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항공여객이 1억936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적 항공기의 지연율은 전년보다 소폭 감소했으며, 항공기 관련 사고와 준사고는 다행히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항공교통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17년 항공교통 서비스 보고서'를 발간하고, 홈페이지(http://www.molit.go.kr/airconsumer)에서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고 25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해 항공교통 서비스를 이용한 국내 여객은 모두 1천936만명으로 2016년에 비해 5.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나타낸 반면, 국적 항공기의 지연율은 9.5%로 전년보다 3.8%포인트 감소했다.
항공기 관련 사고와 준사고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고, 항공기를 이용한 후 피해 구제를 신청한 경우는 100만명 당 11.4명으로 집계됐다.
항공기 지연율은 그동안 여객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공항과 항로 등 인프라 부족으로 지속해서 증가해 왔으나, 지난해는 항공사 스케줄 조정 및 상습 지연편 관리 등 지연운항 개선 대책에 따라 2013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국내선 지연율은 운송실적 증가(4.8%)에도 김포-제주 노선 스케줄 조정, 승객 하기·정비 등을 위한 지상 체류시간 확대, 대형기 대체 투입을 통한 감편 등으로 전년 대비 6.6%포인트 감소한 12.0%를 나타냈다.
국제선 지연율은 운송실적 증가(5.4%)로 인한 공항 및 항로 혼잡, 선행편 지연으로 인한 연결 지연이 많아지면서 전년 대비 0.7%포인트 증가한 5.9%를 기록했다.
8개 국적 항공사의 평균 지연율은 5.9%로, 외국 항공사 지연율 6.5%에 비해 다소 낮았다. 노선별로는 혼잡한 중국 상공 항로를 이용하는 유럽과 중국 노선 지연율이 각각 10.2%와 7.4%로 높게 나타났고, 인천-동남아행 항로를 활용하는 동남아와 서남아 노선도 지연율이 높았다.
강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