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에서 이번엔 배달 라이더들의 노동환경 개선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중국은 최근 노동 환경 개선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최근 기사를 통해 라이더들은 한 건, 한 건의 노동으로 보수를 얻었고, 동시에 플랫폼에 막대한 이윤을 가져다주었으며, 플랫폼은 그들에게 더 나은 고용 조건을 제공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기사에 따르면 최근 저장성 항저우에서 뇌성마비 여성 라이더인 원징이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녀는 자강불식하며 부단히 노력했고, 비록 발걸음은 비틀거렸지만 굳건히 가정을 지탱하며 운명 앞에 고개 숙이지 않는 감동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신은 감동을 주었고, 동시에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게 했다. 수많은 ‘원징’들을 위해 어떻게 더 포용적인 고용 무대를 마련해, 모든 삶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존엄과 보장을 누릴 수 있게 할 것인가?
배달, 택배 등 플랫폼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새로운 고용 형태가 잇따라 등장했고, 이는 원징처럼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려는 수많은 노동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그들은 업계에 진입해 한 건, 한 건의 배달을 통해 수입을 얻었고, 동시에 플랫폼에 막대한 이윤을 안겨주었다. 이에 따라 플랫폼은 사회적 책임을 다해 이들에게 더 나은 고용 조건을 제공해야 했다.
원징의 경우, 플랫폼이 전기자전거를 무상으로 교체해주고 자녀의 학비를 부담함으로써 생활 부담을 줄여주었다. 그녀가 일하는 과정에서 겪는 여러 문제들도 점차 해결되어갔다. 예를 들어, 플랫폼은 인공지능 음성 발신 기능을 제공해 클릭 한 번으로 음식 수령을 알릴 수 있어 전화 소통 부담을 줄였고, 장애인 표시를 추가해 고객에게 이를 안내함으로써 배달 장벽을 줄이려 노력했다.
개인이 도움을 받는 수준을 넘어, 집단이 혜택을 누리고, 구체적인 지원에서 체계적인 보장으로 이어지기 위해 사회 각계는 더욱 노력해야 했다. 라이더의 고용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사회보장 체계를 완비해야 했다. 원징의 경우, 시급한 요구는 플랫폼이 그녀를 위해 사회보험을 납부해주는 것이었다. 그래야 치료나 병원 이용의 부담을 덜 수 있고, 장차의 삶을 위한 최소한의 보장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는 배달 라이더들이 공통적으로 바라는 일이기도 했다. 플랫폼은 이 업무를 서둘러 추진하고, 보다 적극적인 태도로 연금·의료 등 기본 사회보험을 납부해야 했으며, 새로운 고용형태에 걸맞는 직업 재해 보장을 하루빨리 보편화해 일선 종사자들의 ‘넘어지면 끝이다’, ‘아프면 버티기 어렵다’, ‘나이 들면 어쩌나’ 하는 근심을 덜어주어야 했다.
감독기관 또한 플랫폼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게 하며, 장애인 라이더를 포함한 모든 노동자의 고용 권익을 실질적으로 보호해야 했다. 일부 플랫폼은 이윤을 좇아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하는 현상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반드시 개입해 수수료 비율을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라이더들의 땀과 노력이 더 높은 가치를 지닐 수 있도록 해야 했다.
오늘날 국가는 노동자의 고용 권익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정책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 원징의 이야기는 단지 감동적인 서사에 그쳐서는 안 되었고, 업계 제도 개선을 위한 촉매제가 되어야 했다. 우리는 배달 라이더 등 새로운 고용군을 위해 더 많은 보장을 제공할 것을 촉구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그들이 마땅한 보상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