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8억 달러’ 한화로 약 162조 2,358억 원이다. 중국의 올 1~10월 간 대외 비금융 직접투자액이다. 공식 집계로 약 3000만 달러 이상 웃돌았다. 전년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다. 올 들어 10월말 현재까지 중국의 대외 비금융 직접투자액이 1158억 3천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화로 약 162조 1,735억 원가량이다. 전년 동기 대비 10.6% 늘어난 수치다. 중국 기업의 ‘일대일로’ 공동 건설 국가에 대한 비금융 분야 직접투자는 266억 5천만 달러(약 37조 3,126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중국의 대외 도급 공사는 1,243억 8천만 달러(약 174조 1,444억 원)의 영업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 는 수치라고 밝혔다. 신규 계약액은 1,776억 5천만 달러(약 248조 7,277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했다. 이 중 ‘일대일로’ 공동 건설 국가에서의 도급 공사 영업 실적은 1,008억 2천만 달러(약 141조 1,580억 원)였다. 전년 동기 대비 0.8% 늘었다. 신규 계약액은 1,486억 4천만 달러(약 208조 1,108억 원
바야흐로 IT기술의 시대다. 글로벌을 데스크톱을 통해 하나로 엮어주는 인터넷 확산에 이어 그 인터넷을 손바닥으로 옮겨 준 아이폰이 출현, 글로벌 사회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든 하나로 묶여지는 사회가 된 이래 하나 된 지구촌 사람들의 수요를 찾아 만족시켜주는 IT기술 회사들이 출현 세계적인 부를 쌓았다. 대표적인 게 바로 구글이다. 지구촌 곳곳의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수요자의 구미에 맞춰 보여주는 데 성공하면서 오늘날 IT계의 거목이 됐다. 물론 아직 세계 데스크톱의 운영체제를 석권했던 마이크로소프트가 명성을 지켜가고 있다. 데스크톱 운영체제뿐 아니라, 데스크톱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사무 프로그램의 대명사다. 이런 회사들이 왜 주로 미국에서 나오는 것일까?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 가장 손 꼽는 게 바로 창업 환경이다.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진 이들과 개발 능력을 가진 이들이 한 곳에서 서로 토론하며 아이디어를 실현 가능한 창업 아이템으로 만들고, 여기에 투자환경까지 조성돼 자연스럽게 하나의 사업체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다. 바로 과학기술 혁신 환경이다. 모두가 이 같은 환경을 만들고, 보유하고 싶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같은 환경을 갖춘 도시는
‘3조 5,200억 위안’ 한화로 약 679조 7,120억 원 가량이다. 상하이시의 올 1~10월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하이는 중국 경제의 주요 부분이다. 상하이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중국 전체의 성장세 역시 안심하기 이르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10월까지 상하이시의 수출입 총액은 3조 5,200억 위안(약 679조 7,1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1조 4,800억 위안(약 285조 7,880억 원)으로 2.9% 증가했고, 수입은 2조 400억 위안(약 393조 9,240억 원)으로 1.6% 감소했다. 무역 적자는 5,559억 1천만 위안(약 107조 3,462억 원)으로 12% 축소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가공 무역의 수출입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1월부터 10월까지 상하이시는 일반 무역 방식으로 2조 900억 위안(약 403조 5,790억 원)을 수출입하며 0.1% 늘었다. 이는 동기간 상하이시 수출입 총액의 59.4%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가공 무역 방식으로 4,832억 3000만 위안(약 93조 3,117억 원)을 수출입하며
베이징시의 올 1~10월 사회 소비품 총액이 전년보다 1.3% 줄었다. 중국의 소비부진의 현상이 베이징시 통계에서 극명하게 보여지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10월에는 중국 당국이 소비촉진을 위해 벌인 ‘이구환신’(구형제품을 신형으로 교환 지원) 정책이 실시돼 그 결과가 반영된 달이다. 정책 효과가 나오기는커녕 오히려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2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시 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베이징 소비재 시장 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0월에는 소비재 교체 장려 정책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판촉 활동에 힘입어 베이징 소비재 시장이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1~10월 동안 베이징시의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 감소폭이 축소되었으며, 특히 온라인 소매가 빠르게 성장하며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고급 소비재 위주의 소비가 이뤄지는 특징을 보였다. 1~10월, 베이징시는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 1조 1,590억 위안(약 223조 1,422억 원)을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다만 감소폭은 3분기 대비 0.3%포인트 축소되었다. 이 중, 한도를 초과한 도·소매업과 숙박·요식업의 온라인 소매액은 4,704억 8천만 위안(약
중국의 지난 10월 공공예산 수익이 전년동기 보다 5.5% 늘었다. 다만 지난 1~10월 간에는 1.3% 줄었다. 중국 지방 정부의 재정 악화 우려가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앙 정부 예산 수익이 다시 상승 반등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20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18일 데이터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국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18조 4,981억 위안(약 3,564조 3,98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동기간 중소기업과 소규모 기업의 납세 유예가 기저효과를 높였던 점, 그리고 지난해 중반에 도입된 감세 정책의 후속 효과로 인해 수입이 감소한 특별한 요인을 제외하면, 수입은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월별 데이터로 보면, 10월 전국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했으며, 전국 세수 수입은 1.8% 증가했다. “10월에는 재정 수입 증가율이 5.5%에 달하며 월별 증가폭이 계속 회복되었다. 또한 당월 세수 수입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며, 올해 처음으로 전년 대비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라고 중국 재정과학연구원 원장 양즈융은 밝혔다. 그는 재정 수입 데이
중국의 경제적 성공은 소위 ‘강목사상’이라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 경제를 거대한 그물로 보고, 그물을 일으켜 설치하기 위해서 그물의 주요 지점인 ‘눈’을 제대로 잡아 끌어올리면 된다는 게 ‘강목사상’이다. 사물을 파악하고 장악하는 동양의 전통적인 사고 체계를 의미한다. 중국 경제는 바로 이 사상에 기반을 두고 성장했다. 주요 기점인 도시를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경제발전을 이룬 도시들이 다시 지역 경제 발전을 견인하도록 한 것이다. 결국 중국의 발전은 도시화 지표로 설명될 수 있다. 실제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도시화 과정은 급속히 진전됐다.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2012년 말까지 중국의 도시 인구는 7억 1200만명에 달했고 도시화율은 52.57%로 증가해 세계 평균에 도달했다. 이후 도시화는 더욱 가팔라졌다. 하지만 기존의 농촌과 도시를 구분하는 개념으로서 ‘도시화’는 더 이상 발전한 중국 도시들을 구분해 내는 데 유용하지 않게 됐다. 중국은 최근 다양한 경제지표와 생활수준 지표를 혼합해 한 도시의 발전과 복지 수준을 파악하는 개념으로 ‘도시화 지수’를 내놓았다. 그럼 현재 중국에서 가장 도시화 지수가 높은 지역은 어느 곳일까? 베이징, 상하이? 둘 다
중국의 올 1~9월 건축 자재산업의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6.8% 성장했다. 중국의 건설경기 측면에서 기대이상의 실적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평가다. 중국은 아파트 분양을 받으면 말 그대로 아무런 꾸밈이 없는 맨살 그대로의 아파트다. 분양을 받은 사람이 각종 인테리어를 해야만 한다. 인테리어 시장 매출이 는다는 것은 것은 실질적인 입주가 늘었다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19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건축자재 업계는 '2024년 건축자재 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업계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9월 동안, 국내 장식 및 리모델링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다. 녹색 건축자재 하향 정책과 교체 지원 프로그램의 시행은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업계의 녹색 전환에도 강력한 동력을 불어넣고 있다. 현재 72종의 건축자재가 녹색 인증 체계에 포함되었으며, 관련 수익은 10% 이상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인테리어 기업들은 최근 몇 년간 획기적이고 독창적이며 혁신적인 성과를 집약한 최신 과학기술을 내놓았다. 이 같은 기술들은 이번 2024 건축자재 대회에서 발표됐다. 그 중에는 세계 최초의 시멘트 산업 전산소 연소
'1.3%p↑' 지난 10월 중국 전국 기업들의 매출 증가폭이다. 세무당국의 세금 부가를 위한 조사 결과다. 중국은 올 하반기 들어 '이구환신'(구형 주고 새 것 받자) 정책 등을 펼치며 사회 소비 진작에 힘썼다. 막대한 재정을 들였지만 10월 기업 매출 성적은 그야말로 '찔끔' 오르는 데 그친 것이다. 중국 소비 회복세가 반짝 회복세를 보인 뒤 주춤하는 모습이다. 1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지난 7일 이 같은 내용의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0월에 전국 기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고 전월 대비 1.3%p 상승하는 데 그쳤다. 다만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성적이 그나마 일련의 증가 정책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라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 추세가 자리 잡고 있으며 경제의 지속적 회복과 개선을 촉진했다고 밝혔다. 제조업 생산과 판매도 늘었다. 10월 제조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하여 9월 대비 2.2%p 상승했다. 그중 고기술 제조업과 장비 제조업 매출은 각각 8.9%, 5.1% 늘었다. 이는 제조업 전체 매출 증가율보다 각각 7.6%p, 3.8%p 은 것이다. 결국 고기
'5조 2,281억 6000만 위안' 한화로 약 1,014조 4,721억 원에 달한다. 중국의 올 1~9월간 전국 규모이상의 산업 기업이 달성한 총이익 규모다. 기술 산업 기업 이익 성장세만 전년 동기 대비 6%를 넘어섰다. 여기서 규모이상의 산업기업은 연 수익이 2000만 위안 이상인 기업을 의미한다. 한화로 약 38억 5,260만 원 가량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산업 현황 데이터를 내놓았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국 규모 이상의 산업 기업이 달성한 총 이익은 5조 2,281억 6천만 위안에 달했다. 고기술 제조업의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규모이상 산업 기업의 이익 증가를 견인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평했다. 중국 통계국은 관련 수치를 발표하며 "고기술 제조업을 대표로 하는 새로운 성장 동력 산업의 이익이 빠르게 증가하여 산업 경제의 발전 탄력성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1월부터 9월까지 항공기 및 운반 로켓 제조, 반도체 장치 전용 장비 제조 등의 고급 장비 제조업의 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1%, 13.2% 증가하였다. 스마트 차량 장비 제조, 착용형 스마트 장비 제조, 스
‘1671억 9,300만 위안’ 한화로 약 32조 4,705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지난 3분기 중국 IT공룡인 텐센트의 매출 실적이다. 한국 네이버의 3분기 실적은 2조7156억원 정도였지만, 역대 최대 실적이었다. 중국 텐센트의 매출이 네이버의 16배에 달하는 것이다. 15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텐센트는 지난 13일 2024년 3분기 실적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텐센트는 3분기에 1671억 9,300만 위안(약 32조 4,705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전년 대비 8% 증가하였다.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은 각각 888억 2,800만 위안(약 1조 7,251억 원)과 612억 7,400만 위안(약 11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와 19% 증가하여 8분기 연속 매출 성장률을 초과하였다. 각 사업부문 중 부가가치 서비스 사업은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며, 해당 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826억 9,500만 위안(약 16조 601억 원)이었다. 그 중에서도 국내 게임 매출은 373억 위안(약 7조 2,4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하여 전체 매출의 22.31%를 차지하였다. 핀테크 및 기업 서비스 부문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