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만7000개" 중국이 지난해 11월말 기준으로 전국에 세운 5G 기지국 수다. 5G는 지금까지 상용화된 가장 빠른 통신 기술이다. 이 속도로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사물과 사물을 잇는 '사물 인터넷'이 가능해졌다. 사물 인터넷이 가능해지면서 사물이 중앙컴퓨터에 접속해 통제를 받는 유니버스 개념이 실현될 수 있게 됐다. 한국의 네이버는 이 개념을 활용해 건물 전체 일반 택배 서비스를 깡통로봇이 할 수 있는 건물 운용 시스템을 만들었다. 여기서 깡통로봇이라 한 것은 로봇 내부에 고가의 컴퓨터 기능이 없이 통신기기만 설치한 로봇이기 때문이다. 모든 고급 제어는 중앙컴퓨터와 통신을 통해 이뤄진다. 로봇은 중앙컴퓨터가 통신으로 지시한 움직임, 가고 멈추고 배달하는 기능만 수행하면 된다. 자체 센서를 통해 그 움직임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발 사태를 인지해 중앙컴퓨터에 보고하고 다시 지시를 받아 실행한다. 이 같은 5G 통신은 또 가상 공간을 언제든 통신 접속기를 통해 열어 볼 수 있는 메타버스 역시 가능케 만들었다. 물론 아직 메타버스의 실현이라고 하기에는 보다 다양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사람이 열린 가상공간을 보다 리얼하게 체험하기 위한 다양한 감응기술이 아직 미흡
'15.6%' 지난해 1~11월 간 중국 서비스업 수출입 규모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두 자릿수 증가다. "누가 중국을 '세계의 공장'이라고 했던가?" 마치 항변하듯 중국의 서비업 수출입 규모가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주목되는 게 지식 집약형 서비스 수출입 규모가 10%대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중국이 세계의 소비재를 만느는 '손'에서 세계의 다른 나라 공장들에게 이렇게 저렇게 만들라고 하는 '머리'가 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경제가 빠르게 하나로 묶이면서 등장한 산업 생태계에서 중국은 빠르게 상층부로 진입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중국보다 위, 일본보다 아래에 있는 한국에게는 극도의 위협이 된다. 미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한국이 보다 적극적인 태도로 대응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국 상무부(商务部)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중국 서비스업 수출입 규모는 5조4046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했다. 서비스업 수출액은 2조583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 성장했으며, 수입액은 2조821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6% 성장했다. 수입이 수출보다 2376억 위안 많았다. 지난해 중국 서비스
'8.3%' 지난해 1~11월간 중국의 전자정보(IT) 제조 산업의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수출은 줄었고, 투가가 늘었다. 수출 감소는 미국 등의 견제 탓으로 보이고, 투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당국이 적극 나선 때문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경제 질서 구축을 위한 미중 갈등의 현주소가 중국의 IT산업 부가가치 발전 속에 그대로 녹아 들어가 있는 것이다. 중국의 IT산업 부가가치는 현재와 같은 성장세를 유지 할 수 있을까? 바로 미중 갈등의 방향의 가늠자가 되는 셈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전자정보 제조업 생산은 둔화되고 수출 성장률을 감소했으며 투자는 비교적 빠른 성장을 유지했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규모 이상(规上)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8.3% 증가했으며 공업 제조업보다 4.5%, 첨단 기술 제조업보다 0.3% 높았다. 주요 전자정보 제품 중 휴대전화 생산량은 14.5억 대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그 중 스마트폰 생산량은 10.9억 대로 전년 대비 3.7% 감소했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 장비 생산량은 3.82억 대로 전년 대비 10.8%, 집적회로 생산량은 2958억 개로
공산독재의 의미는 정치권력의 일당주의에만 있지 않다. 근본적으로 국가가 모든 국민의 일자리를 책임진다는 데 있다. 그게 바로 '노동자 천국'이라는 공산사회주의의 존립 가치다. 중국은 과거 공산사회주의 경제제체를 견지했고, 모든 국민의 일자리를 당이 결정해줬다. 일자리 배정이 늦어져 노는 이들이 있을 수 있기도 했지만, 중국 공산당은 어떻게든 모든 국민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려 노력했다. 사실 국민 대동원이 가능한 것도 이 때문이다. 모든 국민에게 줄 일자리가 없으면 과거 한국 새마을 운동이 그러했듯 모든 국민들에게 마을 청소, 마을 정비 작업을 시키고 국가가 배급량을 맞춰주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 같은 경제 활동은 사회적 생산량 증가와는 무관한 일이었다. 경제 활동을 했는데 사회적 생산량이 늘지 않았고, 정부가 지급만 해줘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정부가 최소 생활을 위한 식량, 생필품 배급을 못해주니 수많은 백성들이 굶어 죽는 사태가 발생했다. 마오쩌둥 시절 '대약진 운동'의 실패가 실제 사례다. 이 같은 경험을 통해 중국은 사회적 생산량 증가의 중요성에 대해 뼈저리게 인식을 하게 됐다. 덩샤오핑은 공산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모순, 사회 개개인들이
'14조2983억 위안' 약 2641조 원이다. 지난 2021년 중국의 특허 밀집형 산업의 부가가치액이다. 이 부가가치가 커진다는 것은 중국의 산업이 '기술 중심' 형태로 변하고 있다는 의미다. 2021년 특허 밀집형 산업 부가가치액은 전년 대비 18%가량 성장한 수치다. 중국 '기술 굴기'의 속도가 매년 20% 가까이 성장한다는 얘기다. 연 20% 성장은 복리성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4년이면 배가 된다. 그래서 요즘 중국에서는 '10년 상전벽해'가 아니라 '4년 상전벽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1년 특허 밀집형 산업 부가가치’가 14조2983억 위안(약 2641조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7.9% 증가한 것으로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보다 4.5% 높았다.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44%로 전년 대비 0.47% 증가했다. 이같은 수치는 중국의 GDP구성이 단순 제조업에서 기술집약형 제조업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기술 집약형 산업이 성장하면 중국은 글로벌 공급망 없이도 자국내 기술부터 제조까지 공급망 라인을 두루 갖춘 세계 유일의 국가가 될 수 있다. 미국이
'7조5600억 위안' 약 1390조 원이다. 지난 1~11월간 중국 광둥(廣東)성의 대외무역 수출입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1%가량 늘었다. 중국 광둥성은 중국에서도 대외 무역 수출입액이 가장 큰 곳이다. 중국 제조업의 대표주자다. 광둥성 덕에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지금도 세계 대부분의 소비재 제조품은 광둥성 공장들에서 만들어진다. 광둥성의 지난해 경제 성적은 결국 중국 전체의 성적을 가늠케하는 리트머스 시험지인 셈이다. 중국 세관총서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광둥성의 대외무역 수출입은 7조5600억 위안(약 1390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중국 전체 수출입의 19.7%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그 중 수출은 4조86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고, 수입은 2조7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했다. 지난해 11개월 동안 광둥성의 일반 무역 수출입은 전년 대비 6% 증가해 광둥성 수출입 총액의 54.9%를 차지했다. 또 가공무역 수출입은 2.9% 감소해 수출입 총액의 25.9%를 차지했다. 보세 물류는 4.7% 증가해 수출입 총액의 16.2%를 차지했다.
'12.8%' 지난 2021년 중국의 여행업 부가가치 전년 대비 증가폭이다. 코로나19 봉쇄 정책 속에서도 놀라운 성장이다. 해외로 나가지 못하게 하니, 중국 내 허락된 여행지에 집중적으로 몰린 덕이 아닌가 싶다. 세상이 왜 중국에게 '코로나19 봉쇄'를 풀라고 하는지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그럼 봉쇄를 풀면 세상은 좋아라 할까? 결국 중국이 봉쇄를 풀었다. 세상을 향해 잠가 걸었던 출입국의 빗장도 열었다. 세상이 좋아할까 싶었는데 아니었다. 중국 전역에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며 환자가 폭증했다. 각국이 경악을 금치 못하고 중국인에 대한 출입국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다. 참 아이러니컬한 일이다. 사실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을 '비인도적' 정책이라 욕하고, 글로벌 경제에도 해가 된다고 주장하던 게 서구 언론이었다. 이제는 중국의 코로나 정책이 무책임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모두가 중국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탓이다 싶다. 아니면 제대로 알고도 중국 당국을 곤혹스럽게 하기 위한 것인지도 모른다. 세상에게 중요한 것은 중국의 시장성이다. 관광 측면에서도 중국은 세계 최대 고객이다. 그런 중국에서 해외여행을 하지 못하게 하니 뭐라한 것이고, 해외여행은 하게
'314억6000만 위안' 올 1~11월, 중국 푸젠성의 외자 사용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8% 이상 늘어난 수치다. 푸젠성은 푸저우(福州), 젠닝(建寧) 두 개 지역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한국의 경상도가 경주와 상주의 첫 글자를 따고, 전라도가 전주와 나주의 첫 글자를 따 만든 것과 같은 이치다. 푸젠성은 중국에서는 23번째로 땅덩어리가 크다. 약 3900만 명의 인구로 중국 인구 서열 17위다. 약칭은 민(閩)으로 과거 이곳에서 세력을 형성했던 오랑캐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청나라 때부터는 푸젠성이라 불린다. 예로부터 경제가 발달해 민남금삼각(閩南金三角)이라고도 불렸다. 푸젠성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산해경이다. 산해정의 '해내남경 10권'에 "민은 바다에 위치하여 그 서북쪽에 산이 있고, 민중산은 바다에 있다"고 전해진다. 민의 한자 가운데는 뱀이 있다. 그래서 "민남인은 본래 뱀을 숭배하는 민족"이라는 설도 있다. 대표적인 도시는 타이완과 인접한 샤먼이다.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푸젠성의 외자 사용액은 314억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자 사용액 중 첨단 산업과 제조업의 비중이 높았다
'228만7000개' 지난달 기준 중국의 5G 인터넷 기지국 수다. 막대한 숫자다. 중국이 5G 분야에서 한국을 넘어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가겠다는 의지의 반영이다. 반면 한국은 세계 최초의 5G 서비스에는 성공했지만, 추가 투자를 주저하면서 진정한 5G시대를 열지 못하고 있다. 5G통신 서비스는 모바일의 메타버스 구현을 가능케한다. 데이터 전송의 속도와 안전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메타버스는 통신망으로 가상의 공간을 구축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든 이 가상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출입, 바로 메타버스의 새로운 개념이다. 과거 통신은 접속해서 통신망에 담겨진 자료나 동영상을 보는 정도였다면, 이제 메타버스로 구현된 가상 공간은 하나의 실존하는 공간이다. 그 공간이 실제가 아닌 것뿐이다. 실제가 아닌 가상의 공간이지만, 그 공간에서 사람들이 체험하고 인식할 수 있다는 게 현존하는 가상공간과의 차이다. 중국 공신부(工信部)에 따르면, 중국의 5G 네트워크는 꾸준히 구축되고 있으며 11월말 기준 5G 네트워크 기지국 수는 총 228만7000개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86만2000개 증가한 수치이다. 중국의 5G 가입자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10.4%' 올 1~11월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 매출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코로나19 방역 봉쇄로 언택드 문화가 확산되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매출 성장률과 이윤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자연스로운 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반응이다. 미국이 중국 견제에 들어간 이유이기도 하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네티즌을 보유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디지털 경제 규모도 세계 최대다. 중국에서 나온 IT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성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이유다. 가장 많은 빅데이터도 가장 정교한 AI(인공지능) 학습이 가능한 덕이다.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11월 중국의 소프트웨어 산업 매출은 9조 4672억 위안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 이윤 총액은 1조 1140억 위안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수출 또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1~11월 소프트웨어 산업의 수출은 47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다. 제품 및 서비스별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