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理致)란 바로 돌 속의 옥이다. 사물의 이치란 그 사물이 다듬어 이르는 것이다. 이치란 본래 의리정치(義理情致)의 줄임말이다. 주어인 의(義)와 정(情)을 빼고 줄여 이치(理致)라 했다. 말 그대로 “의(義)를 다듬어, 정(情)이 이른다.” 는 뜻이다. 요즘 줄여서 도리(道理), 순리(順理) 등의 뜻으로 쓰인다. 그런데 도리는 무엇이고, 순리는 무엇인가? 도리는 그러한 것이고, 순리란 그러는 것이다. 결국 돌고 돌아 다시 그 거다. 그냥 그대로 바로 자연이다. 모두가 자연을 따르자는, 순기자연(顺其自然) 의 도리, 이치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항상 그런 것의 이치다. 정확히 그렇고 그런 것들을 하나로 꿰는 보물, 일이관지(一以貫之)다. 한자 리(理)에 담긴 뜻이다. 금문에서 등장하는 리(理)는 옥(玉)을 꿴 보물과 옆의 리(里)다. 설문해자는 옥이 뜻(意)이요, 리는 음(音)이라 했다. 리(里) 역시 금문에 나온다. 땅을 다듬어 밭을 만드는 모양이다. 리(理)의 구성 자형을 모두 뜻으로 읽으면 땅을 다듬어 밭을 만들어 옥, 보물을 얻어낸 것이다. 본래 옥은 돌 속에서 자라난다. 깎아 다듬지 않은 옥의 외형은 그저 돌, 강바닥에 널린 조각돌이다. 돌 속에
기회는 오는 게 아니다. 만드는 것이다. 한자 기(機)가 전하는 교훈이다. 기회(機會)의 한자 그대로의 뜻은 만들어진 기계들의 조합이다. 만들어진 기계, 도구들이 모여 만드는 게 기회(機會)인 것이다. 그렇게 기계들이, 도구들이 준비되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자 기는 금문에 등장한다. 나무를 보고 기술자가 창과 칼로 그 나무를 깎아 다양한 기계, 기구 장식품을 만드는 모양이다. 기계든 장신구든 좋은 물건을 만들려면 필요한 게 바로 재료다. 나무다. 그 다음이 기술자다. 그리고 중요한 게 바로 도구다. 이 셋은 만들어진 완성품의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셋의 조합이면 결과가 달라진다. 한자 기(機) 속에는 그 과정이 기록된 것이다. 마음은 필요를 만들고 손은 나를 찾아 필요를 형상화하며 완성된 형상은 다시 내 마음을 달래주는 것이다. 모든 게 마음이지만, 그것은 사람 속에만 머물지 않으며 세상으로 나아가 수많은 기계가, 기구가, 장신구가, 사물이 되는 것이다. 결국 다시 모든 게 마음인 것이다.
뱀을 잡을 때 조용히 다가가 한 번에, 빠르게 뱀의 뒷목을 잡아야 한다. 안전을 위해 한 쪽 끝이 'Y'자 형의 막대를 이용하면 더 좋다. 이 뱀을 잡는 행위가 바로 감(敢)이다. 위험한 줄 아는 일을 과감하게 머뭇거림 없이 냉혹하게 순식간에 해치우는 게 바로 감(敢)이다. 금문에 등장한다. 거대한 도마뱀을 잡는 모양이다. 혹자는 이 모습을 뱀의 꼬리를 잡는 무모한 일로 보기도 한다. 본래 위험한 일일수록 얻는 게 많은 법이다. 지금도 악어가죽은 다른 어떤 가죽보다 비싸다. 그래서 전문가의 감(敢)은 뱀의 머리를 잡지만 미숙한 이의 감(敢)은 뱀의 꼬리를 잡는다. 꼬리를 잡으면 역으로 물린다. 반드시 머리를 잡아야만 한다. 준비된 이의 감(敢)은 위험하지만 해야 할 일이어서 그 결실이 크고, 미숙한 이의 감(敢)은 위험한 일의 나쁜 결과만 분명한 일인 것이다. 이처럼 감(敢)은 위험한 일을 하는 법을 알려준다. 위험을 감당하고 컨트롤하면 뱀을 잡을 수 있고 그 반대라면 뱀에 물린다. 독사라면 바로 죽는다. 그래서 진정한 용기는 능(能)히 감(敢)하며 능(能)히 부감(不敢)한 것이다. 감과 부감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때, 뱀을 위기를 잡는 진정한 전문가, 용
용기는 마음에서만 나오지 않는다. 용기는 준비에서 나온다. 창과 방패를 들어 비로서 나오는 게 용기다. 그런 준비 없이 나오는 용기는 용기가 아니다. 만용(蠻勇)이다. 한자 용(勇)은 이 같은 용기의 이치(理致)를 담고 있다. 사실 용(勇)자는 그 본의를 놓고 많은 해석이 있다. 용(用)이 발음이고 힘(力)이 의미라는 설명이 가장 일반적이다. 용(勇)은 갑골문은 아직 없고 금문에서 등장한다. 용(勇)의 자형은 모두 세 개인데, 하나는 쓸 용(用)에 창 과(戈)가 있으며 다른 하나는 쓸 용(用) 아래 힘 력(力)이 있다. 마지막은 쓸 용(用) 아래 마음 심(心)이 있다. 지금까지 살아남은 글자가 바로 쓸 용(用) 아래 힘 력(力)이 있는 글자다. 용(用)는 일찌감치 갑골문에 나온다. 기본적으로 나무로 만든 물통으로 쓰임을 의미한다고 본다. 혹자는 용(用)을 종(鐘)이라 보기도 한다. 보는 눈마다 다를 수 있지만, 갑골자 용(用)은 볼수록 나무로 만든 물통이다 싶다. 나무로 만든 물통, 그 물통이 용기의 용(勇)에서는 방패 순(盾)의 의미로도 쓰인 게 아닌가 싶다. 그리 보면 금문에 등장하는 세 가지의 용기 용(勇)의 세 가지 의미가 새롭다. 맨 처음은 방패와…
모든 씨앗은 그 자람이 결정돼 있다. 벼의 씨는 벼가 되며 보리의 씨는 보리가 된다. 백합 씨는 백합이 되며 난초 씨는 난이 된다. 소나무 씨는 소나무가 된다. 볍씨가 보리가 되는 법이 없으며 난초 씨가 백합이 되는 법이 없다. 식물도 동물도 사람도 모두 마찬가지다. 정해진 씨앗 그대로 자란다. 다만 자란 모습이 다를 뿐이다. 들에서 자란 소나무는 쭉쭉 하늘로 뻗어 자라며, 벼랑 끝에 자란 소나무는 구불구불 굽어 자란다. 나무를 아는 것은 씨앗을 알고 자란 환경을 알아 지금까지 자람을 알고 미래의 성장을 추정하는 것이다. 씨앗부터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하나의 모습, 바로 본(本)이다. 모양은 쉽지만 어려운 개념이 한자 근본 본(本)이다. 금문에 등장해 나무를 뿌리와 줄기로 나눈 모습이다. 뿌리만이 아니고 줄기만이 아닌 둘을 나눠 모두 아는 게 바로 본(本)이다. 씨앗을 알고 그 씨앗의 싹을 알며 싹의 뿌리를 알고 싹의 줄기를 아는 게 바로 본(本)이다. 지금 눈에 보이는 나무의 뿌리와 줄기는 하나의 씨앗에서 나와 자랐음을 아는 게 바로 본(本)이다. 그래서 본(本)을 알면 그 유래(由來)인 본래(本來)를 알고 본(本)을 알면 그 미래(未來)인 본거(本去
별(別)은 뼈에서 살을 발라내는 고통이다. 이별(離別)은 그런 아픔을 말한다. 생별(生別)은 살아 이별이요, 사별(死別)은 죽어 이별이다. “死别已吞声,生别常恻恻。” (사별이탄성, 생별상측측: 죽어 이별은 소리 없이 울고, 살아 이별은 그리움에 운다.) 당 시인 두보의 ‘夢李白’(몽이백: 이백을 꿈꾸며) 2수 중 1수다. 탄성(歎聲:소리 치다)이 아니라 탄성(呑聲:소리 삼키다)이다. 같은 단어로 소리 없는 울음이 더 크게 울린다고 표현한 것이다. 恻측은 슬프다는 뜻이다. 測측과 같이 쓰여 헤아리다. 그리다는 뜻도 떠올리도록 한다. 恻恻측측은 슬프고 슬프다는 의미다. 恻恻측측 중국 발음은 cece쳐쳐다. 혀끝 차는 소리다. 두보가 먼 길을 떠나 소식없는 벗 이백을 꿈에서 보고 ‘혹 잘못됐을까’ 놀라 쓴 시다. 이별의 시다. 생별이나 사별이나 한쪽의 감정이다. 이별을 당한 떠난 이를 기다리는 남은 자의 감정이다. 남은 자는 산 자다. 살아 숨 쉬며 살아 그리는 이다. 이별의 고통은 이렇게 남은 자의, 산 자의 몫이다. 동양의 선인들은 일찍이 이별의 고통을 알았다. 일찍이 갑골문에 등장하는 죽음 사(死)는 떠난 이 앞의 산 자의 모습이다. 죽음은 마치 뼛조각처
목적을 가지고 움직여 결과를 내는 것을 '일 한다'고 한다. 간단히 일이란 수식은 '결과= 목적한 움직임 x 시간'이다. 인간의 움직임을 노동이라고 한다. 일의 결과는 노동 투입량에 대한 시간의 곱인 것이다. 사람들의 노동이 한결같다고 한다면 일의 결과 값은 항상 같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투입되는 노동의 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노동은 1의 결과를 내지만 어떤 노동은 2혹은 3의 결과를 낸다. 개인 간 재능의 차이도 있지만 도구의 차이도 있다. 사실 재능보다 결정적인 게 바로 도구의 차이다. 칼과 총 간의 차이라 할까. 도구는 일의 결과를 바꾸는 가장 중요한 변수다. 일이란 수식은 (사람x도구)가 구해질 때 가장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 도구는 일이라는 방정식의 가장 중요한 변수인 것이다. 동양에서는 일찍이 이 같은 일의 도리를 알았다. 한자 공(工)에 그 이치가 담겨 있다. 일찍이 갑골자부터 등장한 공(工)은 위로 손잡이가 있는 칼이다. 살상(殺傷)의 흉기(凶器)가 아닌 재단(裁斷)의 도구(道具)다. 도구를 든 사람이 바로 공이다. 일의 수식에서 (사람x도구)가 바로 공(工)인 것이다. 한자의 공이 일이다 보니, 그 뜻이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누가 있어 스스로를 낮춰 천해지려 할까. 누가 있어 스스로 더러워지며 남을 깨끗이 하려할까. 누가 있어 많고 적고의 높고 낮고의 차별 없이 공평할 수 있을까. 누구 있어 존재만으로 남에게 생명을 줄까. 물 수(水)의 덕(德)이다. 물 수(水)는 가장 오래된 한자 중 하나다. 강의 물이 흐르는 모습이다. 항상 중심을 잡는 중봉(重峯)의 수류(水流)와 항상 넘치며 물길을 넓히는 지류(支流), 변연(边沿)의 각 두 획으로 이뤄져 있다. 도도히 흐르는 강물의 반짝임을 표현한 듯도 싶다. 내 천(川)이 급속히 흐르는 물이라면 물 수(水)는 멈춘 물이라 할까. 큰 내 강(江)과 바다 해(海) 모든 물을 대표한 자가 바로 물 수(水)다. 항상 물은 높은 곳을 버리고 낮은 곳에 임하며 항상 물은 스스로를 더럽혀 돌과 동물에 묻은 더러움을 닦아 준다. 항상 물은 크고 작은 모든 구덩이를 채워야 비로소 다시 흐른다. 항상 물은 바위를 만나 피해 흐르지만 결국 천년 바위의 모양을 바꾸고 결국 그 바위를 깨뜨린다. 물은 낮은 곳을 채워 강을 이루며 바다를 이룬다. 사해의 모든 물이 결국 바다를 만든다. 바다의 장엄함은 다른 게 아니다. 차별이 없어 한 없이 커진 규모에서 나온
예(禮)란 많은 한자처럼 단순하기만 한 것을 사람들이 괜히 복잡하게 만든 것이다. 예가 무엇이냐? 질문에 누구도 한 마디로 답을 하지 못하는 데 본래 단순했던 걸 원래 쉽기만 했던 걸 아는 척 하는 이들이 복잡하게 만든 탓이다. 예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순서다. 순서를 알고 지키는 것이다. 한자 예(禮)의 발전을 알면, 무슨 말인지 안다. 갑골자에서 예(禮)는 본래 풍(豊)이다. 그 풍(豊)에 제사를 의미하는 시(示)가 붙어서 예(禮)가 됐다. 오늘까지도 풍(豊)에는 예의 발음이 남아 있다. 풍(豊)은 그릇에 담긴 곡식과 과일이다. 예가 그릇에 담긴 곡식과 과일인 셈이다. 감사의 제(祭)를 지내는 마음으로 내놓은 음식 한 상이 바로 예(禮)인 것이다. 그 음식과 음식을 내놓으려 마련된 자리에 손님이 들어서는 순간부터 손님이 음식을 들고 자리를 나서는 순간까지의 모든 일의 순서가 바로 예(禮)다. 예란 결국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순서인 것이다. 대접, 접대의 어려움은 해본 사람만이 안다. 접대는 본래 받기보다 하기가 더 힘든 법이다. 과(寡)하면 상대방이 불쾌하고 과(過)하면 내가 손해다. 순서를 정하고 그에 맞춰 하면 가장 적당한 접대가 된다. 손님은 손
어린이의 싸움은 코피가 승부의 관건이다. 먼저 코피를 흘리게 하면 승패가 갈린다. 어린이의 주먹질이다. 어른의 싸움은 다르다. 오늘 날 직장에서 그 옛날 전쟁에서 승패는 코피로만 전장 위 장병들의 피로만 갈리지 않았다. 철저한 실리였다. 승패의 패(敗)가 그 의미를 잘 보여준다. 패는 간단히 돈을 잃는 것이다. 철저한 실리였던 것이다. 갑골문의 패(敗)는 조개를 도구로 때려 부수는 모양이다. 조개는 때론 정(鼎)의 모습을 띄기도 한다. 혹자는 조개 패(貝)를 태양의 흑점이 나타나는 때라 해석하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조개 패(貝)가 상징하는 게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점이다. 조개는 과거 돈이었다. 정(鼎)은 왕권을 상징하는 그릇이었다. 모두가 귀중한 것들이다. 그 귀중한 것이 깨지는 게 지는 것이다. 역으로 눈앞에 굴욕이 있어도 속으로 실리를 잃지 않으면 지지 않는 것이다. 지지 않는 것! 사실 동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전쟁의 경전인 ‘손자병법’은 승(勝)을 논하지 않는다. 패(敗)를 논하는 책이다. 정확히 패하지 않는 법을 논하는 책이다. 먼저 싸움을 피하라 조언한다. 무적(無敵), 적(敵)이 없는 것은 적을 무찔러 얻기도 하지만 적을 피해서 얻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