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정치 올림픽, 평창올림픽

        

 

 

스포츠 정신의 기대와 달리 이번 평창올림픽은 어느 때보다 정치색이 강했다.

북핵 문제 탓이다. 개막식에 참석한 북한 김여정이나 미국 펜스 부통령의 긴장이 그랬고, 폐막식에 참석한 이방카 미 대표단 단장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긴장 관계가 그랬다.

특히 김영철 부위원장의 방남으로 한국의 여론은 둘로 갈라졌다. 평화올림픽의 대가며, 앞으로 남은 한국의 숙제다. 과연 북핵 운명의 종착역은 어딜까? 국제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평창동계올림픽 폐막행사 참석을 위한 북측 고위급대표단이 25일 2박3일 일정으로 방남했다. 김영철 부위원장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수행원 6명 등 8명으로 구성된 고위급대표단이 도착한 것은 25일 오전 9시49분쯤, 경의선 육로를 통해 군사분계선(MDL)을 넘었다. 한국에서는 천해성 통일부 차관이 이들을 CIQ에서 영접했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CIQ에서 “천안함에 대해 어떤 생각이냐”, “방남 소감 한마디 말씀해 달라”는 등의 취재진 잇단 질문에 다소 굳은 얼굴로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은 채 지나갔다.

한국 최대 야당인 자유한국당 의원 등이 김영철 부위원장의 방남 저지를 위해 서울로 향하는 길목인 통일대교 남단 도로를 점거한 농성을 벌였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 2010년 발생한 천안함 폭침 사건의 배후로 지목돼 왔다.

정부는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인 것은 맞지만 부위원장이 주도했다고 단정할 없고 부위원장이 통일전선부장으로서 남북관계 개선과 비핵화 진전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책임 있는 인물이라며 방남 요청을 수용했다.


강지현 기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