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국내 항공여객이 1억936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적 항공기의 지연율은 전년보다 소폭 감소했으며, 항공기 관련 사고와 준사고는 다행히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국토교통부는2017년 항공교통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17년 항공교통 서비스 보고서'를 발간하고, 홈페이지(http://www.molit.go.kr/airconsumer)에서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고 25일 밝혔다. 보고서에따르면 작년 한해 항공교통 서비스를 이용한 국내 여객은 모두 1천936만명으로 2016년에 비해 5.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나타낸 반면, 국적 항공기의 지연율은 9.5%로 전년보다 3.8%포인트 감소했다. 항공기관련 사고와 준사고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고, 항공기를 이용한 후 피해 구제를 신청한 경우는 100만명 당 11.4명으로 집계됐다. 항공기지연율은 그동안 여객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공항과 항로 등 인프라 부족으로 지속해서 증가해 왔으나, 지난해는 항공사 스케줄 조정 및 상습 지연편 관리 등 지연운항 개선 대책에 따라 2013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국내선지연율은 운송실적 증가(4.8%)에도 김포-제주 노선 스케줄 조
스포츠정신의 기대와 달리 이번 평창올림픽은 그 어느 때보다 정치색이 강했다. 북핵문제 탓이다. 개막식에 참석한 북한 김여정이나 미국 펜스 부통령의 긴장이 그랬고, 폐막식에 참석한 이방카 미 대표단 단장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긴장 관계가 그랬다. 특히김영철 부위원장의 방남으로 한국의 여론은 둘로 갈라졌다. 평화올림픽의 대가며, 앞으로 남은 한국의 숙제다. 과연 북핵 운명의 종착역은 어딜까? 국제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부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평창동계올림픽 폐막행사 참석을 위한 북측 고위급대표단이 25일 2박3일 일정으로 방남했다. 김영철 부위원장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수행원 6명 등 8명으로 구성된 고위급대표단이 도착한 것은 25일 오전 9시49분쯤, 경의선 육로를 통해 군사분계선(MDL)을 넘었다. 한국에서는천해성 통일부 차관이 이들을 CIQ에서 영접했다. 김영철부위원장은 CIQ에서 “천안함에 대해 어떤 생각이냐”, “방남 소감 한마디 말씀해 달라”는 등의 취재진 잇단 질문에 다소 굳은 얼굴로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은 채 지나갔다. 한국최대 야당인 자유한국당 의원 등이 김영철 부위원장의 방남 저지를 위해 서울로 향하는
북핵위기가고조될때만해도평창올림픽은불안의올림픽이었다. 그러나 그 평창이 평화와 감동의 올림픽으로 바뀌었다. 세계에 다시 한번 평화를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됐다. 평창올림픽이25일 폐막했다.한국은금메달5개, 은 8, 동 4개로 종합 7위를 기록했다. 1위는 금 14, 은 14, 동 11개를 기록한 노르웨이였다. 2, 3위는 각각 독일(금14, 은 10, 동 7)과 캐나다(금 11, 은 8, 동 10)가 차지했다.중국은금1개 은 6개, 동 9개로 16위에 랭크됐다. 전세계에평화와감독의메시지를전한것은참여한모든선수들이다. 각본 없는 감동의 드라마를 써낸 그들이 바로 영웅이다. 안경선배 · 아이언맨 … '깜짝 활약'에 짜릿'아이언맨 헬맷'을 쓰고 얼음 위를 질주했던 윤성빈 선수(24, 강원도청)는 한국 스켈레톤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압도적인 실력으로 1~4차 시기서 모두 1위를 기록해 '괴물'이라는 애칭까지 생겼다. 평창동계올림픽의 '깜짝 스타'라면 여자 컬링 대표팀을 빼놓을 수 없다. 김민정 감독과 김은정 스킵, 김영미, 김선영, 김경애, 김초희로 이뤄진 대표팀은 주전선수가 모두 김씨라 '팀 킴'(Team Kim)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들은 예
해동의 28일 자 [오늘의중국]입니다. 헌법과 법률의 권위는 인민의 신앙과 성심에서 유래한다."헌법과 법률의 권위의 원천은 인민의 신앙과 성심이다." 런민르바오人民日报의 28일 자 사설 제목입니다. 헌법 수정안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관영 매체들의 선전전도 가열되고 있습니다. 시진핑 주석은 헌법을 수호하고 법을 지키는 지도자다. 런민르바오 논평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그렇네요. 중화권 매체 가운데 친 중국적인 매체들 역시 중국 당국의 편을 들고 나섰습니다. 앞서 중국 언론인 리다퉁李大同 등은 곧 열릴 전인대에 공개서한을 보내 "연임 제한 폐지 반대"를촉구했습니다. http://opinion.people.com.cn/n1/2018/0227/c1003-29837962.html 올해 양회 보안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하다 중국 베이징北京의 신징바오新京报가 양회 분위기가, 역대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하다고 전했습니다. 보쉰博讯이 인용해 재보도 했네요. 양회 기간 어떤 비행 물체도 금지됐다고 합니다. 둬웨이多维는 양회를 앞두고 중국 당국이 수천 개의 정치성 활동을 하는 인터넷 계정들을 정리하고 있다고전했습니다. http://www.boxun.com/news/gb/ch
해동의 27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중국, 주석 임기 제한 폐지 관련 본격 여론전 전개중국이 주석과 부주석 임기 연임 제한을 폐지하기로 하면서 국제 사회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중국 관영 매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중국의 새로운 변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중국 당국이 관영 매체들과 관변 학자, 인터넷 여론을 동원해 여론전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환추스바오环球时报가 "서구 가치관 붕괴의 시대, 중국은 당의 영도로 '뭇 산을 내려다보는' 위치에 올랐다."라며 "2035년, 2050년의 신 목표를 위해 한순간의 시간도 낭비하지 말고 단결하자"라고주장했습니다. http://opinion.huanqiu.com/editorial/2018-02/11624320.html '한눈에 뭇 산 굽어보리라.'一览众山小,두보 싯구 등을 인용하며 문장이 화려합니다.신화新华통신은 "새로운 출발점에서 새로운 답을 써가자"라고 했네요. http://www.xinhuanet.com/politics/2018-02/26/c_1122456075.htm 나머지는 생략하겠습니다. 화려한 문장들이지만, 모두 같은 내용입니다. 시진핑은 '위안스카이 2세', …
해동의 26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중국이 국가 주석과 부주석 임기 제한 폐지를 합니다. 우려는 크고, 기대는 적은상황입니다. 중국, 19기 3중전회 앞당겨 개최, 국가 주석과 부주석 임기 제한 폐지 … 중국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중국 19기 3중전회가 26~28일간 베이징北京에서 열립니다. 이렇게 열리는 것은 전례가 없다고 하네요. 그만큼 전례 없는 일들이 벌어진다는 의미라고 중국 전문 매체들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헌법 개정을 하면서 국가 주석, 부주석 연임 횟수 제한을 없앤 것입니다. 현재는 연임만 가능하죠. 중화권 매체들은 마오쩌둥毛泽东의 종신제 부활이라고 평하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 등 서방 매체들 역시 기대보다 우려의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시진핑习近平 주석의 '황제의 꿈'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했습니다. 밍바오明报는 중국 평론가의 "덩샤오핑邓小平이 애써 폐지한 종신제 부활을 우려한다"라는 분석을전했습니다. https://news.mingpao.com/pns/dailynews/web_tc/article/20180226/s00001/1519583438872 인류 운명 공동체 건설, 중국 헌법상 외교 대 원칙 된다. 이번 개헌안
글=이동경 李东京 firstbest623@naver.com
해동의 23일 자 [오늘의중국]입니다. 국제앰네스티 2017/2018 년 중국 인권보고서, 인권 상황 악화일로국제앰네스티가 22일 세계 인권 현황에 대한 보고서를 냈습니다. 미국과 유럽의 난민 정책이 세계 인권 수준을 크게 떨어뜨렸다고 지적을 했습니다. 중국에서도 인권 상황이 악화일로라고 합니다. 중국 인권운동가인 후자胡佳는 자유아시아방송 인터뷰에서 중국 인권 변호사들에 대한 탄압이 2017년 최절정에 달했다고말했습니다. https://www.rfa.org/mandarin/yataibaodao/renquanfazhi/hc-02222018103845.html 중국 4년간 영국 해군 정도 규모 만들어. 중국의 해군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주변국의 우려를 낳고 있는 가운데, 런던의 국제전략연구소(IISS)는 22일 워싱턴에서 세계 군사력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지난 4년간 중국 해군이 내놓은 전함의 규모를 합치면 영국 전체 왕가 해군 규모를 넘는다고 합니다. 해군력은 이미 프랑스를 넘어선 것으로판단했습니다. https://www.voachinese.com/a/china-iiss-military-base-20180222/4266535.ht
해동의 22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일대일로가 사면초가 상황에 점점 빠지고 있는 소식이 많네요.중국 스스로도 인정하고 자숙하며 성심을 보이자고합니다. 몰디브 사태, 중국 군함 파견설 돌아둬웨이가 인도 호주 등의 외신 종합을 통해 중국 군함 11척이 인도양 몰디브 인근 해역에 운집해 있어, 몰디브 현 정권 보호 용이 아니냐는 설이 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은 해군 훈련으로 인한 것이지, 몰디브 사태와 연관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몰디브 야당의 요청으로 군사 개입을 고려하고 있는 인도에서는 분석 시각이 다릅니다. 몰디브 국방부는 "어떤 외국 세력도 몰디브 주권이 미치는 해역에 들어오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면 "국내 누구도 해외 세력을 끌어들여서는 안된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재 몰디브는 게엄기간을 연장하고, 군사력을 동원해 야당 인사들을 억압하고 있습니다. 인도양 세이셸, 몰디브에 이어 중국 인도 갈등 지역으로 떠올라중국의 인도양에서 세력 확장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가 지난 1월 말 세이셸과 협약을 맺고 해군기지를 건설해 20년간 이용키로 했다고 합니다. 이는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절대적인 위협이 될 수
중국의 최대 명절인 '춘제'(春节) 공휴일도 어제로 모두 끝났습니다.이제부터는 중국에서도 그동안 닫았던 가게를 열고 다시 회사에 출근해야 하는데요.사실 '춘제'(春节) 기간은전국에서 고향으로 오는 많은 남녀들이 함께 맞선을 보는 시기이기도 합니다.중국 사람들이 보는 맞선에는 어떤 특징들이 있을까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시죠! 85허우 남성과 90허우 여성, 결혼 독촉에 시달리는 비율과 이성을 소개받는 비율이 가장 높아한국 미혼남녀들이 명절 귀향길을 꺼리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는 '결혼 독촉'인데요. 중국도 예외는 아닌가 봅니다. 친척들을 만날 때 '85허우' 남성과 '90허우' 여성이 가장 '결혼 독촉'을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동시에 친척들이 가장 많은 맞선 자리를 소개해주는 나이입니다. 66%의 '85허우'남성과 52%의 '90허우' 여성이 명절에 맞선자리를 소개받는다고 합니다. 특이점으로 40세가 넘어가도 남성의 맞선 소개 비율은 50%가 넘었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20% 정도 수준에 머물렀다고하네요. 독신이 가장 많은 도시 1위는 베이징, IT 직종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독신多중국에는2억 명 이상의 독신들이 있습니다. 인구의 15% 이상을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