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터 기(基), 땅을 다져야 터가 된다.



 

농사를 짓기 위해 가장 먼저 할 일은

돌을 고르는 일이고

건물을 짓기 위해 가장 먼저 할 일은

돌 고른 땅을 다지는 일이다.

 

세상의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이 순서는 바뀌지 않는다.

이 도리는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기초요, 기본이다.

삶과 인생의 공리다.

 

“모든 일이 시작이 있고,

그 시작이 있고서야 비로소 끝이 있다.

모든 일이 본이 있고,

본이 있고서야 비로소 말이 있다.”

 

대학의 도리다. 자연의 순리다.

땅이 고르고 단단해야

그 위에

무엇이든 지을 수 있다.

심지어

어느 나무도 터를 잡지 않고는

뿌리를 내리지 못한다.

 

인간의 삶은 더욱 그렇다.

삶의 터를 잡아야

삶이 편해지는 것이다.

 

삶의 터는 어떻게 내리는가?

한자 기(基)가

그림으로 그 방식을 전한다.

 

땅 위를 돌을 쌓아 만든 틀로

내려치는 것이다.

때리고 때려, 다지고 다져

평평하게 만드는 것이다.

 

삶의 기초도 마찬가지다.

기본 틀을 되풀이 해 익히고 익히는 것이다.

다지고 다져

능숙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편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배우면

익혀야 한다.

그 배움이 다져지고, 익숙해져

기초가 될 때 비로서

삶이 편해진다.

바로 알면 실행하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경지다.

 

배우기만 하고 익히지 않으면 '위험한 지식'이 된다.

아는 데 할줄 아는 게 없으면,

제대로 아는 게 아니다.

 

영어를 배우고 영어를 못하면 못 배운 것이고,

기술을 배우고 기술을 활용하지 못하면 못 배운 것이다.

그래서

공자는 "네가 아는 것을 안다하는 게 아는 것이다" 했다.

정확히는

"네가 행할 수 있는 앎을 아는 게 참 앎이다"는 의미다.

 

못 배우고도 아는 척하면 위태롭다.

스스로는 물론 남에게 해가 된다.

기본이 있고서

탑을 쌓을 수 있다.

기본이 있고서

삶의 가지를 뻗고 열매가 열린다.

 

뿌리 없는 줄기가 없고

줄기 없는 가지가 없으며

가지 없는 열매가 없는 법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