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 에너지 자원 수입국 1위는 중국

 

'러시아 원유 수입 1위는?'

역시 중국이었다.

중국과 인도가 서방 국가들의 러시아 제재로 큰 득을 보고 있다. 러시아 원유를 싸게 사 가공해 다시 서방에 되파는 일을 하는 것이다.

울며 겨자 먹기로 이 원유를 사는 미국 입장에서 참 황당한 일이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국가들이 전례 없이 가혹한 러시아 제재를 가한 것을 삭감하는 일이다.

실제 당초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막대한 전쟁 비용과 더불어 상식에 따르면 러시아 경제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그 결과는 매우 달랐다. 에너지 위기로 인한 가격 급등으로 러시아의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입은 전쟁 이전에 감소하기보다 오히려 증가하여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 최대의 공헌자는 바로 중국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첫 100일 동안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은 약 6526억 위안 규모에 달하는 기록적인 최고치를 기록했다.

바로 중국이 최대 구매자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갈등 이후 오히려 중국은 러시아로부터의 구매도 늘렸다.

중국은 약 131억 달러 상당의 러시아 에너지를 구매했는데, 이는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에서 중국 및 기타 비유럽 경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중국에 이어 인도 역시 러시아의 주요 원유 수출대상국이다. 

중국 속담에 다른 사람의 고통 위에 자신의 부를 쌓지 말라는 게 있다. 세계인의 고통 위에 중국과 인도가 부를 쌓고 있는 것이다. 

최근 우크라이나 백화점을 공격한 러시아의 미사일은 바로 이 같은 돈에서 만들어진 결과다. 

중국과 인도에 대한 미국 등 서방국가들의 생각이 계속 바뀌는 이유이기도 하다. 조만간 세계는 더욱 큰 불행을 맞을 지도 모른다. 

아쉽게도 그 원인은 지금과 같은 남의 고통 위에 부를 쌓아 올리는 행위들일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