径万里兮度沙漠,为君将兮奋匈奴。 jìng wàn lǐ xī dù shā mò ,wéi jun1 jiāng xī fèn xiōng nú 。 路穷绝兮矢刃摧,士众灭兮名已隤。 lù qióng jué xī shǐ rèn cuī ,shì zhòng miè xī míng yǐ tuí 。 老母已死,虽欲报恩将安归? lǎo mǔ yǐ sǐ ,suī yù bào ēn jiāng ān guī ? 아, 돌아보니 만리 길, 사막을 건넜구나. 큰 칼 차고, 흉노를 쫓아온 이 길 갈수록 흉한데 활은 떨어지고, 죽어 이름도 못남긴 병사들이여. 고향 늙은 어미마저 그대들 곁으로, 아 어디로 가야 은혜를 갚을까? 이국만리 타향 전쟁터에서 받아든 어머니의 사망 소식, 어찌 이런 비통함이 있으랴. 바로 한나라 장수 이릉(李陵 BC134 ~ BC74)이 남긴 시 별가(别歌)다. 이릉은 한 무제의 명을 받고 흉노 토벌에 나섰다가 적의 작전에 휘말려 악전고투 끝에 포로가 되고 만다. 아쉽게도 이 패배가 이릉에게는 진정한 불행의 시작이었다. 누군가 한 무제에게 이릉이 변절해 흉노군을 훈련시키고 있다고 모함을 해 분노한 한 무제가 이릉의 가족 모두를 몰살시켰다. 이 때 이릉은 한나라에 대한 충성을 굽히지
"책상 다리만 빼고 다리 달린 것은 다 먹는다." 바로 중국의 요리 다양성을 이야기한다. 어찌 보면 폄하하는 말 같지만, 중국 현지의 다양한 음식들을 보면 '맞다'며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사실 인간의 문화 가운데 가장 빼놓을 수 없는 게 음식 문화다. 중국 음식문화는 곡식의 가루를 빚어 만드는 면요리, 두부 요리에서 그 면과 두부를 발효해서 먹는 경지까지 발전 과정이 다양한 스팩트럼 위에 전개된다. 중국 음식 관광 발전을 위해 중국관광아카데미, 후난성 문화관광부, 천저우시 인민정부가 공동 주최하는 '2023년 중국 음식 관광 발전 포럼'이 천저우에서 15~16일 개최된다. 이번 포럼에서는 '2023년 중국 관광·미식 10대 도시' 순위가 발표했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2위 창사 3위 청두 4위 충칭 5위 광저우 6위 포산(순덕) 7위 우한 8위 양저우 9위 취아저우 10위 카이펑 1위는 역시 베이징이다. 베이징은 명청 시대의 황도였다. 황제가 살고, 고관대작들이 대를 이어 살던 곳이다. 각 지역에서 과거에 합격한 인재들이 몰려들었다. 자연히 지방의 음식들이 베이징으로 올라왔고, 오늘의 다양한 베이징 음식문화를 만들었다. 베이징카오야(오리구이
직위는 권한과 책임으로 만들어진다. 간단히 말해 직위란 주어진 권한으로 일을 해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라는 것이다. 과장이 대리 일을 하면 쉽다. 상무가 부장의 일을 해도 쉽다. 사장이 전무, 상무의 일을 하면 더 쉽다. 이유는 권한은 크고 책임이 작기 때문이다. 간단히 부장이 대리 역을 한다면 월급이 과한 것이다. 한 부장이 대리 2,3명의 일을 한다고 해도 4,5명까지의 일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4,5명인 대리 전원이 자신의 일을 제대로 못하게 하는 효과만 가져온다. ‘상명하복’(上命下服: 위의 지시를 밑은 따른다)의 기율을 준수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게 ‘상침하권’(위가 아래의 권한을 침해한다)의 잘못을 방지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부의 권한은 함부로 위임이 되면 안 된다. 권한의 위임은 쉽지만 조직이 그 위임에 적응하고 나면 쉽게 회수가 되지 않는 탓이다. 특히 한 조직의 리더는 자신의 책임을 떠넘기기 위해서 권한을 위임하는 경우가 왕왕 생긴다. 하지만 아쉽게도 권한은 위임되지만 책임은 위임되지 않는다. 책임이 따르지 않는 권한은 그것이 크건 작건 월권이 된다. 월권이 난무하면 조직은 필망한다. 전국책에는 이런 우화가 전한다
听话 말을 듣다 妈妈,我想吃冰淇淋! Māma ,wǒ xiǎng chī bīngqílín ! 엄마, 아이스크림 먹고 싶어요. 不行,今天太冷了,听话! Bù xíng ,jīntiān tài lěng le ,tīnghuà ! 안돼, 오늘은 너무 추워, 우리 아이 착하지? 老师,那个妈妈很奇怪! Lǎoshī ,nà gè māma hěn qíguài! 선생님, 저 아이의 엄마가 이상해요! 为什么她说“听话”?那个孩子在听她说话啊! Wèishénme tā shuō “tīnghuà ”?nà gè háizi zài tīng tā shuōhuà a ! 왜 자꾸 “말을 들어”라고 하죠? 저 아이는 안 그래도 엄마 말을 듣고 있잖아요! * 听话 [tīnghuà]: 1. [동사] 말을 듣다. 2. [동사] (어른·윗사람의) 말을 잘 듣다〔따르다〕. 순종하다. 3. [동사] (가축·기구 등이) 말을 잘 듣다. 부리기 편하다. 이용하기 편리하다. 听话를 문자 그대로 직역하려면 “귀로 말을 듣다”일 수 있다. 하지만 “(누군가의) 말을 잘 듣다, 따르다”는 의미로도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楼观沧海日 门对浙江潮 lóu guān cāng hǎi rì mén duì zhè jiāng cháo 누각 저 멀리 푸른 바다 해 보이고 문 너머 저장의 파도소리 들리네. 당나라 시인 송지문(宋之問, 656~710)의 시 '영은사(灵隐寺)'의 한 구절이다. 번역을 하면 맛이 떨어진다 싶을 정도로 한자의 쓰임이 절묘하다. 눈에 보이는 해의 경치와 들리는 파도 소리를 절묘하게 대비시켰다. 그런데 보는 것도 관(觀)이며 그 대비가 들리는 문(聞)이나 아니라 대응해 오는 대(對)이다. 소리를 마치 보는 듯 표현해 의미적 대비를 살리면서 성조의 대비로 운율도 살렸다. 읽으면 읽을수록 맛나는 구절이다. 이 시에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당대 두 천재 시인이 동시에 등장한다. 송지문과 낙빈왕(骆宾王, 626~687)이 두 주인공이다. 영은사는 한 고승이 저장성 항저우 북서쪽에 있는 한 산을 두고 "아 언제 천축의 산이 이리 날아왔던가? 부처의 영이 숨겨진 곳이로구나"라고 평가해 이를 기념해 지어진 절이다. 한마디로 경치가 매우 빼어나다는 의미다. 어느날 송지문이 영은사에 머물며 시를 지었는데 첫 구절이 "높은 봉우리 수풀 우거지고, 문 닫힌 용궁은 적막하기만 하네(鹫岭郁岧
가장 편한 게 책임지지 않고 권한만 누리는 일이다. 회사 경영을 하다보면, 그렇게 책임은 지지 않고 권한만 누리려는 이들이 적지 않다. 대체로 그런 이들이 새로 일하려는 직원들의 사기를 꺾는다. 그런 이들이 간부가 되고 임원이 되면 회사는 일의 성과를 내기보다 일을 벌여 생색만 내는 조직으로 변한다. 자연히 손실이 발생하고 그런 조직은 일 좀 하는 이를 ‘희생양’으로 만들어 책임을 지운다. 조직에서 점점 일하는 이들이 사라지고, 결국 망하게 된다. 사업은 블루오션처럼 사업 자체가 비전이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사 레드오션이어서 경쟁이 치열하다고 해도 일치단결해 승리를 쟁취하는 내부 조직원이 있다면 성공의 길은 이미 약속된 것이나 다름이 없다. 무엇보다 레드오션의 장점은 누구나 다 사업의 비전을 인정한다는 의미여서 이 같은 내부 조직원이 있다면 찾기 어려운 블루오션을 찾느니, 레드오션만 찾아가 시장을 장악하는 게 더 손쉬운 일일 수도 있다. 전국책에는 한참 성장하던 진나라가 왕의 권한을 찬탈한 이들로 혼돈에 빠지자 범저가 왕에게 경고하는 장면이 나온다. 구구절절 가슴에 와닿는다. “무릇 국가를 통치하는 자를 일러 왕이라 하는 것이요. 이해를 마음대로 장악
중국 경제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코로나 팬데믹이 끝난 중국 경제가 기대와 달리 부진한 모습이다. 특히 크게 위축된 소비가 다시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소비부진에 물가가 하락세마저 보인다. 경기침체의 전조인 것이다. 급한 중국 당국 역시 칼을 뽑았다. 지난달 중국 최고 지도부인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경제회의를 열었고, 직후 중국 거시경제 주무 기구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국가발개위)는 공업정보화부, 상무부, 문화여유부, 시장감독관리총국과 함께 지난달 31일 '소비 회복 및 확대에 관한 20개 조치'를 발표했다. 국가발개위 조치에는 자동차·주택·전자제품·홈퍼니싱 등 대규모 소비와 외식·문화관광·의료서비스 등 서비스업 소비 촉진책이 포함돼 있다. 세부적으론 신에너지 자동차 구입세 감면을 지속하고 자동차 소비에 대한 금융 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또 농촌에서 판매되는 그린 스마트 가전에 대한 보조금 등의 혜택을 주기로 했다. 그럼 이제 중국의 소비가 살아날까? 아쉽게도 전문가들의 의견은 달랐다. 소비를 자극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그동안 국제 언론이 기대해온 대규모 부양책과는 거리가 크다는 평을 받고 있다. 중국 HSBC의 경제학 연구원인 신이란
“通晓”男朋友 “tōngxiǎo ”nánpéngyou 남자친구에 “능통하다” 老师:谁能用“通晓”造个句子? lǎoshī :sheí néng yòng “tōngxiǎo ”zào gè jùzi ? 선생님: “능통하다”는 잘 이해한다는 뜻입니다. 예문을 만들어 보세요. 凯文:我通晓历史! kǎi wén :wǒ tōngxiǎo lìshǐ ! 케빈: 나는 역사에 능통하다 ! 家荣:我通晓音乐。 jiā róng :wǒ tōngxiǎo yīnyuè. 가영: 나는 음악에 능통하다. 马丽丽:我通晓我的男朋友! mǎ lì lì :wǒ tōngxiǎo wǒ de nánpéngyou ! 마리리: 나는 내 남자친구에 능통하다! *通晓: 잘 알다, 능통하다. 통상 “通晓“뒤에는 학문, 지식에 관련된 명사가 붙습니다.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인사가 만사다.” 어느 상황에서도 틀리지 않는 말이다. 회사가 크건 작건 모두가 사람의 일이다. 어떤 사람과 일을 도모하느냐가 결국 일의 성패를 좌우한다. 그래서 예로부터 이기려면 좋은 인재를 쓰라 했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단순히 좋은 인재만 쓰는 것은 부족하다. 경쟁 상대를 약화시키기 위해 상대에게 나쁜 인재들이 가서 일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상대가 나쁜 인재를 쓰게 되면 경쟁이 편해진다. 전국책의 고사들은 국가존망의 전쟁에서 왕들이 인재를 어떻게 했는지 잘 알 수 있다. 특히 국력 강화를 위해 좋은 인재를 물색해 임용했고 반대로 상대국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는 나쁜 인재들이 중용되도록 간계까지 썼다. 하루는 진나라 재상이던 감무가 왕의 고충을 들었다. “초나라에서 오는 사신들이 대개가 달변가여서 나와 의론이 맞붙으면 내가 자주 궁색해지니 이를 어쩌면 좋겠습니까?” 감무가 답했다. “염려하실 것 없습니다! 다음에 그런 달변가가 오면 그들의 말을 전혀 들어주지 마십시오. 그리고 약한 자가 오면 그들의 말을 들어주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약한 자는 그 나라에 중히 쓰일 것이며 달변가는 높이 쓰이지 못할 것입니다.” 간단히 경쟁상대 회사에서
함께한다는 건 나누는 것이다. 그냥 나눠주는 게 아니라 양 손으로 공손히 바치는 것이다. 함께한다는 건 받는 것이다. 그냥 받는 게 아니라 양 손으로 공손히 받아 드는 것이다. 그런 자세로 주고받을 때 우린 함께하는 것이다. 한 손을 내민 것을 두 손으로 받고 두 손을 내민 것을 한 손으로 받으면 최소한 ‘대등한 함께’가 아니다. 한 손으로 주고받는 것 역시 ‘존중받는 함께’가 아니다. 주는 것도 받는 것도 같이 두 손으로 공손히 그 게 바로 ‘대등한 함께’다. 갑골자의 시대부터 이어진 ‘함께’의 정신이다. 갑골자의 함께할 공(共)이 전하는 정신이다. 갑골자에 공은 두 손으로 공손히 뭔가를 전하는 것이다. 또 다른 면에서 두 손으로 공손히 뭔가를 받아든 것이다. 함께하는 것은 공손히 뭔가를 주거나 뭔가를 받는 것이다. 공손히 받는 만큼 주는 것도 공손한 게 바로 ‘함께할’ 공이다. 준다는 게 받는만큼 어렵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제일 바보가 베풀고 욕을 먹는 이다. 간단히 한 손으로 줬기 때문이다. 받기는 했지만 마음이 불편한 탓이다. 두 손으로 함께하는 마음이 바로 공손할 공(恭)이다. 공(共) 아래 마음 심(心)이 있다. 바로 삼가는 마음이다. 예(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