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갈수록 간편식 인기 끄는 중국에서 인기 있는 5대 전자레인지 브랜드

중국인 입맛을 사로 잡는 법

중국인들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가운데 하나가 '중국인들은 집에서 요리를 잘 한다'는 것이다. 

요리를 잘하는 사람이 많기는 하지만, 

중국에서는 집에서 요리하기 보다 외식하기를 좋아한다. 심지어 아침 식사마저도 외식을 한다. 출근길 아침마다 버스 정류장, 주요 회사들이 몰려있는 골목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게 리어커를 끌고 나온 포장마차다. 

기자 역시 처음 중국에 도착해 꼬리하는 냄새가 아주 역겨웠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냄새를 맡으면 군침이 돌 정도로 익숙해졌다.

그럼 집에서는 요리를 하지 않는가?

100% 정답이 있을까마는 대체로 맞다. 우선 중국 요리는 기름이 많다. 집에서 요리를 하면 온통 기름 연기가 집안을 채운다. 요리가 끝나도 집안 곳곳에 연기로 뿌려진 기름이 집에 남아 지저분하게 된다. 

중국은 집에서 요리하기에 아주 불편한 셈이다.

무엇보다 요즘 '만만디'(천천히)의 나라가 '콰이콰이'(빨리빨리)의 나라로 변한지 오래다. 젊은 직장인의 경우 바빠서도 집에서 요리를 하기 힘든 구조다.

결국 중국 주방에 빠지지 않고 있는게 전자레인지다. 간편식을 간단히 익혀 먹는 전자레인지는 중국인 가정의 필수품이다. 

중국 주방을 장악한 5대 전자레인지 브랜드를 뽑아 봤다.

 

1. 格兰仕 (광둥성)

1978년에 설립되어 10대 전자레인지 브랜드 중 하나다. 전자레인지, 에어컨, 가전 제품, 가전 제품의 글로벌 개발을 촉진하는 데 전념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는 "중국 유명 브랜드", "국가 품질 및 효율성 기업"및 기타 상을 수상했으며 전자 레인지는 성능과 품질면에서 소비자들에게 깊은 사랑을 받고 있다.

 

2. 惠而浦 (미국)

1911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가전 제품 제조업체이자 소매 업체이다. 회사는 설립 이래 소비자에게 최고의 제품을 제공하고 더 많은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해왔다. 모든 전자레인지는 최고 품질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첨단 생산 기술과 결합되어 시장에서 만장일치로 찬사를 받았다.

 

3. 方太 (절강성)

1996년에 설립되었다. 설립 이래 고품질의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인간화 된 주방 기술과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의 임베디드 주방 가전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제품의 생산 과정을 엄격하게 제어한다. 가장 앞선 생산 기술이며 품질 면에서 아주 좋은 브랜드이다.

 

4. 威力 (광둥성)

1980년에 설립되었다. R & D,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및 기타 가전 제품 을 통합하는 현대적인 종합 기업이다. 제품은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 중 하나가 되었다.

 

5. 大宇 (한국)

대우 브랜드는 1971년에 설립되었다. 전자레인지, 세탁기, 냉장고 생산을 통합 한 종합 가전 제조 기업이다. 현재 회사는 주로 백색 가전의 제조 및 판매에 종사하고 있다. 상하이의 판매량은 업계 최전선에 있으며 전자레인지는 만장일치로 찬사를 받았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