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말 타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오다 경찰조사 받은 중국 남성, 中네티즌 “말은 타야지”

 

'이제 말 타는 여행은 유럽에서는 할 수가 없다?'

최근 중국 네티즌을 당혹스럽게 만든 사건이 발생했다. 중국의 한 남성이 말을 타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오는 여정의 여행을 시작했고, 이 여정을 인터넷으로 공개해 중국 네티즌들의 관심을 모았지만, 돌연 이 같은 여행이 동물학대 행위라는 지적을 받고 중단위기에 처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중국 산둥성 출신 쉬즈시엔(徐智显)이다. 그는 말을 타고 유럽에서 중국으로 가는 여정을 지난달부터 여러 동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동물 학대 혐의로 해당 여정이 조기에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쉬즈시엔은 현재 프랑스와 벨기에를 거쳐 네덜란드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쉬즈시엔이 최근 영상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현지에서 동물 학대로 신고를 당해 경찰 조사를 받았으며 이틀 후 증거없음으로 풀려났다.

쉬즈시엔은 말을 타고 장거리 여행을 하면서 말을 학대했다는 혐의를 받았는데, 이는 중국 네티즌이 볼 때 황당한 트집으로 비춰졌다. 말은 타라고 있는 것이지, 모시고 살라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물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유럽에서는 한 달 이상의 여행을 위해 각종 짐을 싣고 사람까지 태워서 가는 말이 불쌍하게 보였고, 동물학대로 보인 것이다. 

고의적인 학대 여부에 대해 무혐의를 받았지만 쉬즈시엔의 여행 지속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현지 경찰이 말의 신체 검사를 진행했는데 몸에 오래된 상처가 있어 장거리 여행에 적합하지 않으며 3주 후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쉬즈시엔에게 통보했다.

쉬즈시엔은 이번 사건으로 인해 긴 여정을 조기에 마쳐야 할 것 같다며 아쉬워했다. 대다수 중국 네티즌은 "말은 타라고 있는 거 아니냐"며 비난에 나섰다.

 

말은 타라고 있는 거 아닌가요?

 

말이 확실히 건강해 보이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운동하지 않으면 점점 약해질 거예요.

 

타는 거 아니면 말로 뭘 할 수 있나요?

 

해외의 동물을 살기 좋은 것 같아요.부러워요.

 

올림픽에서 하는 승마도 신고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해외에서는 이렇게 반감살 수 있는 일은 하지 마세요. 중국인을 대표하는 거잖아요.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