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상하이 부동산 거래 올 5월들어 20% 늘어

 

지난 5월 중국 상하이 부동산 시장 거래가 20% 가량 늘었다.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찾으면서 그동안 중국 경제를 짓눌렀던 부동산 침체 국면도 조금씩 해소되는 모양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5월 상하이에서 신축 및 기존 주택을 합쳐 총 223만㎡가 거래되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수치였다.

상하이는 부동산 가격이 높기로 유명한 도시다. 이런 상하이의 부동산 거래가 활기를 띄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들어 상하이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 속에서 호전되는 흐름을 이어갔다. 1~2월에는 전통적인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활발한 시장을 보였다”고 평했다.

중국 부동산 시장에서 3,4월은 봄철 거래가 늘면서 ‘금삼은사(金三银四)’로 불린다. 올 해 역시 다르지 않았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중국 매체들은 “봄철 특수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5월 시장도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고 덧붙였다.

상하이시 주택관리국에 따르면, 5월 한 달간 신축 주택 거래 면적은 62만㎡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수치였다.

시 자료에 따르면 올 상하이 신축 주택 시장 거래는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 첫째는 신규 분양 프로젝트의 청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는 점인데, 5월에는 총 37개 프로젝트가 청약을 완료했으며, 그중 외환 내 지역에 있는 18개 프로젝트 중 12개는 청약률이 1을 초과해 시장의 열기를 유지했다.

둘째는 분양 중인 프로젝트의 판매가 안정적으로 진행되었는데, 5월에는 분양 중인 프로젝트의 일일 평균 거래 면적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기존 주택 시장도 활발한 거래를 보였다.통계에 따르면 5월 기존 주택 시장에서는 총 161만㎡(1.9만 세대)가 거래되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수치로, 2022년 이후 동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존 주택 시장도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 첫째는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인데, 지난해 10월 이후로는 매월 거래량이 1.5만 세대 기준선을 넘었으며, 월별 거래량은 8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다. 둘째는 가격이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보였다는 점인데, 1~2월에는 기존 주택 가격 지수가 각각 0.4% 상승, 0.4% 하락했고, 34월에는 각각 0.4%, 0.1% 상승했다.

올해 1~5월 시장은 ‘거래량 증가, 가격 안정’ 흐름을 보였다.거래량 측면에서 보면, 올해 1~5월까지 신축 주택은 총 266만㎡가 거래되어 전년 대비 9% 증가했고, 기존 주택은 828만㎡가 거래되어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두 시장을 합치면 총 거래 면적은 1094만㎡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가격 지수 측면에서는 신축 주택 가격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1~4월 누적 2.0% 상승했고, 기존 주택 가격 지수도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나타내며 같은 기간 동안 0.5% 상승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