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전세계 은행 TOP1000, 1-4위 중국 차지

 

자산규모 세계 1위는 중국의 공상은행, 2위는 중국건설은행, 3위는 중국농업은행이 차지했다.

세계 은행 자산 금은동 메달을 모두 중국이 거머쥔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벌써 5년째다. 

여기에 4위  중국은행, 10위 교통은행까지 합치면 10대 은행의 절반은 중국 은행이다. 영국의 유명한 금융전문지 '더 뱅커'의 분석이다. 

최근 더 뱅커는 세계 은행 순위TOP1000을 발표했다.

세계 1000개 은행의 순자산 총액은 더 뱅커가 은행 TOP1000 순위를 발표한 역사상 처음으로 10조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세계은행 체계의 자본화 정도가 역사상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은행은 각국 정부가 찍어낸 돈을 보관해 다시 실물경제로 돌려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정부가 찍어낸 돈이 실물과 교환되기 전에 보관되는 곳이다.

이들 은행의 자산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세계 각국의 유동성이 늘었다는 의미다.

세계 은행들 가운데 중국 주요 은행들의 약진 무섭다. 중국의 자본이 그만큼 풍성해졌다는 의미다. 올해는 10위 권에 교통은행까지 합류하면서 역대 처음으로 중국 은행들이 10위 은행의 절반을 차지하게 됐다.

1926년에 창립된 잡지 The Banker는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에 소속되어 있으며, 전세계의 은행과 기업계 재무결정자들에게 금융정보를 제공하고있다. 1970년 이래로 서로 다른 국가와 지역의 은행 자본력, 경영규모, 수익성과 경영효율 등을 종합하여 세계 1000대 은행 명단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이 순위는 은행의 종합적인 역량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은행의 발전 변화와 추세를 살펴보는 중요한 창구로 작용하고 있다.

Top 20에는 중국의 초상은행, 우체국 저축은행, 흥업은행, 상해 푸동 발전은행이 순위에 들어갔다. 이중 특히 초상은행은 2008년 처음으로 전세계 100위 안에 들었고 이후에 점차 성장한 은행이다. 2013년에 50위 안으로 진입, 2018년에 20위 안으로 진입하면서 계속 신기록을 세우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