. 또한, 투자·융자 금액은 약 7,508억 위안(약 150조 7,98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으며, 전체 기업 투자·융자 금액 중 84.2%를 차지해 전년 대비 6.4%포인트 상승했다. 동시에, 더 많은 초기 창업 중소기업이 자본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이번 조사는 빅데이터 모니터링은 물론 중소기업 직원과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도 동시에 진행됐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그 결과, 최근 몇 년간 중소기업의 생존
올 들어 중국에서 굴착기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1~2월 판매가 전년동기 대비 50% 이상 늘었다. 굴착기는 부동산 인프라 개발에 쓰이는 대표적인 장비다. 이 굴착기 판매가 늘었다는 것은 부동산 개발이 그만큼 활기를 띄었다는 의미다. 중국은 올해 세계 최대 규모의 댐 건설을 계획하는 등 대규모 사회 인프라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중국공정기계공업협회에서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최신 데이터에서 올해 2월 중국의 굴착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공정기계공업협회가 주요 굴착기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통계에 따르면, 2025년 2월에 각종 굴착기 19,270대가 판매되어 전년 동기 대비 52.8% 증가했다. 올해 1~2월 동안 총 31,782대가 판매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7.2%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동안 굴착기 수출량은 14,737대로, 전년 대비 7.37% 증가했다. 아쉬운 것은 그동안 중국 굴착기 공급은 한국 제품이 주를 이뤘었다는 점이다. 중국 당국이 빠르게 현지 자급자족에 나서면서 한국 관련 기업들이 시장을 잃었다. 하지만 다시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한국 기업들의 기회 역시 커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
중국 도시들이 인공지능(AI) 연산 능력 개발에 발 벗고 나섰다. 중국에서는 도시별 연산 능력 평가를 지수화해 관리하고 있다.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주요도시들이 이 지수 순위 경쟁에 동참하고 있다. AI 혁신 없이는 미래가 없다는 각오다. 그럼 과연 중국에서 2025년 2월 현재 어느 도시의 AI 연산능력이 가장 뛰어난 곳일까? 1위는 역시 수도 베이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항저우가 2위, 상하이는 3위를 차지했다. 항저우는 AI 분야,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최근 새롭게 두각을 나타내는 중국 도시 가운데 하나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제데이터공사(IDC)와 랑차오정보가 공동으로 《2025년 중국 인공지능 연산력 발전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인공지능 연산력 규모는 725.3EFLOPS에 달했으며, 전년 대비 74.1% 증가해 같은 기간 일반 연산력 증가율(20.6%)의 3배 이상을 기록했다. 시장 규모는 190억 달러(약 27조 3,980억 원)로, 전년 대비 86.9% 성장했다. 보고서는 대형 모델과 생성형 인공지능이 연산력 수요를 증가시키며, 중국의 인공지능 연산력 증가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고 평가했다
“국민에게 안전을, 기업에게 따뜻함을”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3차 회의가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제2차 전체회의를 개최하자, 신화통신이 이 같이 호소하고 나섰다. 중국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준수가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장쥔 최고인민법원장이 최고인민법원의 업무 보고를, 잉융 최고인민검찰원장이 최고인민검찰원의 업무 보고를 각각 발표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신화통신은 세 편의 시평을 연달아 게재했다. 각 각 《끝까지 엄격하게 처벌하여 가해자가 고통을 느끼게 하라》, 《전자 사기를 뿌리 뽑아 국민이 안전을 느끼게 하라》, **《기업 환경을 최적화하여 기업이 따뜻함을 느끼게 하라》**라는 제목이었다. 다음은 주요 내용이다. 고의 살인, 강도, 납치 등 범죄로 6만 300명을 기소했으며, 고의 살인 등 중대 폭력 범죄 사건 4만 9천 건을 심리해 5만 8천 명을 처벌했다. 보행자를 차로 들이받은 판웨이추(樊维秋), 학교에서 흉기를 휘두른 쉬자진(徐加金) 등 사건도 법에 따라 엄격히 처벌했다. 올해 ‘양고(两高, 최고인민법원·최고인민검찰원) 보고’는 중대 폭력 범죄에 대한 강력한 단속 방침을 분명히 했으며, 중대 악성 범죄에는 절대
화재 현장에서 피해를 키운 ‘안면 인식 출입구 개폐기’가 논란이 되고 있다. 위급한 상황에서 안면인식이 필요한가 하는 게 중국 네티즌들의 반문이다. 하지만 중국 교육 당국은 “당당히 인식하면 된다”는 입장을 보여 지나친 행정편의주의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한 대학 여학생 기숙사에서 갑작스러운 화재가 발생했다. 학생들은 급히 건물을 빠져나가려 했지만, 기숙사 출입문에 설치된 안면 인식 게이트가 길을 막았다. 대피하려면 얼굴을 먼저 인식해야 했던 것이다. 이처럼 황당한 상황에 대해 대학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당당하게 말했다."당연히 얼굴을 인식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생들의 안전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겠습니까?"화재가 발생한 긴급한 상황에서도 출입을 위해 얼굴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는 사실은 일부 대학 관리자들의 경직되고 기계적인 관리 사고방식을 여실히 드러냈다. 논란이 되면서 비슷한 사례가 쏟아졌다. 어느 대학에서는 한 학생이 갑자기 몸이 아파 119에 신고했고, 구급차가 신속히 도착했다. 그러나 학교 보안 요원이 출입을 막았고, 그 이유는 학교 규정상 "등록되지 않은 외부 차량은 출입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중국 인터넷에서는 생명과
정당방위 판정에 인색했던 중국에서 폭력을 휘두른 이가 맨손일지라도 강한 위해 위기 속에 흉기로 대항했다면 정당방위에 해당한다는 법적 조치가 나와 주목된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최고인민검찰원의 업무 보고서에 포함된 대표적인 사건인 쉬모씨(徐某)의 정당방위 사건이 CCTV 《핫라인 12》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랐다. 2024년 3월 7일, 상하이시 쑹장구의 한 아파트에서 1층과 2층 거주자 간에 빗물 문제로 갈등이 발생했다. 이에 1층 거주자인 캉모씨(康某)가 2층으로 올라가 철제 방범문을 발로 차 열고 거실로 난입한 뒤, 쉬모씨를 소파에 눌러 앉히고 주먹으로 폭행했다. 이에 쉬모씨는 식탁 위에 있던 식칼을 집어 들어 캉모씨를 한 차례 가격했고, 이로 인해 캉모씨는 좌측 정수리 골절상을 입어 법의학 감정 결과 ‘2급 경상’으로 판정됐다. 반면, 쉬모씨는 머리, 목, 손등, 팔꿈치, 다리 등에 폭행을 당해 ‘경미한 상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2024년 4월, 경찰은 쉬모씨를 고의 상해죄로 기소하며 체포 승인을 요청했다. 그러나 쑹장구 인민검찰원의 담당 검사는 캉모씨가 쉬모씨를 지속적으로 폭행했으며, 이로 인해 쉬모씨의 생명과
‘과학기술 개발 능력’ 중국에서 새롭게 중시되는 발전을 가름하는 새로운 요소다. 과학, IT 기술의 발전 없이는 발전도 없다는 의미다. 그럼 중국 도시들 가운데 가장 ‘기술 개발 능력’을 보유한 곳은 어딜까? 1위는 베이징이 차지했다. 2위는 선전, 3위는 상하이가 랭크됐다. 소위 중국 과학 기술 선도 도시 3인방인 셈이다. 훙신신원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수도과기발전전략연구원 과제팀이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 발전 보고서(2025)》(이하 《보고서》)를 발표했다. 팀은 지난 2017년 해당 보고서를 첫 발간했다. 그 뒤 8년 연속 '중국 도시 혁신 및 발전 보고서'를 발간해왔다. 보고서는 '중국 도시과학기술 혁신발전 지표체계'를 구축하고, 중국 288개 현급 이상 도시의 과학기술 혁신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의 현상과 추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중국 도시 과학기술 혁신과 발전의 내부 법규와 논리를 파노라마적으로 제시한다. 이번 조사에서 청두시 도시 과학기술 혁신 및 개발 지수(City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dex) 순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