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교룡은 비 구름을 얻으면, 마침내 못을 떠나고야 만다.

 

蛟龙得云雨,终非池中物 /  拼音:jiāo lóng dé yún yǔ,zhōng fēi chí zhōng wù

 

교룡은 비와 구름을 얻으면 못 속에서 떠난다. 

 

즉 능력자는, 비록 때를 아직 못 만나 고생하고 있지만, 때를 만나면 세상을 얻거나 출세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미국의 트럼프는, 이미 떠오른 G-2 중국의 부활을 견제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형국이다.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은 2001년 WTO에 가입부터 잉태된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당시 중국은 WTO에 가입할 시기가 아니라고 고사했다.

 

그러나 , 미국과 유럽연합등 서방국가들이 자국의 기술과 상품들을 거대소비인구를 가진 중국에 수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기응변으로, 앞장서서 적극 권장했던 일이다.

 

그 후 20년이 지난 2020년, 미국과 영국등 서방 영어권 국가의 정보기관 동맹인 파이브아이스국가들은 이제 , 중국을 견제하고 부상을 억제하느라 온갖 무리수를 두는 형국이다.

 

지난 2001년의 중국이 이미, 삼국지의 주유가 교룡으로 비유한,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 3형제같았던 모양이다. 

 

온 세계가 미-중/ 중-미 대결로 홍역을 앓고 있는 이 시기에 역사의 아이러니를 생각케 하는 고사성어인 듯하다.

 

즉, 삼국지 제50권의 오나라,주유편 《吴书·周瑜传》에 나오는 고사명언으로, 손권의 장수 주유가 유비.관우.장비 세 사람 각자가 때를 얻으면 큰 세력을 펼칠 능력자들임을 간파하고, 그 전에 일찌감치 술책을 써서 재물과 여색으로 망가뜨려 주군(손권)의 휘하장수로 만들려고 간하지만, 결국 손권의 안목과 생각이 달라 유비 관우 장비를 가둬놓는데 실패하고 만다는 대목에서 나오는 말이다.

 

원전을 잘 버무려 풀어보자면, 

 

유비가 경현에 도착해 손권을 알현할 때, 주유가 손권에게 아뢴다.

 

" 유비는 벌써 영웅의 기질이 보이고, 관우와 장비또한 범상치 않아 순순히 주군(손권) 밑으로 들어 올위인들이 아니게 보입니다.. 

 

그러니 소생생각으로는, 먼저 유비에게는  우리 궁궐안에 큰 집들을 지어, 많은 미녀와 신기한 물건들을 하사해서, 그 안에서 먹고 마시고 주색에 빠지게 합니다.

 

그리고 관우와 장비도 서로 따로 떨어뜨려놓고서,  소생이 다양하게 개별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그들을 부려면, 일들이 다 순조롭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주군(손권)이 그들에게 경솔하게 땅을 떼어주고 물자를 하사해 그 세명이 한 데서 지내면서 조조와의 전쟁을 치르도록 허락한다면, 그들이 작은 전쟁들에서 이겨 패잔병을 규합해 큰 힘을 얻게 될지도 모르는데, 이는 마치 교룡이 비와 구름이 몰아치는 형세를 타고 작은 못을 벗어나 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라고 간청한다 "

 

그러나 손권은 결국 북쪽의 조조에 대비하기위해 크고 작은 영웅들이 필요하여 유비등 세사람이 힘을 합해 세를 키울수 있도록 돕고 만다. 

 

결국 유비등 세사람은 손권의 장수로서 조조와의 작은 싸움들에서 이긴 댓가로 군사와 땅을 얻게되자. 비 구름을 만난 교룡처럼, 더 이상 손권의 수하에 머물지 않고 떠나 촉나라를 세우기에 이른다.

 

원문> 

刘备到京县拜见孙权,周瑜上奏疏说:“刘备以勇猛雄杰的姿质,又有关羽、张飞这些熊虎一样的将领,一定不会长久屈从受人支配.、愚意认为最好的计策应把刘备迁来安置在吴郡,给他大规模修筑宫室,多给他美女和珍奇玩物,让他享受声色之娱,再分开关羽、张飞二人,各自安置一方,让像周瑜我这样的人能协力和他们来攻伐作战,大事就可以定了。现在轻率地割出上地来资助他们,聚集这三个人,部在边境战场上,恐怕就像蛟龙得到云雨,终究不会是池中之物了。”孙权因曹操在北方,还应广泛招揽英雄,又害怕刘备一时难以制服,所以没有听周瑜的建议。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