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없이 그댈 보낼 때 멀리 흰 구름 한 없이 흐르고
“但去莫复问,白云无尽时。”(단거막복문, 백운무진시) “말없이 그댈 보낼 때 멀리 흰 구름 흐르고” 이별 시다. 당의 가장 인간적인 가장 서정적인, 소리 내 우는 눈물이 아니라, 숨어 삼켜 우는 눈물을 아는 시인 왕유의 시 ‘송별’이다. 761년 숨졌는데, 태어난 해에는 701년과 699년 두 가지 설이 있다. 당대 이백을 ‘시성’(詩聖), 두보를 ‘시선’(詩仙)이라 한다면, 왕유는 시의 부처, ‘시불’(詩佛)이라 불렸다. 송대 가장 걸출한 시인 소동파는 왕유의 시를 높이 평가해 “왕유의 시 속엔 그림이 있다”고 했다. 그만큼 왕유의 시들은 아름다고, 생생한 심미주의가 담겨있다. 그 옛날 이별은 오늘과 달랐다. 한 번 헤어지면 쉽게 다시 보기 힘들었다. 헤어짐은, 그래서 많은 것을 가슴에 묻어야만 했었다. 그래서 옛 사람의 이별에는 항상 작은 예식이 있었다. 술과 노래, 작은 선물 꺾어든 버들잎 옛사람 이별식의 필수 품목들이다. 버들나무 류(柳)는 머물다는 류(留)와 발음이 같았다. 만(挽)은 ‘당기다’, ‘꺾다’는 뜻이다. 류(柳)를 꺾는(挽) 건 말없이 강한 만류(挽留)의 뜻이다. 만류는 뜻을 꺾는다는 의미다. 그대 부디 가지 마오. 그 강을 건너지 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