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기쁠 쾌(快), 고통의 이면이 쾌락이다



 

‘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모든 게 마음에 달렸다.)

 

동양 철학의 정수다.

모든 게

마음에 달렸다.

 

어떻게

무엇을

마음먹느냐,

바로

그거다.

 

마음이

무엇이냐,

 

물리적으로

피가 뛰는 심장이다.

보통

사람의 주먹 크기다.

 

왼쪽 젖꼭지와

가슴 중앙선

사이의 뼈 아래 근육이다.

 

사람이 태어나

죽는 그 순간까지

한 번도 쉬지 않고

피를 돌린다.

 

성인기준 8만㎞ 길이의 혈관에

피가 돌도록 한다.

 

굴심방결절의 심박조율기 세포는

심장이

일정한 리듬을 가지고

뛰도록 한다.

대략 1분에 72회 정도다.

운동은 심박 속도를 늘리고

휴식은 심박 속도를 줄인다.

 

감정은

이 심장 리듬의 변화다.

 

묘하게도

놀랍게도

 

고대 동양의 현인들은

이 사실을 너무도 잘 알았다.

 

일체유심조

이 말 속에는

바로

이 같은

생물학적 깨달음이

담겨져 있다.

 

대표적인 글자가

쾌락(快樂)의 쾌(快)다.

‘몹시 즐겁다’는

뜻이 쾌다.

 

역설적이게도

마음을 도려내는

아픔도

담겨져 있다.

 

쾌는 갑골자가 아닌

금문에 나온다.

 

소전의 쾌(快)는

심장을

날카로운 기구로

긁어내는 모양이다.

 

가려움을 긁어주는

모양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심장을 긁는

극한의 고통이기도 하다.

 

쾌락의 본질이요,

고통의 본질이기도 하다.

 

본래 쾌락은

고통의 끝에 온다.

극한의 고통이

끝나고 느끼는

감정이 바로

쾌락이다. ‘이제 살았다’는 안도감이다.

 

고통에 움추렸던

체내의 다른

감성들이 새롭게

움직이는 게

쾌락이다.

 

때문에

쾌에는 ‘병이 낫다’는 뜻도 있다.

쾌유(快癒)가 그 것이다.

 

고통이

쾌락의

본질인 것이다.

 

일체유심조

결국

모든 게

마음에 있는 것이다.

 

종이쪽보다

작은 차이로

고통과

쾌락이

갈리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