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공(公)은 먹고 사는 문제다. 그래서 어려운 것이다.



 

공평의 공(公)은

나눔에서

나온 개념이다.

 

갑골문자부터 나온다.

그만큼

공평은 인류 초기부터

그토록

중요했던 일인 것이다.

 

갑골자는

팔(八) 아래 입 구(口)가 있는 모습이다.

 

어떤 글자는 입 구(口)가

사 또는 모(厶)로 읽는 부호로 쓰이기도 했다.

 

 

사 사(厶)는

사전에

물건을 둘러싸 자기 것으로

하려는 것이라 설명돼 있다.

 

하지만

여성의 음부를 상징했다는 설이

개인적으로 더 신뢰가 간다.

 

어쨌든

공(公)은 나눔이다.

 

공평은

나눔이 있고서

비로소

중요해지는 개념인 것이다.

 

나눔은 무엇인가?

무소유의 끝이요.

사유(私有)의 시작이다.

 

모두의 것을

나누면서

비로서

개인의 것이

생기는 것이다.

 

나눔이 있고서

비로소

사유가 있는 것이다..

 

공평의 공은

사유화가 있어야

중요해진다.

 

사실 사(私)도 마찬가지다.

사(私) 역시 나눔의 문제다.

 

사는 공(公)과

대단히

유사하다.

 

둘 모두가 전체의 것을

사유화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다만 사(私)는 벼, 또는 그 씨를

은밀한 곳에

감춰 갖는 것이요,

 

공은 모두가 보는 곳에서

모두가 알게 나눈 것이다.

 

이제야

갑골시대부터 인류에게

중요했던

공평이 무엇인지

알게 된다.

 

공평은 혼자 몰래

갖는 사(私)와 달리,

 

모두의 앞에서

모두가 인정하는 만큼 갖는 것이다.

 

공평은

양이 아니라

질적 문제다.

 

공과 사의 문제는

그래서 어렵다.

 

사람들은 때론

목숨도 거는 데

바로 공과 사 모두가

먹고 사는 문제인 탓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