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갈수록 간편식 인기 끄는 중국에서 인기 있는 5대 전자레인지 브랜드

중국인 입맛을 사로 잡는 법

중국인들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가운데 하나가 '중국인들은 집에서 요리를 잘 한다'는 것이다. 

요리를 잘하는 사람이 많기는 하지만, 

중국에서는 집에서 요리하기 보다 외식하기를 좋아한다. 심지어 아침 식사마저도 외식을 한다. 출근길 아침마다 버스 정류장, 주요 회사들이 몰려있는 골목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게 리어커를 끌고 나온 포장마차다. 

기자 역시 처음 중국에 도착해 꼬리하는 냄새가 아주 역겨웠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냄새를 맡으면 군침이 돌 정도로 익숙해졌다.

그럼 집에서는 요리를 하지 않는가?

100% 정답이 있을까마는 대체로 맞다. 우선 중국 요리는 기름이 많다. 집에서 요리를 하면 온통 기름 연기가 집안을 채운다. 요리가 끝나도 집안 곳곳에 연기로 뿌려진 기름이 집에 남아 지저분하게 된다. 

중국은 집에서 요리하기에 아주 불편한 셈이다.

무엇보다 요즘 '만만디'(천천히)의 나라가 '콰이콰이'(빨리빨리)의 나라로 변한지 오래다. 젊은 직장인의 경우 바빠서도 집에서 요리를 하기 힘든 구조다.

결국 중국 주방에 빠지지 않고 있는게 전자레인지다. 간편식을 간단히 익혀 먹는 전자레인지는 중국인 가정의 필수품이다. 

중국 주방을 장악한 5대 전자레인지 브랜드를 뽑아 봤다.

 

1. 格兰仕 (광둥성)

1978년에 설립되어 10대 전자레인지 브랜드 중 하나다. 전자레인지, 에어컨, 가전 제품, 가전 제품의 글로벌 개발을 촉진하는 데 전념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는 "중국 유명 브랜드", "국가 품질 및 효율성 기업"및 기타 상을 수상했으며 전자 레인지는 성능과 품질면에서 소비자들에게 깊은 사랑을 받고 있다.

 

2. 惠而浦 (미국)

1911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가전 제품 제조업체이자 소매 업체이다. 회사는 설립 이래 소비자에게 최고의 제품을 제공하고 더 많은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해왔다. 모든 전자레인지는 최고 품질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첨단 생산 기술과 결합되어 시장에서 만장일치로 찬사를 받았다.

 

3. 方太 (절강성)

1996년에 설립되었다. 설립 이래 고품질의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인간화 된 주방 기술과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의 임베디드 주방 가전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제품의 생산 과정을 엄격하게 제어한다. 가장 앞선 생산 기술이며 품질 면에서 아주 좋은 브랜드이다.

 

4. 威力 (광둥성)

1980년에 설립되었다. R & D,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및 기타 가전 제품 을 통합하는 현대적인 종합 기업이다. 제품은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 중 하나가 되었다.

 

5. 大宇 (한국)

대우 브랜드는 1971년에 설립되었다. 전자레인지, 세탁기, 냉장고 생산을 통합 한 종합 가전 제조 기업이다. 현재 회사는 주로 백색 가전의 제조 및 판매에 종사하고 있다. 상하이의 판매량은 업계 최전선에 있으며 전자레인지는 만장일치로 찬사를 받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