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홍콩의 명보가, 올해 11월 3일 미국대선에 재선을 위해 출마하는 트럼프에게 타격을 주기위해, 오는 10월 25일 항미원조전쟁 70회 기념식을 대대적으로 벌일 가능성이 크다는 보도를 한 가운데, 북중국경도시 단동에서 항미원조전쟁을 주제로 한 뮤지컬이 공연되는 등 사전준비가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오늘 6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서 발행되는 랴오닝 일보 (辽宁日报)는, 어제 1950년부터 53년까지 중국 인민해방군 약 18만명이 희생된 항미원조전쟁 이야기를 다룬 " 내 가장 사랑하는 사람 《最可爱的人》" 이라는 제목의 전쟁뮤지컬이 단동시문화궁에서 성대하게 개막됐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단동시 민족가무단의 단원들이 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서도 , 항미원조출병작전 70주년을 맞아 영웅적 도시로서의 단동의 이미지와 시대정신을 고양시키기위해, 중국과 북한이 힘을 합쳐 침략을 막아낸 영웅들의 이야기를 대형 뮤지컬로 제작해 많은 관중들에게 선보여 큰 갈채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이번 뮤지컬은 단동출신의 항미원조전쟁 참전용사가 장진호전투와 상감령전투등에 참가하면서 겪었던 눈물겨웠던 실화를 노래와 춤으로 풀면서, 인민해방군의 애국
오늘 8월 25일은 음력으로 7월 7일이다. 오늘 밤하늘에 까마까치들이 올라가, 하늘의 별의 강인 은하수의 양 쪽끝의 별에 살고 있는 견우( 牽牛) 와 직녀 ( 织女 )를 서로 만나게 해주기 위해 자신의 몸으로 다리를 만들고, 1년 내내 서로를 그리워하던 견우 직녀가 자신들의 머리를 밟고 다리를 건너 만나도록 해준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다. 이 까지들이 만든 다리가 오작교( 乌鹊桥 , 까마귀 다리)라고 한다. 그래서 다음날 낮에 까치를 보면 새들의 머리의 깃털이 벗겨져 있다고 한다. 중국의 혼인풍습은 우리 한국과 조금 달라졌다. 한국은 먼저 결혼식등 혼인의 예나 형식을 먼저 갖추고 나중에 혼인신고를 하지만, 중국은 먼저 결혼을 약속한 남녀가 각 행정구역의 민정국( 民政局)에서 각자의 신분증과 두 사람이 같이 찍은 사진을 첨부해 결혼증이라는 수첩을 교부받으면 법률적인 부부가 된다. 그래서 결혼을 인정받는 날짜는 좋은 길일, 혹은 두 부부가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날을 택해 결혼증을 받고, 결혼식은 나중에 춘하추동의 절기, 혹은 두 부부가 생각하는 규모와 여건에 맞는 결혼식 행사를 가질 수 있을 때, 친지들을 모시고 보는 앞에서 큰 행사를 치루는 방식으로 진행
중국중서부 충칭시민들은 지난 6월부터 이어진 무려 5차례 홍수로 인해 무척 힘든 여름을 지내야 했다. 충칭시는 중국 4대 직할시중의 하나인 인구 2천만명이 넘는 중국중부의 대도시다. 중국매체들은 올해의 물벼락을 ' 39년 만의 대홍수' 라고 명명했고, 중국 중부의 대분지인 쓰촨성에 인접한 충징직할시는 그 중 피해가 가장 컸다고 알려진다. 그 충칭시민들이 가을을 알리는 처서 ( 处暑)절기를 맞은 22일, 승용차에 텐트등 야영장비를 챙겨 시외곽의 명산인 진포산 용암성의 장관을 바라볼 수 있는 오토 캠핑장으로 차를 몰아, 가족단위로 야영텐트를 치고 청량한 가을을 만끽하고 있다. 사진은 기상전문 인터넷신문인 중국티엔치왕이 촬영해 올린 것을, 중국대표 관영신문이 환치우스빠오가 전제했다.
중국 창지앙의 산샤( 三峡 ) 댐이, 지난 200년 완공이후 처음으로 어제 19일 저녁 7시 50분에, 수문 11개까지 열어 초당 49,200 입방미터의 물을 방류하기 시작했다. 중국 수리부는, 산샤댐 상류의 쓰촨성일대에 퍼부어진 2020년 제 5차 홍수로 인해 이번에 산샤댐으로 유입될 물이 초당 75,000 입방미터에 달할 것이라고 예보하고, 이에 대비해 최초로 수문 11개를 열어 막대한 유입량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샤댐의 홍수조절센타 (三峡梯调中心) 의 빠오정펑 주임조리( 鲍正风) 가 밝힌 바에 따르면, 산샤댐의 초당 유입량 최대 설계능력은, 초당 98,800 입방미터 인것으로알려졌다. 중국 수리부는, 이번 쓰촨성의 성도 청두시와 충칭직할시 일대에 쏟아진 2020년 제 5차 홍수는 지난 1981년 만의 최대의 홍수라고 밝혔다. 수리부는 창지앙 중류의 산샤댐과 충칭직할시 사이에 위치만 춘탄쉐이먼짠( 寸滩水文站) 의 홍수수위가 어제, 지난 1981년의 홍수때 기록했던 191. 41 미터를 초과했다면서, 이번 쓰촨성 일대의 홍수는 1981년 이래 39년만의 최대 최악의 홍수로 기록되게 됐다고 밝혔다.
중국북부 네이멍 지치구 우하이시 ( 内蒙古 乌海市 )에서 닝시아회족자치구를 지나, 서부 칭하이 성 마신현 (青海 玛沁县) 을 잇는 4차선 고속도로가 한 여름 무더위 속에서도 공사가 한창이다. 이 고속도로가 닝시아 (宁夏) 회족 자치구를 관통하는 구간은 122,9 킬로미터인데, 이 구간은 텅그리사막 ( 腾格里沙漠) 의 한 가운데를 지나며 건설되고 있다. 이 고속도로는 2021년 말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중국관영 신화사의 마카이화 기자가, 한 여름 사막가운데서 진행되는 고속도로 건설공사현장을 무인기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을 환치우스빠오가 발췌해 보도했다. 중국에서 사막을 관통하는 고속도로는 이 닝시아 자치구뿐만 아니라, 네이멍 자치구, 그리고 깐수성등 북부의 황량한 지역 곳곳에서 건설되었거나 건설중이다.
疑行無成, 疑事無功 의행무성, 의사무공 "의심하며 행하면 이룰 수 없고, 의심하며 일하면 공이 있을 수 없다." 춘추전국 진나라의 천하통일의 기틀을 다진 상앙의 말이다. 당연하고 쉽다. 하지만, 평생 이보다 지키기 어려운 말을 듣지 못했다. "에이, 내가 옛날에 그것만 했어도 …" "별것 아냐, 나도 안 해서 그렇지 다 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던지는 말이다. 하지만, 돌이켜 보라, 과연 그때 정말 그 일을 할 수 있었는지. 많은 이들이 많은 상상을 하고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고 많은 사업 아이템을 고민한다. 하지만 정작 일에 착수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왜? 이유는 '만에 하나'가 두렵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99.99%의 성공을 확신하다, 최후 결심의 순간에 0.001%의 실패의 가능성 때문에 포기를 한다. 0.001%의 가능성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누구나 알듯 그 숫자만큼 적다. 하지만 결심을 앞둔 순간 이 0.001%의 실패의 가능성은 일을 착수하는 데 최대 관건이 된다. 웬만한 이들은 이 0.001% 실패의 가능성에 좌절하고 만다. 그래도 좌절해 일에 착수하지 않았다면 다행이다. 상앙이 지적하듯, 일을 하면서 끊임없이 0.001
蛟龙得云雨,终非池中物 / 拼音:jiāo lóng dé yún yǔ,zhōng fēi chí zhōng wù 교룡은 비와 구름을 얻으면 못 속에서 떠난다. 즉 능력자는, 비록 때를 아직 못 만나 고생하고 있지만, 때를 만나면 세상을 얻거나 출세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미국의 트럼프는, 이미 떠오른 G-2 중국의 부활을 견제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형국이다.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은 2001년 WTO에 가입부터 잉태된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당시 중국은 WTO에 가입할 시기가 아니라고 고사했다. 그러나 , 미국과 유럽연합등 서방국가들이 자국의 기술과 상품들을 거대소비인구를 가진 중국에 수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기응변으로, 앞장서서 적극 권장했던 일이다. 그 후 20년이 지난 2020년, 미국과 영국등 서방 영어권 국가의 정보기관 동맹인 파이브아이스국가들은 이제 , 중국을 견제하고 부상을 억제하느라 온갖 무리수를 두는 형국이다. 지난 2001년의 중국이 이미, 삼국지의 주유가 교룡으로 비유한,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 3형제같았던 모양이다. 온 세계가 미-중/ 중-미 대결로 홍역을 앓고 있는 이 시기에 역사의 아이러니를 생각케 하는 고사성어인 듯하다.
어제 오전 11시 55분 중국외교부가 홈페이지를 통해 , 쓰촨성 청두시( 四川成都) 시의 미국영사관의 영사업무를 중단하고 폐쇄할 것을 발표한이후, 오후부터 청두 미영사관 주변에 2-3천명의 시민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중국 CCTV 등 방송국기자들과 외신기자들도 운집하기 시작했고, CCTV가 영어로 전세계에 방송하는 글로벌위성채널인 CGTN기자가 매 시간마다 생방송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오후 7시경 미 영사관앞에서 폭약이 터지는 요란한 소리가 터져나왔고, 주위에 운집했던 수많은 청두시민들이 미 영사관 정문쪽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다급하게 마이크를 다시 잡은 기자는 미 영사관이웃의 아파트에서 결혼식을 축하하는 폭죽이 터지는 소리인지도 모른다고 방송했지만, 사실은 40대 남성이 미 영사관 정문 바로앞 도로에 띠 폭죽에 불을 붙혀 미 영사관에게 항의표시로 터트린 소리였다. 띠 폭죽을 터뜨린 시민은 즉각 현장에서 민정경찰에게 체포돼 관계기관에 연행되었는데, 연행되는 과정에 구경나온 일부 시민들이 박수를 쳐주기도 했다. 펑황왕 (凤凰网)은 , 어제 72시간내 폐쇄명령을 받은 청두 미영사관앞에 많은 청두시민들이 운집해, 경내에서 문서를 소각하는 연기들을 목격했고,
“전쟁에 임해서 먼저 적장을 연구하라.” 범전지요, 필선점기장이찰기재. 인형용권, 즉불로이공거 (凡戰之要, 必先占其將而察其才. 因形用權, 則不勞而功擧) “무릇 전쟁의 가장 중요한 것은 반드시 적장을 장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형세에 맞춰 대응을 하면 바로 큰 노력없이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역시 오자병법의 논장제사에 나오는 말이다. 전쟁에서 지휘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일반인이라면 적의 병세부터 볼 것이다. 병사는 얼마나 많은지 훈련을 얼마나 잘 됐는지.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게 적장이다. 병세보다 중요한 게 적장이다. 왜냐하면 그 많은 병사, 그 훈련이 잘된 병사를 움직이는 게 바로 지휘관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똑똑한 훈련이 잘된 병사라해도 지휘관을 잘못 만나면 오합지졸이 된다. 점령할 고지가 오른쪽에 있는데 왼쪽을 공격하게하는 지휘관이 있다면 어쩌겠는가? 아무리 훈련이 잘 된 병사들이라고 해도 적의 매복 속으로 들어가서는 어쩌겠는가? 그래서 훈련이 잘된 병사들일수록 지휘관에 대한 평가가 매섭고, 지휘관의 평가가 매서운 만큼 의심도 많을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의심이 많은 군대는 멸망뿐이다. 또 반대로 아무리 오합지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