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고채금리 연일 상승…3년물 1.388%

증권가, '과도한 하락분 되돌리는 과정'이라 분석

한국은행이 2년 만에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췄음에도 국고채 금리는 연일 상승하며 채권값이 하락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기준금리 결정에 앞서 과도하게 하락했던 국고채 금리가 적정 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3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388%로 장을 마감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기 전날인 지난 15일(연 1.281%)보다 10.7bp(1bp=0.01%) 오른 값이다.

 

동기간 10년물(연 1.654%)은 15.5bp 올랐고, 5년물(연 1.493%)은 13.1bp, 1년물(연 1.299%)은 2.7bp 상승했다. 장기채로 분류되는 20년물(연 1.661%)과 30년물(연 1.648%), 50년물(연 1.648%)은 모두 16.8bp씩 올랐다.

 

앞서 지난 21일 3년물은 연 1.408%로 거래를 마감하면서 지난 7월 16일 이후 4개월여 만에 처음으로 1.4%대 금리를 회복한 바 있다.

 

지난 16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연 1.25%로 인하 조치를 취한 후 국고채 금리는 큰 폭으로 상승한 셈이다.

 

국고채 금리 상승 원인으로, 당분간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가능성이 낮은 점이 꼽혔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금리는 지금도 낮은데 제로(0) 금리까지 가기에는 아직도 여러 가지 조심스러운 문제들이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금리 추가 인하 조짐이 보이지 않는 것은 과도한 하락분을 회복시키는 과정이지, 국고채 금리가 '바닥'을 확인하고 상승 추세로 돌아섰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하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와 제조업 지표, 선행지수, 물가로 적정 가치(fair value)를 추정한 결과 현재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연 1.62%가 적정하다"며 "추가로 더 오르기 쉽지 않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국고채 금리는 10월 금통위 전부터 2차례의 기준금리 인하를 선반영한 수준까지 내려와 있었다"며 "최근 국고채 금리가 올랐지만 현재 기준금리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또한 "현재 채권 시장은 금리 인하 요인인 경기 둔화 전망과 금리 인상 요인인 정부의 정책 대응 가운데 어느 쪽으로 무게의 추가 기울지 점검하는 관망세로 봐야 한다"며 "추가적인 국고채 금리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