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음으로, 몸으로 그리는 그대...애달픔에 대하여

 

“春风不相识, 何事入罗帏?”

(춘풍부상식, 하사입라위)

 

어디선가

불어온 봄바람

애꿎은

치마 끝만

들추네.

 

시성 이백(701~762)의 춘사다. 이백은 누구라 말할 것 없는 천재 시인이다.

1300여년 전 당나라 시인이지만,

지금 읽어도 시의와 시정은

읽는 이의 마음을 적시고, 요동치게 한다.

 

그의 시어(詩語)는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한계 속에 있지만,

그의 시율은 시대를 넘어

천고를 관통해 면면히 이어진다.

 

동서양, 그의 시처럼

때론 호방하고

때론 애처롭고

때론 정욕에 싸인 듯

때론 백합처럼

간결하고, 깨끗한

이 모든 것을

다 갖춘 시를 본 적이 없다.

 

춘사(春思)는

말 그대로 ‘봄의 생각’이다.

봄에 드는

그리움이다.

 

하지만 겨우내

가슴 속 깊숙이

농 익어온

마음의 정, 심정(心情)이다.

 

본래 그리움이

짙어지면

애달프다.

 

애달프다는 건

마음만

아픈 게 아니다.

 

몸도

아픈 것이다.

 

몸과 마음으로

그리고 그려,

그리다 못해

그대 오는 날

그만 버티지

못하고 끊어지는

단장(斷腸)의

고통,

애달픔이다.

춘사는 이 애달픔을 너무 간결하게

너무도 새침하게

너무도 요염하게 그렸다.

 

그래서

일견 소녀의 방심(芳心)같고

탕부의 음심(淫心)같으며,

때론 열부(烈婦)의 결의(決意)같다.

 

이백의 춘사요,

춘사의 의역시다.

 

燕草如碧絲 연초여벽사

秦桑低綠枝 진상저록지

當君懷歸日 당군회귀일

是妾斷腸時 시첩단장시

春風不相識 춘풍부상식

何事入羅幃 하사입나위

 

“남녘 나뭇가지

무성하고

북녘 풀도

푸르러졌는데

 

저 멀리

님은

이 애간장

다 태우고

오시려나.

 

어디선가

불어온 봄바람

애꿎은

치마 끝만

들추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