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원자력 굴기 한국에 위협이 될까? ... 장기적 관점에서 대비해야

 

그동안 글로벌 원자력 시장에서 한국은 독보적 위치를 구가해왔다. 기술력에서 이미 세계 선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원자력 굴기’는 이 같은 한국에 당장은 아니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적지 않은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이미 태양광 산업과 배터리 산업에서 한국은 중국의 물량공세에 밀려, 시장을 잃고 종국에서 기술력마저 뒤지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결국 미래를 위한 기술투자를 멈추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국의 지속적인 대응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꼽는 중국의 장점은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정부의 투자 지원이다.

실제 중국 당국은 신에너지 사업이 규모화 발전을 가속화하도록 수년간 지원을 멈추지 않고 있다. 중국 원자력과 관련해서도 이번 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중국원자력의 신에너지 부문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64% 증가해, 전체 수익 증가 속도보다 현저히 빨랐으며, 이는 회사 수익 성장을 견인하는 엔진 역할을 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원자력의 신에너지 발전량은 332억 2,700만 킬로와트시로 전년 대비 42.21% 증가했다. 이 중 태양광 발전량은 180억 6,900만 킬로와트시로 44.81% 증가했고, 풍력 발전량은 151억 5,800만 킬로와트시로 39.02% 증가했다. 신에너지 계통 연계 발전량은 326억 6,300만 킬로와트시로 전년 대비 42.07% 증가했다.

앞서 언급한 관계자는 “현재 중국원자력은 풍력 및 태양광 등 분야에서 다수의 운영 중 및 건설 중인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별 배치가 점차 최적화되고 자원 확보 능력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운영 자산이 점차 연결 재무제표에 반영되고 발전 효율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현 단위 추진'과 '신형 전력 시스템' 같은 정책적 호재가 더해지면서, 중국원자력의 신에너지 사업은 ‘자원 확보’에서 ‘고효율 운영’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협업이 명확하고 메커니즘이 완비된 통합 발전 루프를 구축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중국원자력의 총자산은 6,877억 위안(약 135조 8,276억 원)으로 연초 대비 4.24% 증가했으며, 모회사 주주 귀속 자본은 1,136억 위안(약 22조 4,37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1% 증가했다. 이 중 건설 중인 프로젝트는 2,078억 위안(약 41조 425억 원)에 달해, 중국원자력이 원자력 및 신에너지 분야에서 프로젝트 집중 건설기에 진입했음을 보여주었다.

보고서에서는 “자금 보장 측면에서 보면, 보고 기간 말 현금성 자산은 226억 6,800만 위안(약 4조 4,771억 원)이었다”고 밝혔다. 중국원자력은 신에너지 리츠(REITs) 발행, 부채-자본 전환, 전략적 신흥 산업 투자 유치 등 다양한 금융 수단을 활용해 부채비율을 낮추는 동시에 자기자본 기반을 강화했으며, 대규모 인프라 투자로 인한 재무 부담을 효과적으로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