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역별 유입 인구 수 Top 5, 1위 광동성

 

 

중국의 유동인구가 늘고 있다.

사실 중국은 호적제가 강한 나라다. 도시별 호적제를 운영해 사실상 도시간의 이주가 자유롭지 않다. 예컨대 베이징, 상하이는 호적이 없으면 다른 도시 사람이 와서 살지 못했다.

하지만 개혁개방과 함께 호적제가 유연하게 운영되면서 이동의 자유가 생겼다.

대표적인 게 2016년 농촌과 비농촌 구분의 폐지다. 

중국 호적제는 중국 주민의 자유도의 척도다. 아쉽게도 도시 중심으로 국가의 부가 쌓이면서 도시민은 부자가 된 반면 농민들은 가난해지는 구조적 불평등을 초래했다.

중국이 진정한 인민의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이 같은 봉건적 제도를 얼마나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다. 

중국의 이동인구가 증가한다는 것은 이처럼 중국 인문사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

중국의 '제7차 전국 인구 전면 조사'에 따르면, 중국 유동인구는 3억7582만 명으로 2010년과 비교했을 때 69.73% 증가하였다. 그중 성(省)급 행정지역을 이동한 유동인구는 1억2483만 명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 인구 전면조사 연감-2020"에 따르면 인구 유입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광동성(广东)

주로 시난 지역, 장강 중류 지역, 허난 지역에서 유입된다.  

 

2. 저장성(浙江)

주로 안후이, 구이저우, 허난, 장시, 쓰촨 지역에서 유입된다.

 

3. 상하이(上海)

안후이, 지앙쑤, 허난 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각각 100만 명이 넘는다.

 

4. 지앙쑤성(江苏)

안후이, 허난 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각각 200만 명이 넘는다.

 

5. 베이징(北京)

허난, 허베이 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각각 100만 명이 넘는다.

 

경제 대국이라고 불리는 광동성의 유입 인구는 2962만 명으로 2010년보다 12만3400명 증가했다. 이는 호적 조사를 통한 통계인데, 광동성의 입적 문턱이 비교적으로 낮은 편이어서 광동성 주변에 거주하는 경우에도 광동성으로 입적 신청하는 경우가 꽤 있다. 그래서 실제 유입 인구는 해당 수치보다 조금 낮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 대국인 광동성으로 유입하는 인구는 굉장히 많다.

또한 광시성에서 광동성으로 유입하는 인구가 가장 많다. 고속철도가 발달한 2010년부터 광시성에서 광동성으로 유입하는 인구가 더욱 많아졌는데, 광시성 출신 인구가 많은 이유는 두 성이 붙어있고 언어, 식습관, 문화, 기후 등 모든 방면에서 비슷하기 때문이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