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장품 프랜차이즈, 10곳 중 2곳 문 닫아

프랜차이즈 가맹점 매출 2년만에 8.2% 감소

작년 경기 침체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비용 부담 등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출이 큰 폭으로 줄고 폐점률은 상승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화장품 프랜차이즈의 매출 감소와 연쇄 폐점이 가장 두드러졌다.

 

2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340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가운데 현황 정보를 알 수 있는 182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가맹점 1곳당 평균 매출은 2억8천969만 원이었다. 2년 전인 2016년(3억1천564만 원)과 비교하면 8.2% 감소한 수치다.

 

폐점률은 상승했다. 지난해 폐점률(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연말 시점 등록 가맹점 숫자+한해 폐점 가맹점 숫자)은 7.9%로, 2016년에 비해 0.5% 올랐다.

 

한편 작년 연 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 업종은 종합소매점으로 해당 업종의 평균 매출은 14억1천553만 원에 달했다. 이어 편의점 3억9천410만 원, 패스트푸드 3억7천421만 원, 화장품 3억2천913만 원, 제과제빵 3억2천895만 원, 피자 2억6천848만 원 등의 순으로 높은 매출을 보였다.

 

반면에 치킨과 커피·음료는 각각 1억9천659만 원, 1억9천572만 원으로 2억 원에 미치지 못했다.

 

가장 매출 감소폭이 큰 업종은 화장품 프랜차이즈로 집계됐다.

 

화장품 프랜차이즈 업종의 평균 매출은 2016년에 4억8천413만 원에 달했으나 2년 만에 32.0%나 줄었다. 제과제빵(-19.0%)과 편의점(-11.4%)도 두 자릿수 매출 감소율을 보였다. 

 

가맹점 폐점률이 가장 높은 업종 역시 화장품 프랜차이즈로, 해당 업종의 폐점률은 지난해 21.7%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 6.6%에서 무려 3배 이상 높아진 수치로 10곳 가운데 2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이어 커피·음료 업종의 폐점률이 9.6%, 외식 모음(9.4%), 치킨(8.0%), 피자(5.5%), 편의점(5.2%), 제과제빵(5.0%) 등이 5% 이상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해 가맹점 신규 개점률은 10.6%로, 2016년(15.2%)보다 4.6%포인트나 하락했다.

 

가맹점 연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프랜차이즈는 GS더프레시로 26억3천154만 원을 기록했으며, 올리브영(13억8천830만 원)과 한신포차가(10억56만 원) 뒤를 이었다.

 

폐점률이 가장 높은 가맹점 브랜드는 스킨푸드로 무려 56.2%였고 더페이스샵(43.5%), 그램그램(42.1%), 로그인편의점(34.4%), 카페베네(34.4%) 등으로 조사됐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