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92억6000만 위안' 한화로 61조 원가량이다. 중국 2020년 숙박업체들의 매출 총액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7% 줄어든 수치다.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의 해다. 코로나19가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 경제, 특히 관광숙박업의 매출을 동여맸다. 중국 관광산업은 무엇보다 내국 관광객들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중국 당국은 코로나 감염 확산에 아예 도시 자체를 봉쇄하고 시민들의 이동을 막는 조치로 대응하고 있다. '코로나 제로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게 중국 당국의 방침이다. 이 때문에 2020년 중국 관광산업의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이 됐다. 전통적인 관광 도시 베이징, 상하이 지역의 피해가 컸다. 특히 광둥지역은 손실이 컸다. 거의 모든 도시 관광산업이 적자를 기록, 손실 규모가 큰 순서로 살피는 게 빠를 정도다. 중국 매체들은 지난 2020년 중국 숙박업이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 전년보다 이익 손실폭이 4배 커졌다고 전했다.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중국 숙박업체의 총 매출액은 3292억6000만 위안으로, 전년보다 22.7% 감소했다. 이윤 총액은 414억 위안의 손실을 보았다. 이익 손실 폭은 작년의 4배이다. 광둥 지
'1만7581개' 2020년 중국의 예술공연단체 기관의 수다. 2020년까지 이들의 공연수는 223만1900번에 달한다. 이중 99.8%가 중국 내에서 이뤄졌다. 대략 5400번의 공연이 해외에서 이뤄졌다. 그만큼 중국인들에게 예술은 생활이다. 과거 마을마다 즐거운 일이 있으면 꼭 예술단을 불러 공연하며 축제를 벌였다. 주민들을 하나로 묶으면서 축제 기간만큼은 그동안 묵혔던 잔감정을 해소하라는 의미다. 중국 공연단체들의 퍼포먼스는 최근 예술성을 더하고 있지만, 아직은 대중적인 서커스 내지는 기예 성격이 짙다. 서커스가 예술이 아니라는 의미가 아니다. 기술 차원에서 예술적 측면의 부가가치가 많이 더해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하지만 최근에은 빠르게 예술성도 확보하고 있다. 최근 몇몇 공연은 기술적 측면, 예술적 구성에서 세계인들의 극찬을 받고 있다. 구성 철학이 유치한 면이 여전히 있지만 단순히 기술 예능에서 철학을 담은 문화 예술로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중국 예술단체의 규모, 시장 규모는 이 같은 일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예술공연단체들은 중국 전역에 퍼져 있다. 특히 허난(河南)성, 안후이(安徽)성에는 각각 23
중국은 인문의 나라, 문화의 나라다. 사람이 많은 덕이다. 매번 되풀이 하지만 누구도 부인하지 못하는 사실이다. 하지만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중국의 문화산업 수준은 극히 낮았다. 경제 수준이 뒷받침해주지 못한 탓이다. 하지만 개혁개방의 결실이 나오면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지의 문화산업은 급속히 발전한다. 생활이 풍족해진 도시민들이 더 즐길 곳을 찾아 나선 때문이다. 그들 가운데 재주 있는 이들이 문화를 선도하고, 대부분이 그들의 작품을 즐긴다. 문화인이 살아갈 토양이 풍족하다. 한국에서 책을 써 3000권이 팔리면 "잘 팔렸다"하는데, 중국에서는 웬만하면 1만권이 팔린다. 생활수준을 고려한 화폐가치로 평가할 때 한 작가가 충분히 창작 활동만 해서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재주꾼들이 도전을 하고, 그 가운데 성공하는 이들이 나온다. 역대 문화유산은 당대의 수용자의 수준이 항상 좋은 작품을 고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중국 문화는 대체로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강북 문화와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남동 문화, 광저우를 중심으로 남서문화로 생각해볼 수 있다. 대략 과거 강남북 문화 구분과도 일맥한다. 수도 베이징을 품은 강북 문화
'관료의 나라' 중국의 전통적인 모습이다. 춘추전국시대 이래 무장이 천하를 통일하면 문관들이 나라를 다스렸다. 대를 이어 문관을 배출하면 당대 최고의 집안, 귀족이 됐다. 수·당 시기 관료를 배출하는 과거제가 자리를 잡으면서 공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관료 집안들이 독점을 했고, 그 기회와 능력을 세습하면서 세습관료가 탄생했다. 관료는 중국에서 부와 권력을 한 번에 쥐는 유일한 기회였다. 오늘날 중국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 절차가 과거가 아니라 공무원 시험으로 대체됐을 뿐이다. 과거제가 나라에서 일할 관료를 뽑는다는 점에서 오늘날 공무원시험과 다를 게 없다. 한국에서 고시제도가 빠르게 자리 잡았듯 중국에서는 공무원시험이 빠르게 과거제를 대체하며 자리 잡고 있다. 매년 전국에서 수십만명의 응시자들이 줄을 잇는다. 베이징대학의 도서관 책상마다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책에 머리를 파묻고 있다. 그런데 그 공무원시험을 보는 데 가장 외면받고 있는 전공들이 있어 해당 전공 학생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1위가 소수민족의 언어를 전공하고 보존하는 일이다. 정말 '쩝'이다. 지켜야할 문화라 하지만 실제 지키고 싶은 사람이 없는 셈이다. 1. 小语种外语专业
중국 베이징은 국제 도시로서 규모가 남다르다. 그만큼 외국인들이 많다. 국적도 다양하고 그 숫자도 많다. 자연히 이런 외국인들을 위한 교육이 발달해 있다. 베이징의 국제학교들은 무엇보다 중국어와 국제학교의 배경 국가, 예컨대 프랑스의 경우 프랑스어를 중심으로 수업이 이뤄져 최소한 2개 국어를 배울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 가운데는 대체로 미국와 영국, 캐나다 등이 운영하는 국제학교를 보낸다. 영국 학교가 특히 선호되는데, 문제는 역시 학비다. 중국 자체에서는 미국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리마이외국학교가 최고로 꼽힌다. 1. 北京力迈外国语学校 (베이징리마이외국어학교) 베이징 리마이외국어학교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 특화 학교이다. 국립올림픽파크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철 5호선과 인접해 있다. 위치가 우수하고 교통이 편리하며 설비가 우수하고 환경이 아름답다. 초·중·고 과정이 운영되며 미술·음악·무용전공교실과 체육관·농구장·축구장 등이 조성돼 있다. 2. 北京市山谷学校 (베이징산위학교) 베이징 산위학교는 캐나다 케임브리지국제중학교가 중국에 설립한 분교로 진정한 의미의 국제학교다. 초·중·고 교육을 포함해 베이징시 문두구(門頭溝
중국은 교육 대국이다. 역시 사람 덕이다. 사람이 많다 보니 그들의 자녀를 가르치는 교육 산업도 흥할 수밖에 없다. 경제, 사회가 기본적으로 사람의 활동이다. 그만큼 중국은 사회와 경제의 다양한 제도 발전에서 우세를 가질 수밖에 없다. 교육은 그중에서도 특별하다. 교육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유교적 사고가 중국에서 나왔다. 과거 서구는 왜 화교들이 가는 곳곳에서 성공하느냐는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한 적이 있다. 재미 있는 것은 성공한 화교들 대부분이 전통적인 유교적 교육관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유교적 배경이란 다름아니라 충효의 사상이다.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를 다하는, 한 마디로 전통적 가르침을 잘 따르는 가치관이다. 그러면서 조화를 중시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길 추구한다. 교육은 오늘날 중국에서 갈수록 중시되고 있다. 지난 2020년 인터넷 교육 사업 규모만 4003억8000만 위안에 달할 정도다. 중국의 교육 관련 기업들의 순위를 살펴봤다. 1.新东方 (신동방) 신동방은 1993년 유민홍이 베이징에 세운 온라인 교육 업체이다. 중국에서 지명도가 매우 높아 온라인 교육 브랜드 랭킹 조사에서 항상 1위를 차지한다. 우수한 교사 자원과
중국에서 불교는 도교와 함께 민간 정신세계의 두 줄기 가운데 하나다. 인도에서 유래했지만 중국에서 꽃피운 게 바로 불교다. 불교는 범어, 산스크리트어를 한자로 번역하는 과정에 중국식의 새로운 개념들이 많이 첨가됐다. 본래 언어는 외래어를 만나 번역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새로운 발전의 전기를 맞는 법이다. 근대 독일어가 루터의 종교개혁 덕에 라틴어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면서 현대 독일어의 새로운 변화의 전기를 맞았던 것과 같은 이치다. 결과적으로 불교의 전래는 중국의 전통 정신세계를 더욱 공고히 해줬다. 불경에서 이야기되는 수많은 한자적 개념들은 그 자체의 완결성을 지닌다. 그런 불교를 수련했던 중국의 불교 사찰은 화려하고 웅장하기로 이름이 높다. 도교의 사찰이 신비로운 곳에 위치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중국 불교 4대 사찰을 정리해봤다. 1. 文殊道场五台山 (오태산 문수사원) 전설에 따르면 오태산은 문수보살이 설교한 장소에 지어진 사원으로 중국 사람들 누구에게나 친숙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4대 불교 성지 중 하나로 승려와 평신도들의 신앙적 구심점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과거 황제들과 귀족계층의 많은 후원과 지지를 받았다. 한족, 티베트족, 만주족,
중국은 문어와 구어가 다른 유일한 나라다. 문어는 구어와는 완전히 다른 언어다. 표의문자이다 보니 중국어와 같은 공감각적인 글이 나오는 언어가 없다. 의성어와 의태어 역시 남다른 의미를 가진다. 예컨대 도도(滔滔)라는 말의 도(滔)는 물이 넘친다는 의미다. 그런데 도도의 중국어 발음은 '트아오트아오'의 소리를 형상화한다. 즉 거대한 파도의 움직임 소리다. 도도한 강물은 거대한 물이 넘치는 형상이면서 동시에 소리인 것이다. 이 같은 공감각적 표현이 가능한 게 중국어다. 그래서 중국어는 책을 읽을 때 또 다른 묘미를 준다. 그 책이 온라인 형태든, 종이 형태이건 차이가 없다. 그렇다면 중국에서 도서관이 많은 곳은 어딜까? 최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쓰촨성에는 207개의 공공도서관이 있어 중국 내 1위를 차지했다. 허베이성(176개), 허난성(166개), 산둥성(154개), 윈난성(149개)이 그 뒤를 이었고, 베이징과 상하이는 각각 23개로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었다. 전체 공공도서관의 열람실은 광둥성이 12만 석 이상으로 가장 컸고 하이난, 칭하이, 티베트 등은 공공도서관의 열람실이 7000석 미만으로 가장 적었다. 1위: 쓰촨성 2위: 허베이성 3위: 허
중국은 공안의 나라다. 공안은 공공안전의 줄임말이다. 공공안전을 책임진다는 의미다. 우리는 경찰이라고 부른다. 경계하고 살핀다는 의미다. 경찰은 시민을 살펴본다는 의미가 있다. 공안보다 좀 더 권위적이며 감독 기능을 한다는 의미가 있다. 공안은 그렇지 않다. 즉 공안이라는 용어가 경찰이라는 용어보다 훨씬 시민 친화적인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현실이다. 현실에서 중국 공안은 무소불위 권한을 지닌 권력기구다. 한국의 경찰은 말 그대로 시민의 지팡이, 시민을 위한 봉사자로 여겨진다. 중국 공안은 현재 도시의 최고 권력자다. 한국의 기소독점권과 같은 권한이 중국 공안에게 있다. 현장에서 못 본 척하면 그걸로 끝이다. 이 때문에 중국 공안에서는 항상 부정부패가 판을 친다. 중국에서는 이 때문에 공안을 미화한 드라마가 많다. 드라마는 흔히 현실의 희망이라고 하는데 공안 소재 드라마들이 딱 그렇다는 게 중국 현지 문화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중국 드라마에서 공안은 가족과 자신의 이익은 뒤로 하고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심지어 헌신을 하고 인정을 받을 즈음에 병에 걸려 죽으며 보는 이들의 눈물을 짜낸다. 공안의 권한이 지대하다보니 경찰대
"책상 다리 빼고 다리 달린 건 다 먹는다." 바로 중국의 다양한 요리를 표현하는 말이다. 약간의 폄하의 뜻도 있다. 별 걸 다 먹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그만큼 풍성한 중국의 먹거리를 일컫는 상징적인 문구다. 말 그대로 중국은 다채로운 요리의 나라다. 사람이 많다 보니 그만큼 기호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중에서 특히 정말 많은 중국인들이 찾은 요리들이 있다. 중국 요리를 대표하는 요리들이다. 비싼 것이 아니라, 가장 대중적인 요리다. 한국으로 치면 짜장면, 짬뽕같은 요리다. 중국에는 어떤 게 있을까, 살펴봤다. 1위로는 국내에서도 유명한 '마라탕'이 꼽혔다. 1. 麻辣烫 마라탕 마라탕은 현재 중국 시장 점유율 1위의 음식으로 쓰촨, 충칭 지역에서 가장 특색 있고 대중적인 메뉴로 꼽힌다. 중국인들에게 가장 사랑받고 흔한 음식으로 각자의 입맛에 맞게 양념을 넣을 수 있는 등 향과 맛이 고루 갖춰진 음식이다. 한국에서도 인기가 높다. 2. 北京烤鸭 베이징오리 베이징오리는 천하의 맛으로 불리는 중국의 5대 유명 음식 중 하나다. 불에 오랜 시간 조리하기 때문에 고기가 연하고 색이 먹음직스러운 붉은빛을 띤다. 남북조시대 식진록에 궁중음식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