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유동인구가 늘고 있다. 사실 중국은 호적제가 강한 나라다. 도시별 호적제를 운영해 사실상 도시간의 이주가 자유롭지 않다. 예컨대 베이징, 상하이는 호적이 없으면 다른 도시 사람이 와서 살지 못했다. 하지만 개혁개방과 함께 호적제가 유연하게 운영되면서 이동의 자유가 생겼다. 대표적인 게 2016년 농촌과 비농촌 구분의 폐지다. 중국 호적제는 중국 주민의 자유도의 척도다. 아쉽게도 도시 중심으로 국가의 부가 쌓이면서 도시민은 부자가 된 반면 농민들은 가난해지는 구조적 불평등을 초래했다. 중국이 진정한 인민의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이 같은 봉건적 제도를 얼마나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다. 중국의 이동인구가 증가한다는 것은 이처럼 중국 인문사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 중국의 '제7차 전국 인구 전면 조사'에 따르면, 중국 유동인구는 3억7582만 명으로 2010년과 비교했을 때 69.73% 증가하였다. 그중 성(省)급 행정지역을 이동한 유동인구는 1억2483만 명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 인구 전면조사 연감-2020"에 따르면 인구 유입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광동성(广东) 주로 시난 지역, 장강 중류 지역, 허난 지역에서 유입된다. 2. 저장
아세안 주요 무역 대상국에 중국이 1위로 꼽혔다. 아세안은 인구가 많고 관광들이 발달해 소비 역량이 큰 지역이다. 이들 지역의 최고 무역국은 그동안 일본이었다.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아세안 주요 무역국 1위로 오른 것이다. 중국의 글로벌 경제시장에서의 직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당연한 모습이지만 최근 미중 갈등 속에 중국의 위상이 커지면서 미중 갈등의 여파 역시 커지고 있어 주목된다. 최근 홍콩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매년 실시하는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중국이 일본을 대신해 아세안 10개국의 가장 중요한 현재와 미래의 파트너 1위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여론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중국이 일본을 추월해 동남아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일본은 패전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해외 생산 기지와 원재료 공급망 구축의 필요성에서 아세안과 적극적인 교역에 힘써왔다. 아세안 각국 역시 일본의 제조역량을 빌려 자국내 소비재 등의 생산 필요성을 충족하면서 아세안 내 일본의 역할을 갈수록 커졌다. 하지만 지난 1990년 이래 중국의 아세안에 대한 적극적인 진출이 이뤄지면서 이 같은 아세안 내 일본
중국의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다. 그 시장이 최근 빠르게 전기차와 중국 기업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벤츠와 BMW 등 전통적인 고급차의 인기는 여전하지만, 차량의 판매량보다 판매 수익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최근 중국 시장조사업체 중상정보(中商情报)가 발표한 2022년 1~5월 중국 자동차 판매량 Top 10 순위에 따르면 상하이 자동차 그룹이 1위를 차지했다. 중상정보에 따르면, 해당 Top 10위 기업의 총 판매량은 819만대이다. 이는 자동차 총 판매량의 85.7%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중국 자동차 시장을 이들 10위권 내 회사들이 독점하는 모습이다. 그중 판매량 Top 3 중국 제조 기업은 다음과 같다. 상하이자동차그룹 중국 내수 시장에서 테슬라 등 해외 기업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동풍자동차 수소 산업 연구에 힘써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중국이기자동차 중국 최초의 자동차 제조사이다. 이어서 ‘장안자동차’, ‘광기집단’. ‘북기집단’, ‘BYD’, ‘지리홀딩스’, ‘장성자동차’, ‘체리자동차’가 순서대로 4~10위를 차지하며 10위 안에 들었다. 판매량 증가 속도를 살펴보면, BYD, 광기집단, 체리자동차의 판매량이 작년
'러시아 원유 수입 1위는?' 역시 중국이었다. 중국과 인도가 서방 국가들의 러시아 제재로 큰 득을 보고 있다. 러시아 원유를 싸게 사 가공해 다시 서방에 되파는 일을 하는 것이다. 울며 겨자 먹기로 이 원유를 사는 미국 입장에서 참 황당한 일이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국가들이 전례 없이 가혹한 러시아 제재를 가한 것을 삭감하는 일이다. 실제 당초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막대한 전쟁 비용과 더불어 상식에 따르면 러시아 경제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그 결과는 매우 달랐다. 에너지 위기로 인한 가격 급등으로 러시아의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입은 전쟁 이전에 감소하기보다 오히려 증가하여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 최대의 공헌자는 바로 중국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첫 100일 동안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은 약 6526억 위안 규모에 달하는 기록적인 최고치를 기록했다. 바로 중국이 최대 구매자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갈등 이후 오히려 중국은 러시아로부터의 구매도 늘렸다. 중국은 약 131억 달러 상당의 러시아 에너지를 구매했는데, 이는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에서
중국은 도시와 농촌이 완전히 다른 나라다. 소득 차가 크다. 또 그만큼 발전 정도의 차이도 크다. 도시라고 다 같은 도시도 아니다. 도시별 격차도 크다. 흔히 중국에서는 인구, 경제 발전 정도를 중심으로 1선~5선 구간으로 도시들을 구분한다. 각 구간별 도시격차도 크다. 이들 도시 가운데 가처분소득이 5만 위안(968만1500원) 이상인 도시들을 중국에서는 '5만 위안 클럽'이라고 부른다. 간단히 중국에서 살만한 도시들이다. 가처분소득은 언제든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돈을 벌었다고 다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게 아니다. 생활하기 위해 필수적인 소비가 있다. 또 세금처럼 지출해야 하는 보험, 통신비 등의 지출이 있다. 가처분소득이 1000만원 가량이면 세계 중진국 수준이다. 최근 발표된 '2021년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의 가처분 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인당 가처분 소득이 5만 위안에 달하는 도시는 51개였다. 저장성 11개 도시, 강소성 상위 13개 도시 중 8개 도시가 5만 위안 클럽에 들었다. 산둥과 광둥의 각 6개 도시가 5만 위안 수준에 도달했다. 데이터 수집이 가능했던 총 316개
부동산은 중국 경제를 이끄는 중요한 동력 가운데 하나다. 최근 그 부동산 시장이 경직되면서 중국 경제에도 경보음이 들리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부를 일군 수많은 건설사들은 여전히 강한 경쟁력을 가지고 버티고 있다. 최근 미국의 건설전문지 ‘ENR(Engineering News-Record)’와 중국의 ‘건축시보’가 2021년의 “중국 건설사 도급 순위 80 및 공정 설계 기업 순위 60”를 발표했다. 이는 각각 건설사 도급 영업 수입과 설계 영업 수입을 기준으로 순위를 계산한 것이다. '중국 건설사 도급 순위 Top 80'의 도급 영업 수입은 총 62251.21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18.44% 성장했고 성장 속도가 작년에 비하여 1.06% 증가하였다. 그중 Top 10 기업의 도급 영업 수입 총액은 42277.53억 위안으로 Top 80 기업 영업 수입 총액의 67.9%를 차지한다. 이러한 Top 10 기업에 매출이 치중되는 현상은 계속 유지되어 왔으며, 작년보다 0.62% 증가하였다. '중국 건설사 도급 순위 80'의 상위 다섯 곳은 다음과 같다. 이중 4위인 녹지대기건집단유한회사는 새롭게 순위에 오른 기업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중국건축주
자전거와 오토바이는 중국 근대사에서 독특한 지위를 지닌다. 서민들의 이동 수단으로 시간대를 달리하며 인기를 끌었다. 한 때 베이징을 비롯한 주요 시내 도심을 자전거와 오토바이가 누볐다. 하지만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자동차가 늘면서 둘 모두 중국 당국에 의해 도심에서 조금씩 사라졌다. 그러던 것이 다시 기술 발달, 경제 사회 발전과 함께 도로에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고급 취미로 떠오른 자전거 타기 못지 않게 오토바이 역시 급속히 고급화, 자동화, 전기에너지화 하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도로에 등장하고 있다. 특히 축전기술이 발전하면서 전기 모터를 이용한 오토바이는 자전거 기능과 합쳐지면서 건강과 편리를 동시에 챙기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 모터사이클의 주요 브랜드들을 살펴봤다. 1. 雅迪 (야디) 본사는 장쑤성 우시시에 있으며 주요 사무동, 제품연구개발센터, 우시 생산기지를 두고 있으며, 톈진·쯔시·둥관에 기타 3개의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6년 연속 중국 경공업 100대 기업(중국 경공업 전기자전거 업계 10대 기업 1위 수상), 10년 연속 프리미엄 판매량 선두, 중국 업계 기업정보센터 공식 발표 '2012년도 전기차 판매량, 매출액,
타임슬립 미국 등지에서 시작돼 한국을 휩쓴 드라마의 한 형식이다. 주인공을 중심으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시간대가 이어지는 형식이다. 판타지, SF 소설 등에서 자주 등장한다. 어떤 사람 또는 어떤 집단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시간을 거스르거나 앞질러 과거 또는 미래에 떨어진다. 우연의 초자연적 현상이라는 점에서 타임을 의도적으로 이동하는 타임머신류 소설과는 드라마와는 차이가 있다. 타임슬립은 주인공에게 어쩔 수 없는 환경을 제공하는 묘미가 있다. 한국에서도 최근 '어게인 마이라이프'가 이런 타임슬립형 드라마로 인기를 끌었다. 이 타임슬립형 드라마의 인기가 이제 중국으로 건너갔다. 중국에서도 타임슬립형 드라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적인 드라마들을 모아 봤다. 1. 카이돤《开端》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이 드라마는 인물의 삶에 대한 디테일한 표현과 함께 '인터넷 폭력'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화제를 모았다. 멋진 세계관 설정이나, 첨단 기술 설정, 경고나 복선 없이 ‘타임슬립’이 지나치게 일상화되어 있고, ‘穿(입는다)’를 말하면 주위 환경이 바뀐다. 이러한 설정으로 해외의 타임슬립 장르 드라마와 다른 행보를 보인다. 2. 이산이산량싱싱 《一闪一闪亮星星》
중국은 소비자 운동이 세계 어느 곳보다 강한 나라다. 네티즌들이 주도해서 불매운동을 펼치면 세계 어떤 매체도 견디지 못한다. 그만큼 중국내 소비량이 크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이를 잘 알고 최대한 활용하며 소비자 권익을 찾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이 같은 소비자의 욕구가 개인적 권익에서 공익으로 방향 전환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전국 6.18 쇼핑 축제가 보여준 트랜드가 그 것이다. 이날 중국에서는 매년 6월 18일이 되면 인터넷 쇼핑 축제가 벌어진다. 각 쇼핑몰들이 활인폭을 높이며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한다. 지난 6.18 축제 때 오전 0시부터 당일 23시59분까지 전국에서는 3793억 위안의 주문이 이뤄졌다. 중국 매체들은 정확한 증가폭을 전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중국 소비가 코로나 팬데믹 이전으로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또한 이번 소비동향에서는 과거와 다른 트랜드들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가장 주목되는 게 녹색, 저탄소 소비였다. 다음은 중국 매체들이 전한 지난 618 소비축제의 주목되는 트랜드들이다. 1.녹색 및 저탄소 소비 중국 소비자의 녹색 및 환경 보호 개념은 지속적으로 향상 되었으며, 에너지 절약 및
'본 차이나' 자기 그릇의 대명사다. 영국의 제품이지만 그 뜻이 중국에서 왔다는 뜻이다. 중국은 세계 자기의 고향이다. 자기가 개발됐고, 그 역사만큼 아름다운 자기 작품이 많다. 중국의 자기를 일찌감치 한국으로도 건너왔다. 한국의 질 좋은 고령토는 한국 자기 역시 명품 반열에 들도록 했다. 고려청자, 조선백자들은 당대 만들어진 거의 모든 작품이 명품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수많은 문헌 속에 전해지는 진정한 작품만 남겨놓고 자기를 부수는 도공의 장인정신은 지금까지 남아 전설이 됐다. 일본이 조선을 침략해 수많은 도공들을 포로로 데려가 일본에도 자기의 전통이 만들어졌다. 중국의 현대 명품 도자기 브랜드를 살펴봤다. 1.이자도자기 艺佳陶瓷 현재 경덕진시연합도자기유한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艺佳陶瓷는 2003년 설립된 현대적 브랜드로 '명자는 중국, 중국에는 艺佳'를 지향하는 중국 예술도자기의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천년자도의 가장 귀한 도자기 자연자원, 가장 조예가 있는 도자기 예술, 가장 오래된 도자기 역사문화에 의해 많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2. 칭허자쥐 清珂家居 현재 저장(华江)성 진화(金華)시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清珂家居는 공식 플래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