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0년 베이징 문화서비스산업 매출 1조 돌파

 

중국은 인문의 나라, 문화의 나라다.

사람이 많은 덕이다. 매번 되풀이 하지만 누구도 부인하지 못하는 사실이다. 하지만 1990년대 초반만 해도 중국의 문화산업 수준은 극히 낮았다. 경제 수준이 뒷받침해주지 못한 탓이다. 

하지만 개혁개방의 결실이 나오면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지의 문화산업은 급속히 발전한다. 생활이 풍족해진 도시민들이 더 즐길 곳을 찾아 나선 때문이다.

그들 가운데 재주 있는 이들이 문화를 선도하고, 대부분이 그들의 작품을 즐긴다. 문화인이 살아갈 토양이 풍족하다.

한국에서 책을 써 3000권이 팔리면 "잘 팔렸다"하는데, 중국에서는 웬만하면 1만권이 팔린다. 

생활수준을 고려한 화폐가치로 평가할 때 한 작가가 충분히 창작 활동만 해서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재주꾼들이 도전을 하고, 그 가운데 성공하는 이들이 나온다.

역대 문화유산은 당대의 수용자의 수준이  항상 좋은 작품을 고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중국 문화는 대체로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강북 문화와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남동 문화, 광저우를 중심으로 남서문화로 생각해볼 수 있다.

대략 과거 강남북 문화 구분과도 일맥한다. 수도 베이징을 품은 강북 문화는 기백을 중시하고, 남부 문화는 세련됨을 중시한다. 

경제 발전으로 많은 이들이 문화를 즐기면서 소비자 수준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쏟아지는 좋은 작품은 그 작가가 꾸준히 활동을 하는 한 세상에 인기를 끄는 일이 적지 않다는 것도 역대 문화유산들은 말없이 증거하고 있다.

베이징의 4406개 문화서비스업 기업의 총매출은 1조를 초과하여 다른 지역의 매출을 크게 앞섰다. 광동에는 4253개 문화서비스 기업이 7127억2200만 위안의 매출을 기록했다.

베이징, 장쑤, 광둥 등 3개 성급 지역은 문화서비스업 종사자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45만 명을 넘어 누계 전국 종사자 비중 40.8%를 차지했다.

 

1위: 베이징

2위: 저장

3위: 광동

4위: 상하이

5위: 장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