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독일의 경제·무역 협력에 대해 독일 기업들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동안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연합의 많은 기업들은 중국 당국의 폐쇄적 조치들로 인해 중국에 대한 투자를 철회하려 한다는 게 일반적인 분위기였다. 그런데 최근 조사 결과, 독일 기업들은 여전히 중국내 사업에 대한 계획을 버리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최근 주중 독일상공회의소(German Chamber of Commerce)가 실시한 기업 신뢰도 조사에 참여한 566개 회원사 중 91%가 중국에서 계속 사업을 유지할 의사를 밝혔으며,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한 곳도 절반이 넘었다. 이번 조사는 이미 지난해 Siemens, Mercedes-Benz, BASF, Volkswagen, BMW 등 독일 주요 기업들이 중국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면서 중국 시장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한 가운데 발표됐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6일 3일간의 일정으로 중국을 공식 방문한 올라프 숄츠(Olaf Scholz) 독일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중국과 독일 간 협력은 양국은 물론 전 세계에도 이익이 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세계가
‘제4회 중국 국제 소비재 박람회(CICPE, China 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s Expo)’가 중국 남부 하이난성의 주도 하이커우에서 18일까지 개최된다. 지난 13일 개막한 이번 박람회에는 71개 국가 및 지역에서 4000여 개의 브랜드가 참가했다.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고품질의 참신한 전시품을 선보였는데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기업들의 재참가율이 높았고 영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등의 지역에선 처음으로 참가하는 기업이 많았다. 특히 중국과 수교 45주년을 맞이한 아일랜드가 엑스포 주빈국으로 과학기술 혁신, 교육, 투자, 관광,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소개하는 전용 전시장을 꾸렸다. 아일랜드 기업들은 전년 대비 약 6배 넓은 공간을 배정받아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희망을 내비쳤다. 박람회 메인 행사장인 하이난 국제 컨벤션 및 전시 센터 본관 외에도 요트, 면세 쇼핑, 국제 보건 분야를 위한 3개의 부전시관이 하이커우와 보아오에 각각 마련됐다. 박람회 조직위원회는 올해 300개 이상의 주제별 활동과 신제품 출시 등 특색 있는 이벤트가 진행된다고 밝혔다.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박람회 개최지인 하이난의 지난해 수출입 상품액 전
"수소 기술 분야의 협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숄츠 독일 총리가 독일 기업 대표단을 이끌고 3일간의 공식 방문을 위해 14일 중국에 도착했다. 숄츠 총리는 첫 번째 방문지로 충칭을 선택하고 '보쉬 수소 발전 시스템즈(Bosch Hydrogen Power Systems)'를 찾아 수소엔진 및 수소 연료전지 생산 시설을 둘러봤다. 이 자리에서 슐츠 총리는 중국과 독일의 수소 기술 협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만큼 양국 기업이 협력해 수소 기술 발전에 힘쓰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에게는 의미심장한 말이다. 한국은 수소차 개발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자랑하고 있다. 다만 수소를 만들어내는 기술에서는 아직 독일에 조금 뒤처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국은 현재 전기차 분야에서 상용화 기술에 가장 두드러진 발전을 보이는 나라다. 여기에 수소 기술까지 더해지면, 한국의 수소차 기술을 위협할 수 있어 주목된다. 보쉬 수소 발전 시스템즈는 독일 보쉬 그룹과 글고벌 자동차 기술 공급업체인 칭링자동차그룹의 합작회사다. 현재 75kW~190kW 범위의 수소 전력 모듈 대량 생산과 적용을 달성했으며, 올해 300kW 제품을 소량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쉬는 2021년
중국이 7년 연속 글로벌 상품 무역 1위를 차지했다. 13일 중국 상무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글로벌 상품 무역 수출 시장 점유율은 14.2%, 수입 시장 점유율은 10.6%로 집계됐다. 상무부는 "지난해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세계 경제가 어려운 가운데 중국의 국제 무역 시장 점유율은 전반적인 안정성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상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수출입 규모는 5조 9400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 중 수출은 3조 3800억 달러, 수입은 2조 5600억 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올해 1분기 중국의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은 분기 사상 최고치인 10조 1700억 위안을 기록했다. 그 중 수출은 5조 74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고, 수입은 4조 4300억 위안으로 5% 증가했다. 민영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했다. 1분기 중국 민영기업의 수출입 총액은 5조 5300억 위안(10.7% 증가)으로 전체 수출입 총액의 54.3%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외자기업 수출입 총액은 2조 9700억 위안으로 29.3%를 차지했고, 국유기업 수출입 총액은 1조 6400억위안으로 16.1%를 차지했다.한
중국 정부가 유럽연합의 중국 신에너지 기술 관련 기업에 대한 견제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10일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유럽연합의 보호무역주의가 고조되는 경향을 우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중국은 유럽연합이 중국 기업, 심지어 산업계에 대해 취하는 차별적 조치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연합은 최근 풍력발전기부터 전기차까지 유럽에 진출한 중국의 신에너지 기술 관련 기업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나섰다.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 경쟁담당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9일(현지시간) "스페인, 그리스, 프랑스, 루마니아, 불가리아 풍력발전단지의 중국 풍력터빈 공급업체에 대해 EU 역외보조금 규정(FSR) 관련 새로운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FSR은 제3국에서 과도한 보조금을 받아 제품 단가를 낮춘 외국 기업이 유럽연합내에서 기업결합이나 공공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법이다. 조사를 벌여 공정경쟁을 해치는 수준의 보조금을 받았다고 판단되면 유럽연합내 기업결합 및 공공입찰 참여를 불허할 수도 있다. AFP 등 외신에 따르면 베스타게르 수석 부집행위원장의 이번 발표는 중국 풍력발전 업체들이 중국 정부
미중이 대화를 지속하고 있지만 좀처럼 갈등의 골을 좁히지는 못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최근 열린 통상무역 차관급 실무그룹(워킹그룹) 첫 회의에서 주요 현안에 대한 이견을 재확인했다. 5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일보에 따르면 왕서우원(王受文)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위원 겸 상무부 부부장(차관)은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미국을 방문해 마리사 라르고 미국 상무부 차관과 공동으로 미중 통상무역 제1차 차관회의를 주재했다. 왕 부부장은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중미 정상 회담에서 양국 경제무역관계 발전 방향이 제시됐다”며 "두 정상은 최근 전화 통화를 통해 양국 실무팀에 비즈니스 및 기타 분야의 협의 메커니즘을 활성화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이번 회의에서 "미국의 중국에 대한 301조 추가 관세 및 관련 301조 조사 신청, 국가 안보를 이유로 한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 무역 구제 조사 규칙 개정, 양방향 투자 제한 등 부당한 대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라르고 차관은 "미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과잉 생산 문제를 비롯해 미국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규제, 미국 국경을 초
'보아오 아시아포럼2024 연례회의'가 29일 나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폐막했다. 중국 하이난성 보아오에서 '아시아와 세계: 공동의 도전, 공동의 책임(亚洲与世界:共同的挑战,共同的责任)'을 주제로 열린 올해 포럼에는 세계 60여 개 국가 및 지역에서 2000여 명이 참가했다. 29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선 글로벌 경제, 과학·기술 혁신, 사회 발전, 국제 협력 등 4개 주제로 40여 개의 하위 분과 포럼과 100여 개의 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인구 고령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고령친화 사회 구축 등 많은 국가가 직면한 공통 과제에 대한 서브 포럼이 마련돼 주목받았다. 보아오 포럼 사무국은 모든 참가 당사자가 심층적인 교류를 진행하고 광범위한 협력을 수행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플랫폼이 제공됐다고 평가했다. 보아오포럼은 공식적으로는 비정부 기구 행사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 당국이 국제 여론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돼 왔다. 지난해까지 중국 권력 서열 1~2위인 국가주석과 총리가 번갈아가며 호스트 자격으로 기조연설을 해왔으나 올해는 처음으로 서열 3위인 자오러지(趙樂際)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 연설자로 나서 격이 낮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윈 마카오(Wynn Macau)와 윈 팰리스(Wynn Palace) 호텔이 프리미엄급 중국 와인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윈 시그니처 중국 와인 어워드(Wynn Signature Chinese Wine Awards)'를 주관할 27명의 국제 심사위원단을 11일 공개했다. 마카오정부관광청(Macao Government Tourism Office)의 지원을 받아 열리는 이번 행사는 세계 최대 중국 프리미엄급 와인 경연대회다. 7명의 와인 마스터를 비롯해 와인 소믈리에, 와인 양조 전문가, 와인 바이어 등으로 이루어진 27명의 심사위원단은 본선 콘테스트가 열리는 4월 13일 중국의 와이너리 약 200곳에서 출품한 750여 종의 프리머엄급 와인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게 된다. 린다 첸(Linda Chen) 윈 마카오 사장은 심사위원단 공개에 맞춰 "윈(Wynn)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와인 전문가들을 심사위원으로 맞이할 수 있게 되어 영광"이라며 "윈 팰리스에서 열릴 시상식은 프리미엄 중국 와인을 세계 무대에 선보이고 중국 와인 산업의 우수성을 기념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행사는 중국 와인 제조사들이 고급 와인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전략
중국산 커넥티트 차량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충돌 양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커넥티드 차량은 자동차가 사물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개인 컴퓨터로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커넥티드, 즉 인터넷 통신으로 연결돼 자동차 이동 등과 관련한 정보를 축적하고, 이용자의 개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하지만 바로 이 점에서 미국이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에 대해 안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 미국은 중국이 다른 IT기기를 활용해서 미국내 빅데이터를 적극 수집하는 방식으로 국가 안보에 민감한 주요 정보에 접근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4일 중국 상무부는 홈페이지에 "미국이 국가 안보를 핑계로 중국 자동차의 정상적인 수출을 방해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최근 몇 년 동안 미국이 중국산 자동차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차별적인 보조금 정책을 도입하더니 이제는 국가 안보라는 기치 아래 비관세 장벽을 세우려 한다"며 "이는 전형적인 보호주의적 접근 방식으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과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왜곡해 미국 소비자의 이익에도 해를 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
"중국 기업들에 대한 제재를 이제는 풀어달라." 왕이(王毅)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자 외교부장이 16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안보회의에 참석해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회담했다. 그는 중국 기업들에 대한 미국 제재 해제를 직접 요구했다. 왕이 부장의 발언은 중국 경제가 침체와 회복의 갈림길에서 머뭇거리는 현 상황에서 중국 당국의 절실함이 묻어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미국은 과거 무역 균형을 요구하며 중국 기업들에 대해 제재를 가했지만, 이후 국가 발전 전략 차원에서도 화웨이 등 IT(정보통신) 분야의 기술 기업들에 대해 제재를 지속하고 있다. 화웨이에게는 '기술도둑'이라는 오명까지 씌운 상태다. 17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이번 회담에 대해 "솔직하고 실질적이고 건설적이었다"고 평했다. 왕이 부장은 회담에서 "지난해 말 시진핑 주석과 바이든 대통령이 성공적으로 만나 중미 관계의 전략, 전반, 방향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견해를 교환하고 중요한 공감대를 달성했다"며 "현재 양측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양국 정상의 전략적 지도에 따라 '샌프란시스코 비전'을 실현하고 중미 관계가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지속가능한 궤도에 따라 발전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