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동자의 천국 노동당의 나라에서도 주 4.5일 근무제 논란

 

한국에서 ‘4.5일 근무제’에 대한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중국에서도 소비 진작을 위해 ‘4.5일 탄력근무제’의 시범 시행에 대한 공식 건의가 지방 정부에서 제기돼 주목된다.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최근 쓰촨성 몐양시 상무국은 《몐양시 소비 진작을 위한 2025년 특별 행동 과제 목록》을 발표하며, 4.5일 탄력적 근무제의 시범 실시를 제안하고, 조건이 되는 지역에서 ‘금요일 오후와 주말을 연계한’ 2.5일 휴가 제도를 추진하도록 권장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에서는 전국적인 정책이 시행되기 전에 지방 정부의 시범 시행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이번의 경우 중앙 정부에서 기획한 것은 아니지만, 지방정부 차원에서 자발적인 시범 시행을 진행하는 셈이다. 자연히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4.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사실 중국에서 주 2.5일 휴가 제도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었다. 이미 2015년, 국무원 판공청은 《관광 투자 및 소비 진작에 관한 몇 가지 의견》을 통해 “탄력적 근무를 장려하고, 조건이 되는 지역과 기관은 실제 상황에 따라 법에 따라 여름철 근무 일정을 최적화·조정하여 금요일 오후와 주말을 연계한 휴식을 위한 유리한 조건을 마련하라”고 제안한 바 있었다.

이후 일부 성과 도시들이 잇달아 시범사업을 전개했고, 매번 뉴스 실시간 검색어를 장식하며 그 속에 담긴 민생에 대한 기대를 엿볼 수 있었다.

중국 매체들은 ‘탄력적 근무제’란, 사실상 휴일 공급 총량이 고정된 상황에서 이를 어떻게 실현하느냐에 대한 ‘구조적 조정’으로, 노동과 여가 사이의 보다 고품질 균형을 달성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지적하고 있다.

4.5일 탄력근무제는 문명화된 흐름이자, 일정한 사회적 현실 기반을 지닌 조치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입장이다.

다만 탄력적 근무제는 주로 ‘소비 진작’과 ‘관광 활성화’라는 맥락에서 제안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사람들의 문화관광 생활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과 특징에 대한 대응이었다.

물론 ‘정말 제대로 쉴 수 있느냐’는 의문 또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정책 문건의 표현을 보면 ‘시범 실시’이지 ‘시행’이 아니며, ‘탄력적’이고 ‘권장’이지 ‘고정’이거나 ‘강제’는 아니었다. 이로써 탄력적 근무제가 실현되는 또 다른 현실적인 측면이 드러났다.

중국에서 주 5일 근무제는 지난 1990년대 중반부터 시행돼 현재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 패턴을 만들어 냈다.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점을 지적하며 탄력적 근무제가 단지 ‘겉보기에만 그럴듯한’ 제도로 머무르지 않게 하려면, ‘조건이 되는’ 지역이 선행적으로 시범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각 지역의 관리 체계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활력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