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执古之道,以御今之有。能知古始,是知谓道纪。” zhí gǔ zhī dào ,yǐ yù jīn zhī yǒu 。néng zhī gǔ shǐ ,shì zhī wèi dào jì 老子,第十四章 “옛 도를 깨우쳐 지금의 존재하는 사물을 다스리라. 그 오래전 첫 시작이 어떠했는지 아는 것을 소위 도의 기율이라 하는것을 하는 것이다." 노자의 말이다. 어렵다면 어렵고, 쉽다면 쉽다. "현재 존재하는 것은 그 존재 이상의 그 무엇도 아니다"는 게 바로 노자 사상의 정수다. 그 존재하는 것은 본래 있던 규칙 그대로를 따른다. 이 태양계가 생긴 이래 태양계는 태양의 법칙을 따라온 것이 그 것이다. 옛 도, 노자는 그 것을 옛 도라 했다. 그 옛도를 깨우쳐 현실의 존재하는 것을 운용하는 것이다. 참 묘하다. 소유가 아니라, 운영하는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하듯 마음대로 하돼, 그 권한이 유한함을 노자는 정확히 짚었다. 그래서 옛 도를 깨우쳤다는 것은 그 오래 전 사물이 어떻게 시작했는지를 아는 것이다. 도의 기율이라는 게 바로 그 것이다. 참 단순하고 깊다. 노자의 한 마디를 이렇게 길게 설명했다. 간단히 한 마디면 되는 것을 … "오랜 도로 현재 존재를 운영하라!" 세상은 잠시
“天地所以能长且久者,以其不自生,故能长生” “tiān dì suǒ yǐ néng zhǎng qiě jiǔ zhě ,yǐ qí bú zì shēng ,gù néng zhǎng shēng ” 老子 “하늘과 땅이 오래된 것은 남을 위해 살기 때문이다. 고로 오래 사는 것이다.” 하늘은 구름을 품지만 다시 땅으로 내려 보내고 땅은 물을 품지만 다시 하늘로 올려 보낸다. 하늘과 땅은 이렇게 호응해 이로움이 천하에 고르게 돌도록 한다. 땅의 생물들은 그래서 한 생을 살수 있는 것이다. 모두에게 필요하게 되면 자연히 오래가는 법이다.
“有无相生,难易相成, 长短相形,高下相盈。音声相和,前后相随,恒业” “yǒu wú xiàng shēng ,nán yì xiàng chéng , zhǎng duǎn xiàng xíng ,gāo xià xiàng yíng 。yīn shēng xiàng hé ,qián hòu xiàng suí ,héng yè ” 老子 “생명은 유와 무로 이뤄져 있고, 모든 일은 어려움과 쉬움으로 짜여 있다. 짧고 긴 게 같이 있어 모양을 만들고 높고 낮음이 서로를 하나로 채운다. 음과 성이 같이 있어 노래가 되고, 앞뒤가 서로 잇따라 영원한 것이다.” 노자 사상의 정수다. 모순은 세상을 만들고 영원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모순은 안고 살아야 하는 것이지, 배척하는 것이 아니다. 유가 유임을 내세워 무를 배척하고, 높음이 높다고는 것을 내세워 낮음을 배척하면 세상의 조화는 깨지고 영원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세상에 스스로를 정의라 하는 세력이 나오면 항상 세상이 어지러운 이유를 노자는 잘 보여준다.
“身无以用人,而又不为人用者卑” “shēn wú yǐ yòng rén ,ér yòu bú wéi rén yòng zhě bēi ” 晏子 “자신을 위해 사람을 쓰지 않고, 남을 위해 쓰이지도 않는 이는 비천하다.” 사람은 혼자서는 어떤 일을 하기 힘들다. 개인들에게 공평이 주어진 시간이 딱 24시간이다. 그러나 사람은 다른 사람의 시간을 얻는 방법으로 개인 혼자서는 해내지 못할 일을 해낸다. 나라의 위기가 그렇다. 국민이 한마음으로 힘을 모으면 어떤 위기도 극복하지만 반대의 경우 아무리 작은 위기도 나라를 위태하게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그 게 바로 남을 쓰지도, 남을 위해 쓰이지도 않는 이를 비천하다 했다 싶다
“君正臣从谓之顺,君僻臣从谓之逆” “jun1 zhèng chén cóng wèi zhī shùn ,jun1 pì chén cóng wèi zhī nì ” 晏子春秋 内篇谏下 “임금이 바른데 신하가 따르는 것을 순종이라 하고 임금이 틀렸는데 따르는 것을 역종이라고 한다.” 안자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제(齊) 나라의 정치가로 이름[諱]는 영(嬰), 자(字)는 중(仲)이다. 관중과 함께 양대 재상으로 꼽힌다. 글은 그가 남긴 임금을 섬기는 방법이다. 임금이 옳으면 따르지만 그릇되면 따르는 게 오히려 역적이라고 말했다. 참으로 무서운 말이다. 그 옛날 하늘 아래 두려울 것이 없는 임금도 그리 섬겼는데, 투표로 대통령을 뽑는 요즘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다. 민심을 어겨 쫓겨난 전직 대통령의 사례가 있다.
아무리 친한 친구나 관계이더라도 돈 관련 거래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진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중국인과 사업을 같이 하다가 실패했다. 사기 당했다. 셀 수 없을 만큼 자주 듣는 이야기다. 그런데 실패 현상에 대한 사례는 무수한데 그 원인과 대처방법은 별로 거론되지 않는다. 특히 회사 안에서 개인이익을 우선시하는 사조직이 은밀하게 조종하는 경우가 있다. 직접 경험한 사례다. 널리 알려진 중국 대기업 과장출신 현지인을 부장 급으로 영입하여 보상부문 책임자로 보임했다. 그런데 거래하고 있는 여러 정비업체 중에서 유독 한 곳이 단가가 심하게 높았다. 그대로 넘어 갈 수 없어 조사에 들어갔다. 담당 실무직원은 아무리 설득해도 문제가 없다고 버틴다. 결국 외부 도움을 받아, 보상 책임자와 문제 정비업체가 오래전부터 긴밀한 관계였고, 부정한 방법으로 회사 돈을 횡령한 사실을 밝혀냈다. 담당 직원도 보상 책임자와 한 통속이었음은 물론이다. 더 황당한 일은 그 다음이다. 내부감사인이 보상 책임자 부정행위 조사 문답서를 작성한 후, 조서 날인을 거부하는 것이다. 보상 책임자가 그 정도 수준의 부정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것이고, 개인적으로 친분이 두텁다는 이유다. 조직이
“海不辞水,故能成其大; 山不辞土石,故能成其高” “hǎi bú cí shuǐ ,gù néng chéng qí dà ; shān bú cí tǔ shí ,gù néng chéng qí gāo ” 管子 形式解 “바다는 온갖 물을 마다하지 않아 넓게 됐고, 산은 온갖 흙과 돌을 마다하지 않아 높게 됐다” 바다가 물을 가렸다면 정말 바다가 됐을까? 산이 흙과 돌을 가렸다면 정말 산이 될 수 있었을까? 사람만이 물을 가려 맑다 하고, 흐리다 한다. 산의 토양을 가려 기름지다 하고, 척박하다 한다. 바다는 구분하되 가리지 않는다. 맑은 물을 맑은 물 그대로 흐린 물은 흐린 물 그대로를 받아들인다. 흐린 물을 맑게 하려하지 않고 맑은 물을 흐리게 하지도 않는다. 산도 마찬가지다. 기름지건 척박하건 받아들인다. 그래 그 속에 나무들이 알아서 자라도록 한다. 기름진 곳은 기름진 그대로 척박한 곳은 척박한 그래도 산 속 식물들이 자라고 스스로 커간다. 그래 그렇게 받아들일 수 있어 넓고 높게 되는 것이다. 최근 우리 여론이 완전히 극과 극으로 나뉘었다. 서로를 배척하고 있다. 넓고 높은 나라가 되는 데 치명적인 행동들인 데 참 아쉽기만 하다.
“用赏者贵诚,用刑者贵必” “yòng shǎng zhě guì chéng ,yòng xíng zhě guì bì ” 管子 九守 “상을 주는 이는 성을 귀하게 여겨야 하고, 벌을 주는 자는 필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 상과 벌은 모두가 조직의 규율을 세우고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지만 그 둘을 제대로 운영하기란 쉽지 않다. 관자는 아주 간단한 법칙을 알려준다. 쉽게 풀어보면, “상은 믿음이 중요하고, 벌은 ‘반드시’라는 규칙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성은 말이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말을 지키는 것, 약속을 지키는 것이다. 신의요, 명예다. 반면 벌은 특정사항을 어기면 반드시 정해진 규칙대로 정해진 벌을 받도록 하라는 것이다. 쉬운 것 같지만, 사회 각종 규범과 이를 지원하는 각종 기술이 발달한 요즘 사회에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말이 많다. 최근 법원의 영장 발부가 관자가 이야기하는 ‘필’이 없어, “도대체 언제 발부하고 언제 발부하지 않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의문이 많이 제기돼 쌓이면 그게 불신이다. 사법부 불신을 별개 아니다. 벌이 법이 정한 그대로 집행이 안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들 중에 하나는 빠른 성과를 재촉하는 한국 본사의 요구와 현장에서 벌어지는 실제 상황과의 괴리를 좁히는 일이다. 중국인들은 우리보다 의리를 훨씬 중요하게 생각한다. 의리는 쌍방의 주고받음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인들은 주고받음에 매우 능숙하다. 또한 단기적이지 않다. 긴 호흡으로 길게 바라본다. 결과물에 집착하는 한국 기업들의 사고방식이 달갑게 여겨질리 없다. 특히 중요한 업무의 부탁전후가 다른 행태는 심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한국 금융기관들이 앞 다투어 중국진출을 준비할 무렵, 설립 허가권을 쥐고 있는 감독당국의 담당 과장을 접촉하기 위해 모든 회사들이 심혈을 기울였다. 더욱이 담당 과장은 해외 유학파로 실력뿐 아니라, 상당한 집안 배경을 갖고 있다는 소문이 도는 인물이었다. 면담 신청을 수차례 해도 거절하기 일쑤였고, 본사 대표이사급이 방문해도 시큰둥한 반응으로 일관했다. 서울에서 열린 국제세미나에 참석차 방한한 담당 과장을 영접하려는 금융기관들 간의 경쟁은 가관이었다. 얼마 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다. 담당 과장이 좌천된 것이다. 지방에 위치한 국영 금융회사로 밀려난 것이다. 대부분 회사들이
“寡交而多亲,谓之知人” “guǎ jiāo ér duō qīn ,wèi zhī zhī rén ” 管子 戒策 “두루 사귀지 않아도 친구가 많으면, 그 것을 사람을 안다 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두루 사귀지 않고 두루 친구가 많을 수 있을까? 고민해보면 한가지 방법이 있다. 오래 사귄 친구 하나가 나를 증명해주는 것이다. 그럼 다른 친구들은 깊게 사귀지 않아도 그 친구를 통해 나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다. 관자의 ‘사람을 안다’는 것 역시 마찬가지 아닐까? 개개인이 다른 수많은 사람을 다 아는 게 아니라 나에 비춰 친구가 될 이를 빠르게 판단한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래야 “두루 사귀지 않아도 두루 친구”가 많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