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중국 간 묘한 기류가 흐르면서 중국의 원유, 가스 수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동안 중국에 저렴한 가격으로 원유와 가스를 공급하던 러시아가 돌연 천연가스에 대한 공급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이 ‘시베리아의 힘(Power of Siberia)’ 가스관을 통한 중국에 대한 가스공급을 일주일간 중단하기로 했다. 기간은 22일부터 29일까지 일주일이다. 일단 가스프롬 측은 예정된 점검 작업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서 비쳐진 미묘한 양국의 기류 변화와 연관돼 고의에 의한 것이라는 분석이 더 힘을 얻고 있다. 앞서 러시아는 독일을 압박하기 위해 가스 공급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당시도 공식적인 이유는 ‘점검’이었다. 물론 실제 점검이 원인일 수도 있다. 중국석유천연가스그룹(CNPC)과의 계약에 따라 가스프롬은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 가스관 안전 점검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중러 연결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은 길이 2000㎞가 넘는다. 이 관을 통해 러시아는 2019년 12월부터 동시베리아 최대 규모인 차얀다 가스전에서 생산한
'이제 말 타는 여행은 유럽에서는 할 수가 없다?' 최근 중국 네티즌을 당혹스럽게 만든 사건이 발생했다. 중국의 한 남성이 말을 타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오는 여정의 여행을 시작했고, 이 여정을 인터넷으로 공개해 중국 네티즌들의 관심을 모았지만, 돌연 이 같은 여행이 동물학대 행위라는 지적을 받고 중단위기에 처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중국 산둥성 출신 쉬즈시엔(徐智显)이다. 그는 말을 타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가는 여정을 지난달부터 여러 동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동물 학대 혐의로 해당 여정이 조기에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쉬즈시엔은 현재 프랑스와 벨기에를 거쳐 네덜란드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쉬즈시엔이 최근 영상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현지에서 동물 학대로 신고를 당해 경찰 조사를 받았으며 이틀 후 증거없음으로 풀려났다. 쉬즈시엔은 말을 타고 장거리 여행을 하면서 말을 학대했다는 혐의를 받았는데, 이는 중국 네티즌이 볼 때 황당한 트집으로 비춰졌다. 말은 타라고 있는 것이지, 모시고 살라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물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유럽에서는 한 달 이상의 여행을 위해 각종 짐을 싣고 사람까지 태워서
2022년 상반기 코로나19의 영향 속에서 어떤 뷰티 업체가 성장했을까? 중국에서 뷰티 산업은 가장 핫한 산업 가운데 하나다. 중국 여성들은 과거에는 뷰티에 그리 많은 정성을 쏟지는 못했다. 2011년 베이징의 어원대 중국어 교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문의한 결과, 화장을 하는 여대생은 10명 중 불과 서너 명 정도였다. 개혁개방이래 경제 성장과 함께 가정마다 여유가 생기면서 여성들이 아름답게 꾸미기에 관심을 가지고 실행에 나서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의 뷰티 시장은 최근 10년간 급성장했다. 세계 주요 패션, 뷰티 브랜드들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중요한 시장이 된 것이다. 한국의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은 중국 시장 덕에 급성장을 했다가 최근 중국 시장 실적이 부진해지면서 고배를 마시고 있다. 올 상반기 중국 뷰티시장의 강자는 누구였을까? 최근 YIMIAN이 2022년 상반기 중국 뷰티 브랜드 성장력 순위를 발표했다. 마케팅력, 시장력, 브랜드력 등 세 가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순위를 매긴 것이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프로야 PROYA(珀莱雅) 2위, 구위 GUYU(谷雨) 3위, 위노나 WINONA(薇诺娜) 4위, HBN 5위, 즈번
중국 밖으로 나가는 유학생 수가 줄고 있다고? 사실로 확인됐다. 중국 교육부가 2012년 18차 당대회 이후 중국의 유학생 중 80% 이상이 학업을 마친 후 중국으로 귀국했다고 밝혔다. 유학생의 대부분이 해외가 아닌 중국에서 취업하여 커리어를 쌓기로 결정한 것이다. 사실 한국 유학 사례만 봐도 그렇다. 한국으로 온 중국 유학생들은 짧은 한국어 실력에 제대로 된 수업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국 대학들이 수업료만 보고 중국 유학생들을 받아들이면서 나온 현상이다. 한국에서 공부를 제대로 하지도 못하니, 한국 유학생활에 대한 신뢰도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중국 교육 당국은 중국 내 중외합작판학 기구(中外合作办学机构)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외합작판학 기구는 중국 대학과 외국 대학이 함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기구이다. 간단히 중국 대학이 해외 대학과 만든 중국내 해외 대학 수업과정이다.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중국에서 유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최근 몇년간 중외합작판학 기구는 코로나19 팬데믹로 인한 출국 유학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적극적은 역할을 수행했으며, 누적 1만 명 이상의 학생이 이 기구에서 공부한 것으로 집계됐
상업과 도시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도시는 상업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농촌은 도시의 소비를 위해 존재했다. 서구의 도시들의 성장사가 그렇다. 도시 발달로 상업과 제조업이 융성해졌고 국가의 부가 쌓이기 시작했다. 중국 도시들도 마찬가지다. 개혁개방 이래 중국 도시들은 상업화 속도를 내며 주변의 제조업을 키웠다. 최근 코로나 상황에서 도시와 상업의 관계가 더욱 명확해졌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지적이다.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들이 봉쇄되자 상업이 멈췄고, 경제도 멈췄다. 그만큼 도시의 상업 경쟁력이 중요한 것이다. 2022년 중국 도시 상업력 순위가 발표됐다. 이는 중국의 368개 도시를 종합하여 평가한 결과이며, 순위가 높을수록 상업의 전반적인 발전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의 도시는 상업력의 발전 정도에 따라 상업 1선, 상업 준1선, 상업 2선, 상업 3선, 상업 4선, 상업 5선으로 나눌 수 있다. 상업력 순위 상위 6위에 오른 도시들이 상업 1선 도시로 분류된다. 1위, 상하이 2위, 베이징 3위, 선전 4위, 청두 5위, 광저우 6위, 충칭 2021년과 비교했을 때 상하이, 베이징은 여전히 1, 2위를 차지했으며, 광저우와 충칭 또
또 다시 미중 갈등이다. 이번엔 중국에서 문제 제기를 했다. 최근 중국 주재 미국 대사관이 신규 채용하는 중국인 직원들에게 과도하게 많은 개인정보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된 것이다. 사실 그동안 주미 중국 대사관 직원들은 모두 간첩활동을 벌인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유학생들마저 미국 내 정보 수집활동에 동원되고 있다는 게 미국 측의 주장이다. 그래서 미국 내 중국 유학생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조치까지 나왔을 정도다. 미국에 들어와 있는 중국 기자들에 대한 조치는 더 가혹하다. 취재보다는 중국 정부를 위한 정보 수집 활동에 더 힘을 쓴다는 판단을 미 당국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미국에서 근무하는 중국 대사관, 영사관 직원들에 대한 감시활동도 강화되고 있다. 또 역으로 중국 내 미 대사관에 근무하는 중국 직원들에 대한 감시도 더욱 강화되는 것이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미국 대사관이나 영사관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개인과 가족은 물론 친구와 이웃에 대한 정보, 소셜미디어 계정 등을 제출하도록 요구받았다고 19일 보도했다. 또한 주중 미국 대사관이나 영사관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입사시 배경 조사를 받아야하고, 그 후
ERP(전사적자원관리)는 기업의 생산, 물류, 회계, 재무 등 경영 활동을 연계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각 분야의 데이터를 통합하기 때문에, 기업 전체 프로세스의 효율을 높이고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대부분의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다. 특히 기계산업의 경우 생산 과정을 직접 다루기 때문에 ERP 시스템을 많이 사용한다. 그렇다면 중국에서 사용하는 ERP 시스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최근 중국에서 발표한 '2022년 기계산업에서 사용하는 국내외 ERP 브랜드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SAP SAP은 1972년에 설립되어 독일에 본사를 둔 기업이다. 글로벌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시장의 선두 주자로서 25개 이상의 산업에 걸쳐 다양한 규모의 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ERP 분야에서 SAP의 가장 큰 경쟁 상대는 오라클이다. 2위, 지방국제(智邦国际) 지방국제(智邦国际)는 2003년에 설립되어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기업이다. 일체화 ERP 시스템과 일체와 기업관리 소프트웨어의 선두 브랜드로서 기업 정보화와 스마트화에 주력하고 있다. 제품은 ERP, CRM, 프로젝트, 판매, 생산, 재무, 모바일 응용 등 기업관리의 소프트웨어
'사실일까?' 지나친 광고는 긍정적인 효과보다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최근 중국에서 한 식품회사의 광고가 화제다. 제품은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제품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체내에서 유익한 활동을 하는 살아있는 균을 의미한다. 배변기능에 도움을 주는 유산균이 대표적이다. 최근 중국의 한 요구르트 회사가 성분표에 '100세 노인의 장에서 채취한 프로바이오틱스'라고 기재해 논란이 되고 있다. 유산균을 섭취해 장이 건강해지면 장수에 도움이 된다는 게 일반적인 상식이다. 이 상식에 부합해 아예 100세 장수 노인들의 장에서 유산균을 채취하면 최고가 아니냐는 생각도 일리는 있어 보인다. 하지만 과연 그렇게 채취한 유산균을 소비자들이 달갑게 먹으려고 할까? 좋은 제품을 선전한다는 게 그만 소위 TMI(너무 많은 정보)를 주고만 것이다. 일부에서는 혐오감까지 든다는 반응도 나온다. 중국 네티즌은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 알려주면 됐지 굳지 어떻게 추출했는지까지 알려줘야 하느냐"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다시는 프로바이오틱스가 함유된 요구르트를 먹지 못할 것 같다"며 "모든 프로바이오틱스가 사람의 장에서 채취한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서비스업은 중국에서 급성장하는 업종 중 하나다. 내수 시장이 커진 덕이다. 워낙 소비자 수가 많다 보니 그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서비스들이 다양해지고, 자연히 시장 규모도 커지는 것이다. 주요 도시에서 서비스업이 모두 성장세지만 특히 상하이의 서비스 업종 강세가 두드러진다. 중국의 금융 허브로 꼽히는 덕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 상하이 기업연합회와 기업가협회가 '2022년 상하이 100대 서비스업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발표자료에 따르면 10위 순위 안에 든 기업은 다음과 같다. 1. 녹지공고집단고분유한회사[绿地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2. 중국원양해운집단유한회사[中国远洋海运集团有限公司] 3. 교통은행고분유한회사[交通银行股份有限公司] 4. 중국태평양보험(집단)고분유한회사[中国太平洋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5. 상하이만과기업유한회사[上海万科企业有限公司] 6. 상하이포동발전은행고분유한회사[上海浦东发展银行股份有限公司] 7. 태평인수보험유한회사[太平人寿保险有限公司] 8. 미단회사[美团公司] 9. 상하이균화집단유한회사[上海均和集团有限公司] 10. 상하이은행고분유한회사[上海银行股份有限公司] 1위 녹지공고집단고분유한회사는 1992년 설립된 기업으로 중국 개혁·개방 과정에서
중국 내 전문대 출신 취업자의 60% 이상이 5000위안 이하의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5000위안은 한화 약 99만9000원이다. 중국 임금의 하향선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임금의 하향선이 높아지면 자연히 상향선도 움직인다. 한국에서 최저 임금을 높이니 당장은 아니지만 대기업의 연봉이 조금씩 높아지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최저임금을 강제로 인상하지는 않았지만 비슷한 현상이 나오고 있다. 중국의 교육열이 높아지면서 본과생(4년제 대학)은 늘어나고 전문대생(2년제 대학) 비중이 줄면서 임금 하단부를 형성하던 전문대 졸업생의 연봉이 오르고 있는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요가 많은 전문대 특정 학과의 경우는 본과생 못지 않은 월급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고 현지 교육 당국자들은 전한다. 실제 최근 조사에 따르면 63.8%의 전문대 졸업생의 예상 월급은 5001~8000위안으로 나타났다. 물론 조사에 응한 전문대 졸업생 63.4%의 실제 월급은 5000위안 이하였다. 월급이 1만 위안을 넘는 전문대 졸업생은 극히 드물어 5%도 되지 않았다. 중국 네티즌은 애초에 5000위안 이상을 버는 전문대 졸업자가 많지 않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