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상장기업 시장가치 Top 500, 1위 텐센트홀딩스

'8392개'

뉴욕, 홍콩, 상하이, 베이징 등 중국을 포함해 세계 16개 주요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숫자다.

1만개를 육박하고 있다.

적지 않은 기업이 '유니콘' 기업이다. 중국의 기업가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다. 사실 자본주의가 기업이 활동하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인 이유는 업적에 대한 분명한 보상  덕이다.

사회주의 체제 속의 시장이라고 해도 철저한 보상이 이뤄지면 기업이 성장할 수 있고, 성장을 토대로 해외로 뻗어나가 성공을 일궈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통계는 최근 중국의 21데이터뉴스실험실(21数据新闻实验室)의 집계로 이뤄졌다.

매체 분석에 따르면 2022년 6월 30일 기준, 중국 상장사의 개수는 총 8392개이다.

이는 작년 연말보다 116개가 증가했고, 상위 10개 업체의 시가총액은 13조 위안(약 2500조 원 )을 넘는다. 중국 상장기업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홀딩스

3위, TSMC

3위, 귀주모태주

4위, 알리바바

5위, 텐센트

 

1위와 2위는 차례대로 텐센트홀딩스와 TSMC가 차지했다. 작년에 비해 Top 20의 변동이 뚜렷하며, Top 10 중 7개의 회사의 상반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텐센트홀디스는 1위 자리를 차지했지만, 시장가치 3조 위안(약 580조 원)은 회복하지 못했다. 또한 상반기 세계 반도체 업계가 주춤하면서 작년 1위였던 TSMC는 6개월 동안 시가총액이 28% 이상 줄어 2위로 밀려났다.

신에너지 영역에서는 세계 1위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닝더스다이, 寧德時代)이 안정적으로 시장가치 1조 위안(약 195조 원) 이상을 기록했다. BYD는 승승장구하며, 6월 10일 A주식시장의 가치가 1조 위안을 돌파해 중국 처음으로 1조 위안 시장가치를 기록한 자동차 브랜드가 되었다. 비록 최신 시장가치는 8995억 위안으로 하락했지만 상반기의 시장가치 증가폭은 24%에 달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