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평화의 올림픽, 평창올림픽 폐막

북핵 위기가 고조될 때만 해도 평창올림픽은 불안의 올림픽이었다. 그러나 그 평창이 평화와 감동의 올림픽으로 바뀌었다. 세계에 다시 한번 평화를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됐다.

평창올림픽이 25일 폐막했다. 한국은 금메달 5개, 은 8, 동 4개로 종합 7위를 기록했다. 1위는 금 14, 은 14, 동 11개를 기록한 노르웨이였다. 2, 3위는 각각 독일(금14, 은 10, 동 7)과 캐나다(금 11, 은 8, 동 10)가 차지했다. 중국은  1개 은 6개, 동 9개로 16위에 랭크됐다.

 세계에 평화와 감독의 메시지를 전한 것은 참여한 모든 선수들이다. 각본 없는 감동의 드라마를 써낸 그들이 바로 영웅이다.


 

 


 

 

 

  

안경선배 · 아이언맨 … '깜짝 활약'에 짜릿  '아이언맨 헬맷'을 쓰고 얼음 위를 질주했던 윤성빈 선수(24, 강원도청)는 한국 스켈레톤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압도적인 실력으로 1~4차 시기서 모두 1위를 기록해 '괴물'이라는 애칭까지 생겼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깜짝 스타'라면 여자 컬링 대표팀을 빼놓을 수 없다. 김민정 감독과 김은정 스킵, 김영미, 김선영, 김경애, 김초희로 이뤄진 대표팀은 주전선수가 모두 김씨라 '팀 킴'(Team Kim)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들은 예선 라운드 9경기에서 8승1패의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세계 랭킹 1위 캐나다, 2위 스위스, 3위 러시아(OAR) 등 강적을 잇따라 잡았고, 유일하게 일본에게만 졌다.

하지만 이내 설욕했다. 지난 23일 일본과 다시 맞붙은 준결승전에서 연장전까지 가는 팽팽한 승부 끝에 8-7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무표정하고 냉정한 표정이 트레이드마크라 '안경선배'로 불린 김은정 스킵은 그제서야 안경을 벗고 눈물을 흘리며 관중들에게 거수경례를 했다.

 

금메달 놓쳐도 "잘했어", 이런  '팀워크' 지난 18일 1500m 결승에서 4위를 기록한 김아랑 선수(23·고양시청)는 '맏언니' 역할을 톡톡히 해 ‘팀워크’의 진수를 보여줬다. 당일 김 선수는 간발의 차로 메달을 놓치고도 금메달을 딴 뒤 기쁨의 눈물을 흘리고 있는 최민정 선수(20·성남시청)에게 다가가 격려했다. 김 선수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도 "같이 결승 와서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와서 기쁘다"며 "민정이가 1등해서 너무 기특하다"고 축하했다.

대표팀은 지난 20일 강릉 스케이트 아레나에서 열린 3000m 계주 결승에서 4분7초361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해 금메달을 땄다. 대표팀은 레이스 초반 중국과 캐나다와의 자리 싸움에서 밀렸지만, 6바퀴를 남기고 김아랑 선수가 스피드를 올려 2위에 올라섰다. 이어 최민정 선수가 바깥쪽 추월에 성공하며 1위에 올라섰다.


김샛별 기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