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가 예상보다 견고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성장률이 둔화됐지만실업률이 치솟지 않고, 소비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향후 미국과 협상에 중국의 양보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무역마찰이 중국 노동력 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지금까지는 예상보다 적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에 그쳤으며 중국 내 소비는 건실하다고 중국 언론 화샤시보(华夏时报)가 24일 보도했다. 서은아시아경제연구(瑞银亚洲经济研究) 왕타오(汪涛)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0년간 중국 경제와 노동력 시장이 구조적으로 변화해 전체 제조업이나 수출활동이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약화시켜, 수출이 GDP와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하락했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최신 무역 관련 취업 데이터베이스 추계에 따르면, 중국의 수출 관련 전체 취업자 수는 2007년 이후 27%나 줄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잉여 중국 수출품(특히 소비재와 노동집약적 상품)에 대한 미국의 추가 관세가 붙으면서 노동시장의 하향 압력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노동력 시장은 아직 이전의 예상에서 현저한 악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2018년 미중 통상마찰이 격화된 이래 노동력 시장이 얼마나
위안화 국제화가 성큼 다가서고 있다. 중국 정부는 세계 각국 중앙은행과 통화스왑협정을 체결하고 있고, 45개 중앙은행들이 위안화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위안화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중국정부는 2009년 1월부터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하여각국 중앙은행들과 통화스왑협정을 체결하고 위안화의 국제결제통화 추진에 나선 바 있다. 그밖에홍콩 역외시장을 개설하고 투자상품 딤섬본드를 발행하며 채권시장 육성에도 나섰다. 이미 세계 45개 중앙은행이 위안화 보유 자산을 직간접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 중 러시아 중앙은행은 전 세계에서 위안화 자산을 가장 많이 보유한 중앙은행이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2018년 초부터 2019년 1분기 말까지 570억달러의 위안화 자산을 추가로 보유했다. 현재 전 세계 위안화 보유 자산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 밖에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결제은행(BIS) 등 13개 다자금융기관이 모두 중국 채권·외환시장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2019년 1분기 말 현재 국제결제은행이 보유한 위안화 표시 자산은 98억SDR(136억달러)로 전체 자산의 3.4%를 차지한다. 2019년 2분기 말 현재,세계은행 국제개발협회는 26억달러의 위안화 표시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중국 집값이 하락을 시작했다. 경제 성장률이 둔화가집값에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주택 거래량이 하락하면서 단기적으로 집값 상승이 어렵다는 전망이다. 23일 중국사과원 재경전략연구원은 '중국 주택시장 발전 월간 분석 보고서'를 통해 핵심 도시의 집값이 전체적으로 하락하고, 중고 주택 거래량이 계속 하락하면서 일선 도시(一线城市)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베이징 집값도 하락했다고 밝혔다. 중국 언론 펑파이 신문은 '중국 주택시장 발전 월간 분석 보고서'를 통해 2019년 9월 핵심 도시의 집값이 하락하기 시작했다고 23일 보도했다. 중국의 24개 핵심 도시의 집값 종합변동을 보여주는 위방핵심지수(BHPI, 纬房核心指数, 빅 데이터 집값 지수)에 따르면2019년 9월 핵심 도시 집값은 전월 대비 0.12% 하락했다. 핵심 도시의 종합 집값 수준 하락은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이에 앞서 5개월 동안 핵심 도시의 집값 변동은 주로 증가속도의 하락으로 나타났다.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은 2018년 같은 기간 핵심 도시의 집값이 하락세였던 점을 감안하면, 9월 핵심 도시의 집값이 하락한 것은 특별한 주기적 전환점이 아니라고
'반송법' 시위로 촉발된 홍콩민주화 시위가 5개월을 넘어서면서 홍콩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호텔에는 빈 객실이 늘고, 음식점 매출도 급락하며, 관광종사자 가운데 상당수가 구조조정을 당했다. 홍콩정부는여행사에 현금을 지원하는 등관광활성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23일(현지시간) 홍콩의 추텅화(邱腾华) 비즈니스 및 경제발전국장은 여행사를 수혜 대상으로 하는 '여행사 현금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11월 중 내놓기로 관광업계 지원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21세기경제신문은 야간여행객 1인당 120만홍콩달러(1홍콩달러약 0.128달러)를, 출국객 1인당 100홍콩달러씩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여행사마다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관광객 한도는 500명, 최고 6만 홍콩달러까지이며 85만명까지 혜택을 볼 수있다. 추텅화 국장은 “11월부터 시작해 2020년 3월 말까지 최대 1억 홍콩달러를 부담하고, 관광개발국과 관광의업회에 지급할 계획”이라며 “이번 지원으로 관광업계가 단기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추 국장은 “경기 침체 시 관광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이번 지원이 취업을 보증하는 한편 호텔, 항공 및 소매 등 다른 관
올림픽 메탈리스트가 안락사를 선택하면서 중국에서 안락사에논쟁에 불이 붙었다. 일부 네티즌들은안락사 합법을 주장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를 반대했다. 22일(현지시간) 전 패럴림픽 챔피언인 퍼울트가 벨기에의 한 병원에서 안락사했다. 향년 40세. 그는 14세 때 근육퇴화증에 걸려 하반신이 마비됐다. 그 뒤휠체어 선수로 변신한 뒤, 런던 장애인올림픽 100m 휠체어에서 금메달을 땄다.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통증이 심해 자주 의식을 잃고 인터뷰 도중 실신하기도 했다. 2017년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는 "더 이상 고통받고 싶지 않다"고 하였고, 결국에는 안락사를 택했다. 현재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등은 안락사를 허용하는 입법을 마친 상태다. 안락사가 합법화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한때 네티즌들의 열띤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한 네티즌은 “병이 치유되지 않을 때 이렇게 조용히 떠나는 것도 나쁘지 않다”라고 안락사 합법화에 대해 지지하였고,다른 한 네티즌은 “저는 안락사가야기할 문제를 두렵다. 예를 들어 본인이 사전에 원하지 않을 수도 있고, 만약 어떤 사람이 이것으로 범죄를 저지른 경우 등”이라고 반박했다. 웨이보 댓글: 병이 치유되지
한국은행이 2년 만에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췄음에도 국고채 금리는 연일 상승하며 채권값이 하락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기준금리 결정에 앞서과도하게 하락했던 국고채 금리가 적정 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3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388%로 장을 마감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기 전날인 지난 15일(연 1.281%)보다 10.7bp(1bp=0.01%) 오른 값이다. 동기간 10년물(연 1.654%)은 15.5bp 올랐고, 5년물(연 1.493%)은 13.1bp, 1년물(연 1.299%)은 2.7bp 상승했다. 장기채로 분류되는 20년물(연 1.661%)과 30년물(연 1.648%), 50년물(연 1.648%)은 모두 16.8bp씩 올랐다. 앞서 지난 21일 3년물은 연 1.408%로 거래를 마감하면서 지난 7월 16일 이후 4개월여 만에 처음으로 1.4%대 금리를 회복한 바 있다. 지난 16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연 1.25%로 인하 조치를 취한후 국고채 금리는큰 폭으로 상승한 셈이다. 국고채 금리상승원인으로,당분간 금리를
일자리를 잃어 실업급여를 받는 구직자 10명 중 7명은 수급 기간 안에 재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안정적으로 직업을 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김두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실업급여 수급자의 재취업률은 28.9%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7년(29.9%)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치이다. 김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실업급여를 받은 구직자총 130만4천458명 가운데 29만2천246명은실업급여를 받는 기간 내재취업에 성공했다. 나머지는 급여 기간이 끝난 뒤에도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지난해 재취업률은 여성(22.3%)이 남성(35.7%)보다 10%포인트 이상 낮았다. 연령대로 보면 30대(32.4%)와 40대(33.4%)에서상대적으로 재취업률이 높았지만 사회초년생인 30대 미만(23.7%)과 노년층인 60대 이상(19.3%)의 재취업률은현저히 낮았다. 재취업률이 이같이 낮은 원인으로, 최근 고용시장에서권고사직이나 명예퇴직 등이 늘고 있다는 점이지적됐다.실업급여 수혜자의 퇴직 사유를 살펴
올해 우리나라의 3분기(7~9월) 경제성장률이 0.4%로 둔화해 연간 성장률2%에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24일 한국은행은 ‘2019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0.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2.0% 상승한 수치이다. 해당 발표는 속보치로, 추후 잠정치에서 수정될 수 있다. 3분기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 내구재 소비가 늘어난 결과로 0.1% 늘었다. 해외여행(국외소비)과 의류 등 준내구재 소비는 줄었다. 정부소비가1.2% 증가했다.'문재인 케어'로 건강보험급여 지출이 늘어난 점을 원인으로 꼽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한은 관계자는 "고3 무상교육으로 교육비 일부가 GDP 내민간 소비에서정부 소비로 이전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건설투자는 건물·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5.2%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늘어나면서 0.5% 증가했지만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투자는 줄었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4.1% 증가했다. 수입은 0.9% 늘었다. 시장에서는 3분기에0.5∼0.6% 성장할 것으로예측했으나 실제 수치는예상을 밑돌았다. 정부의 재정지출 효과가 반감한 점이 원인
작년 경기 침체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 등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출이 큰 폭으로 줄고폐점률은 상승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화장품 프랜차이즈의 매출 감소와 연쇄 폐점이 가장 두드러졌다. 2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340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가운데 현황 정보를 알 수 있는 182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가맹점 1곳당 평균 매출은 2억8천969만 원이었다. 2년 전인 2016년(3억1천564만 원)과 비교하면 8.2% 감소한 수치다. 폐점률은 상승했다. 지난해 폐점률(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연말 시점 등록 가맹점 숫자+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은 7.9%로, 2016년에 비해 0.5% 올랐다. 한편 작년 연 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 업종은 종합소매점으로 해당 업종의평균 매출은14억1천553만 원에 달했다. 이어 편의점 3억9천410만 원, 패스트푸드 3억7천421만 원, 화장품 3억2천913만 원, 제과제빵 3억2천895만 원, 피자 2억6천848만 원 등의 순으로 높은 매출을 보였다. 반면에 치킨과 커피·음료는 각각 1억9천659만 원, 1억9천572만 원으로 2억 원에 미치지 못했다. 가장 매출
민간 임대사업자가 임대 의무기간을 위반하거나 임대료를 너무 많이 올렸을 때 내야 하는 과태료가 기존 1천만 원에서 3천만 원으로 늘어난다. 23일 국토교통부는 임차인 보호 강화를 위한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개정 시행령이 24일부터 적용된다고 발표했다. 개정된시행령에 따르면 임대사업자는 반드시 해당 주택을 임대에 사용해야 하는 의무기간(단기 4년·장기 8년)을 지켜야 한다. 이를 위반해 임대하지 않거나 아예 주택을 양도한 경우 3천만 원의 과태료가 징수된다. 이는 '법률 위반에 따른 임대사업자의 이익과 비교해 처벌 수준이 낮아 규제의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을 고려한 결과로보인다. 임대료 증액 제한(5% 이내) 등 임대 조건을 위반한 경우의 과태료도 상향 조정됐다. 위반 횟수 등에 따라 최소 500만 원에서 최대 3천만 원까지 차등 부과될 예정이다.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 의무 대상도 늘어났다. 임대보증금 보증은임대사업자의 부도 등으로 임차인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의 보증기관이 임차인에게 임대보증금을 대신 주도록 보증하는 제도이다.지금까지는 새로 지은 주택을 이용한 모든 민간 건설임대주택, 한 단지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