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
‘90억 위안’ 한화로 약 17조 9199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에서 영화 한 편이 올린 매출액이다. 중국 영화사 역대 최대 매출액이다. 글로벌 기준으로도 수위에 포함된다. 주인공은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마동소해(哪吒之魔童閙海)'이다. 영화는 여전히 인기이고, 매출액은 여전히 늘고 있다. 중국 중앙방송총국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마동소해(哪吒之魔童閙海)'가 11일 기준 박스오피스 수입(예매 포함) 90억 위안(약 17조 9199억 원)을 돌파했다. 중국 영화 역사상 ‘최초로 90억 위안 돌파’ 작품이라는 영예를 안게됐다. 이로써 '너자2'는 전 세계 박스오피스 순위에서 27위, 애니메이션 영화 부문에서는 6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아시아 영화로서는 유일하게 글로벌 박스오피스 상위 30위권에 진입했다. 한편 '너자-마동소해(哪吒之魔童閙海)'의 1부는 2019년 7월 26일 중국 본토에서 개봉됐다. 영화의 배경 스토리는 고대 중국 명나라 기환록인 ‘봉신연의’ 중 너자 편이다. 이를 기반으로 각색돼 영웅으로 태어났어야 할 아이가 마왕의 아들로 태어나 생기는 일화를 그렸다. 이번 영화는 그에 이어지는 것이다. 이미 1부만해도
올 중국의 춘절 연휴 영화 매출은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3일 15시 30분 기준으로 2025년 춘절 연휴(1월 28일~2월 4일) 총 박스오피스(사전 예매 포함)가 80억 위안(약 1조 5,975억 원)을 돌파했다. 과연 누가 이 기록 갱신의 최대 공로자일까? 중국에서 올 춘절 연휴에는 대작 영화들이 대거 개봉했다. 총 6편 중 5편이 높은 평점과 흥행 성적을 거둔 IP 시리즈 영화였다. 사전 예매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던 <사조영웅전: 협지대자(射雕英雄传:侠之大者)>였다. 하지만 개봉 이후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하며, 현재까지 5억 위안(약 998억 4,500만 원) 이상의 박스오피스를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다. 정작 춘절 연휴 박스오피스 1~3위는 <나타지마동뇌해(哪吒之魔童闹海)>, <탐정당 1900(唐探1900)>, <봉신 2부: 전화서기(封神第二部:战火西岐)> 등이 차지했다. 특히 <나타지마동뇌해>는 독보적인 흥행기록을 선보였다. 현재까지 38억 위안 (약 7,588억 2,200만 원)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4년 연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
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둔 중국에서 노인들이 빠르게 ‘스마트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청도시의 노인 10명 중 8명 이상이 매일 인터넷을 쓰고, 절반이상이 가족이나 친구와 채팅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중국 당국이 노인들의 디지털생활 지원을 위해 스마트폰 노인모드를 적극 도입한 데 따른 것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평가다. 9일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 청도 조사팀의 조사결과, 노인의 88.6%가 매일 인터넷을 이용한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주요 활동으로는 동영상 시청과 게임(73.5%), 가족 및 친구와의 채팅(59.0%), 정보 열람(34.9%), 온라인 쇼핑(31.3%) 등이 포함되었다. 이번 조사는 60세 이상 노인 166명, 소비자 권익 보호 기관 2곳, 그리고 5개 마을(거주 위원회)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노년층의 디지털 소비 참여도도 높아졌다. 응답 노인의 61.4%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다고 답했으며, 35.5%는 틱톡(抖音), 콰이쇼우(快手), 위챗(微信) 등의 라이브 커머스를 이용해 쇼핑하고, 28.9%는 타오바오(淘宝), 징둥(京东) 등 플랫폼에서 직접 선택 구매한
남자 친구 만들기 게임이 현실 속에 실행된다면? 게임 캐릭터같은 남자친구랑 하루의 완벽한 데이트를 즐길 수 있다면 당신은 얼마를 지불 할 수 있나요? 좀 이상하게 들리는 질문이다. 돈을 주고 남자 친구를 만들고, 아무리 잘해준다고 해도 연애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까? 하지만 요즘 세대는 다르다. 홍콩에서 완벽한 남자 역을 사는 일일 데이트 ‘이차원 연애’가 유행하고 있다. 이차원이라 하는 것은 현실 3차원 속의 연애가 아니라, 2차원 게임 속의 연애를 현실로 이어간다는 의미를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이 이차원 연애의 남자 친구들은 겉모습만 남자이지 실은 여성이 남자처럼 꾸미고 대행 역할을 해주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홍콩에서 이 ‘이차원 연애’를 ‘cos-위탁’이라고 부른다고 BBC중국어 방송은 전했다. 코스프레의 코스와 역할을 맡기다는 위탁이 합쳐진 용어로 풀이된다. 실제 남성보다 어린 여성들이 접근하기에 여성이 더 안전해 남자 친구역을 여성이 맡게 됐다고 한다. 헌출한 키에 남성처럼 꾸미고, 데이트를 신청한 여성을 위해 하루 봉사를 한다. 대략 비용은 하루 500위안, 한화로 9만5000원 가량이다. 하루 데이트 경비는 신청한 여성이 같이 부담한다. 하
‘2024 파리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대표단이 지난 13일 오전 10시 베이징에서 출정식을 가졌다. 대표단은 총 716명으로, 출전 선수는 405명이다. 그중 남자 선수는 136명, 여자 선수는 269명이다. 대표단 평균 연령은 25세. 최고령 선수는 37세인 육상 선수 류훙(劉虹), 최연소 선수는 11세인 스케이트보드 선수 정하오하오(鄭好好)다.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 중 올림픽 챔피언은 총 42명이다. 마룽(馬龍, 탁구선수)은 2012년 런던올림픽, 2016년 리우 올림픽,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챔피언을 했고 총 5개의 올림픽 금메달을 따냈다. 이번 파리올림픽 선수단 중 182명이 올림픽 출전 경험이 있고, 그중 177명이 도쿄 올림픽에 출전했다. 육상 선수 류훙, 리링(李玲), 공리쟈오(鞏立姣)는 베이징, 런던, 리우, 도쿄 올림픽에 연속 출전했으며 223명은 처음으로 올림픽에 출전한다.
대만의 인기가수가 음악상 수상식에서 "톈안먼 사건을 잊지말자"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현재 해당 기사는 중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대만과 외신들은 일제히 관련 기사를 글로벌 사회에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제35회 골든멜로디 시상식에서 앨범상을 받은 원주민 인디음악 가수 파나이(Panai)가 수상 소감으로 "황금선율상이 나온 지 35년이 지났는데, 알고 계셨나요? 천안문 사태가 발생한 지 정확히 35년이 되는 날입니다. 잊지 말아야 합니다"고 말했다. 상이 탄생한 해에 톈안먼 사태가 일어났고, 상이 이어지면서 그 상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같은 해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잊지말아야 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파나이는 첫 대만 앨범 'Ye Po'로 이번 상을 수상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가수들은 대만과 대만의 갈등으로 인해 대만 가요 시상식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 위치한 국립실크박물관(China National Silk Museum)이 '하늘 궁전: 장안 실크로드(Heavenly Palace: Chang'an on the Silk Roads)' 전시회를 오는 10월 7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세계의 수도(The Capital of the World), 상업적 수도(The Commercial Capital), 문화적 수도(The Cultural Capital), 패션의 수도(The Fashion Capital) 등 5가지 주제로 꾸며졌다. 50점 이상의 주요 문화 유물을 포함해 총 210점 이상의 유물을 전시한다. 특히 UGC(User Generated Content: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라는 새로운 큐레이터 이론을 바탕으로 몰입감 넘치는 디자인을 도입해 한층 더 감각적인 체험을 선사한다. 베이징과 항저우를 연결하는 대운하의 역사적 배경을 도시 간 통신을 위한 주요 동맥으로서 창의적으로 통합해 장안과 저장성의 긴밀한 연관성을 강조한다. 박물관측은 이는 저장성이 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의 시작과 끝을 잇는 중추적인 도시임을 재확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 및 당나라 시대에 장안은 고대 실크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청소년 스포츠 교류 주간'이 중국 장쑤성 북부의 지급도시 쑤첸(宿迁)에서 개최된다. 장쑤성인민정부에 따르면 이번 교류 주간은 "청소년을 잇다, 장쑤의 우정을 나누다(Connecting Youth, Sharing Friendship of Jiangsu)"라는 주제로 지난 24일부터 6월 3일까지 열린다. 이번 행사에는 약 60개 국가 및 지역에서 400여 명의 국제 청소년들이 참가해 2024 일대일로 국제 청소년 남자 3대3 농구, 일대일로 청소년 야외 스포츠 챌린지, 일대일로 국제 청소년 오리엔티어링 훈련 캠프 등 다양한 문화 교류 활동을 펼치게 된다. 장쑤성인민정부 체육국(Jiangsu Provincial Sports Bureau)이 주최하는 '일대일로 청소년 스포츠 교류 주간'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내 인적 교류의 중요한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스포츠를 통해 각국 청소년들의 소통과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우정을 다지며 문화 교류를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청소년들이 중국 문화와 역사, 현대 발전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고, 이를 통해 중국 문화의 정수를 알리고자 기획
칭다오맥주박물관(Tsingtao Beer Museum)이 기업 브랜드 박물관으로서는 유일하게 ‘중국 100대 박물관’에 포함됐다고 23일 밝혔다. 칭다오맥주박물관은 19세기말 설립된 칭다오맥주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설립 당시 독일 기술진이 설치한 양조 설비를 보존한 상태로 지난 2001년 문을 열었다. 지난해 연말 기준 누적 방문객이 약 950만 명에 달한다. 특히 120여개국에 수출되는 칭다오맥주의 탄생 지역에 위치해 시대를 초월하는 랜드마크이자 칭다오의 대표 관광지로 통한다. 120년이 넘은 칭다오맥주의 양조기술과 중국 맥주 산업 발전사를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주 시음, 맥주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 숙박, 활동을 즐길 수 있다. 칭다오 맥주는 1898년 독일이 청나라 정부로부터 칭다오를 조계지로 받은 후 1903년 독일에서 설비를 들여와 맥주를 제조하기 시작한 게 시초다. ‘중국 100대 박물관’은 Art Exhibitions China와 Oriental Outlook이 중국내 1급 박물관들을 대상으로 평가해 발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