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은 한 국가의 인재 양성의 수준을 보여준다. 아무리 유능한 학생이라고 해도 어떤 교육을 받았느냐에 따라 훌륭한 인재가 되기도 하고, 반대의 경우가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유능한 학생일수록 교육은 중요한데, 유능한 학생이 올바른 가치를 교육 받지 못하면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되기는커녕, 사회에 해악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대학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이다.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최고 점수를 얻으며 1위에 등극했다. 2위는 캠브리지 대학, 3위는 옥스퍼드 대학이었다. 하버드대학이 그 뒤를 이은 4위에 랭크됐다. QS 세계대학평가는 2004년부터 시행됐으며, 학계와 고용계 평판, 교원당 논문 피인용 수, 교원 대비 학생 비율, 외국인 교원 비율, 국제 연구 네트워크, 취업 성과 등 다양한 지표를 토대로 세계 주요 대학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평가한다. 올 평가에서 상위 20위 내에는 미국과 영국의 전통대학들이 석권했다.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베이징 대학이 포함됐다. 중국의 베이징대학은 글로벌 순위 17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서울대학은 100위 권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대학이 미래 지향적인 인재를 양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2023년 중국 디지털 정부 포럼'이 최근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됐다. 디지털 정부는 미래 디지털 사회 진입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다. 정부의 기본적 기능이 디지털 사회에서도 더욱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한국 정부는 '전자 정부'라는 명칭으로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화에 앞장서 왔다. 한국 정부의 이 같은 다양한 공공 서비스 모형들은 이미 다른 나라에 수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정부는 이 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빅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하는 정부 서비스 모형을 의미한다. 빅데이터 분석과 AI의 기계학습을 통한 정확하고 세밀한 판단으로 다양한 사회 변화 예측과 대응책을 설정하도록 해 사회 변화에 맞춘 공공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번 포럼도 마찬가지로 '디지털 중국 건설 전략'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디지털 정부 건설 강화 및 디지털 거버넌스 생태 육성'을 주제로 학계, 정치계 및 산업 분야의 전문가이 모여 포괄적인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칭화대학교 데이터 거버넌스 연구센터의 '2022년 중국 디지털 정부 발전 지수 보고서'가 발표했다. 보고서는 31개 성급 정부를 발
중국 청년 실업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안 그래도 구하기 어려운 게 일자리인데, 만족스런 일자리를 찾기란 더욱 어렵기만 하다. 그래도 일이라는 게 인생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다 보니, 첫 일자리를 고르는 데 신중할 수밖에 없다. 중국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는 어떤 것들일까? 올해 중국 대학생의 취업 만족도 순위가 발표됐다. 최근 발표된 2023년 취업 블루북에 다르면 지난해 중국 4년제 대학교 졸업자 기준 취업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학과는 의학영상학(84%)로 나타났다. 이어 네트워크공학(83%), 아나운서/MC(82%), 전자정보학(82%), 마이크로전자과학및공정(82%) 순이었다. IT(정보통신) 분야와 의료, 바이오 분야에 대한 전문직이 인기임을 알 수 있다. 대중 앞에서 서는 아나운서직이 인기인 것도 눈에 띈다. 소셜미디어 시대의 대중적 인기도 끌고, 부까지 보장 받으려는 심리로 풀이된다. 또 지난해 중국 전문대 졸업자 기준 취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전공은 철도기관사(87%)였고 이어 철도전기기술(83%), 자동차정비기술(82%)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대학교 졸업생이 동부 지역에 취업했을 때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물류는 현대 무역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다. 생산을 아무리 잘해도 물류 시스템 수준이 떨어지면 부가되는 비용이 대폭 늘어 상품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예컨대 중국이 일대일로의 철로를 개척하지 않았다면, 독일의 자동차가 아무리 좋아도 중국에서 독일 직수입차를 사려면 한 달 이상을 기다려야 했다. 중국의 일대일로 개척으로 이제 빠르면 일주일, 보름이면 독일 직수입 자동차를 살 수 있다. 운송 비용도 절반 가량으로 떨어졌다. 물류는 이렇게 한 국가 상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다. 올해 세계 1위 물류 시스템을 갖춘 나라는 싱가포르로 나타났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세계은행의 2023년도 물류성과지수(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싱가포르가 글로벌 물류경쟁력 1위에 올랐다. 중국은 19위였고, 한국은 그보다 조금 앞선 17위였다. 물류성과지수(LPI)는 각국의 물류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로 세계은행이 전 세계 160여개 국의 통관, 물류인프라, 운임 산정 용이성, 물류서비스, 화물추적, 정시성 등 6개 항목을 2년마다 발표한다. 코로나 시기 동안에는 조사가 이뤄지지 못했으며 2018년
'위챗 영향력' 중국에서 한 기업의 발전 가능성을 체크하는 수단이다. 간단히 중국 최대 SNS 플랫폼인 '위챗'에서 기업의 활동 능력을 보는 것이다. 얼마나 많은 이들이 이 기업의 활동을 지켜보며, 해당 기업의 마케팅이나 프로모션 등에 참여하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이 활동의 영향력이 크면 클수록 기업이 신제품을 내놓으면 잘 팔릴 가능성이 높다. 기업의 활동이라는 게 신제품을 출시하고 마케팅을 하는 것인데, 제품이 나오기 전부터 기대하는 이들이 많다면 자연히 제품의 판매고 역시 올라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럼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위챗 영향력이 가장 큰 기업은 어디일까? 칭다오신문망(青岛新闻网)과 신방(新榜)이 공동으로 매달 발표하는 '칭다오 상장기업 위챗 영향력 순위'가 최근 발표했다. 지난 4월 기준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하이얼그룹(海尔集团) 2위 칭다오항(青岛港) 3위 리췬그룹(利群集团) 4위 칭다오맥주(青岛啤酒) 5위 더차이구펀(德才股份) 6위 사이룬그룹(赛轮集团) 7위 가츠어구펀(高测股份) 8위 터웨이러(特锐德) 9위 하이신스샹(海信视像) 10위 하이얼셩우이랴오(海尔生物医疗) 백색 가전 제품으로 잘 알려진 하이얼그룹이 강력한 브랜
올해 중국의 양성평등지수가 세계 107위를 기록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최근 발표한 '2023년 글로벌 젠더 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105위), 중국, 일본(125위)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양성평등지수는 조사 대상 147개국 가운데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1위는 아이슬란드로 젠더 격차 점수가 0.912(1에 가까울수록 평등)를 기록했다. 이어 노르웨이, 핀란드, 뉴질랜드, 스웨덴, 독일, 니카라과, 나미비아, 리투아니아, 벨기에가 10위 안에 포함됐다. 올해 WEF 글로벌 젠더 격차 보고서는 '경제활동 참여 및 기회', '교육적 성취', '건강 및 보건', '정치적 권한 부여' 등 네 가지 영역에서 성별 격차를 조사해 순위를 매겼다. WEF의 양성평등지수는 동양 전통 사상을 가진 한국, 일본, 중국 등에게 크게 불리한 평가 방식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남성의 사회적 역할을 여성도 하도록 평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우선, 성별 격차라는 용어에 포인트가 있다. 격차 측정에만 초점이 있다는 의미다. 물론 평등 여부를 따지는 지수여서 당연한 것일 수는 있다. 하지만 주요 포인트가 유교적 전통의 아시아에는 남성을 역할이 강조되는 부분들이라는 점이다. 예
'18억7355만 위안' 한화로 약 3370억 원이다. 중국 유명 플랫품에서 1위로 팔린 한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액이다. 일년, 한달도 아니고 지난 6.18 쇼핑 축제 기간에만 팔린 금액이다. 중국 화장품 시장의 규모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중국 화장품 시장은 이게 다가 아니다. 이미 중학교 여학생까지 화장을 하는 한국, 일본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중국은 이제 막 성숙하기 시작한 단계다. 중국 대도시 여성 직장인들이 이제야 거의 모두가 화장을 하는 상황이다. 아직 베이징의 여대생 절반이 화장을 하지 않고 있다. 수억 명에 달하는 여대생, 여고생, 여중생들이 모두 화장을 하게 되면 중국 화장품 시장은 지금 규모에서 최소 5배 이상 커지게 될 것이라는 게 많은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중국 시장, 절대 놓치거나 포기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 그룹은 C2C(개인 간 거래)에 초점을 맞춘 플랫폼 '타오바오(淘寶, Taobao)'와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에 주력하는 온라인 플랫폼 '티몰(天猫, Tmall)'을 운영한다. 21일 티몰이 올해 6.18 쇼핑 축제 기간에 판매된 화장품 매출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브랜드
동양의학에서 침이나 뜸은 체내의 혈을 자극해 신체 스스로가 병을 치료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외부 약물을 복용, 주사하거는 것과 비교해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게 최대 장점이다. 다만 직접적인 약물을 투입해 즉각적인 효과를 얻는 서양 의학보다 아무래도 증세 치료가 늦을 수밖에 없다는 게 단점이다. 또 치료가 늦어지는 사이 병을 키울 수도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과거 서양 의학에서는 이 방법을 경시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동양의학의 근복적 사상에 공감하고 서양 의학과 접목해 새롭게 발전시키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동양의학을 서양 의학의 과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해 새로운 발전을 꾀하고 있다. 침과 뜸의 방법 역시 전기, 전자 기술을 활용해 새롭게 발전하고 있다. 침, 뜸의 치료 효과를 현대적으로 구현한 전기치료기가 대표적이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자극(고주파, 저주파, 중주파, 단파 등)에 인체의 근육과 장기 등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특성을 이용해 질환을 개선시키고 몸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게끔 돕는다. 최근 중국 포털 사이트 소후닷컴에 '2022년 중국 전기치료기 인기 순위 Top 10 브랜드'가 공개됐다. 1위 XIANGYU MEDICAL
'신에너지 산업' 중국에서는 기존 내연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분야를 신에너지 산업이라고 한다. 자동차 배터리, ESS(Energy Storage System), 원자력·태양광·풍력·조력 발전 등이 여기에 속한다. 간단히 자연친화적인 에너지 생산 관련한 모든 산업을 일컫는다. 세계에서 석유, 석탄 소비가 가장 많은 중국이 지속가능한 미래 발전을 위해 가장 힘쓰는 분야가 바로 이 신에너지 산업이다. 물론 신에너지 산업에 관심을 쏟는 건 중국만이 아니다. 세계 주요 국가 모두가 화석연료를 넘어서는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하지만 중국처럼 정부 차원에서 국가의 모든 역량을 쏟아붓는 곳은 없다. 19일 중국판 포브스로 불리는 후룬연구원(胡润研究院)이 '2023년 중국 도시별 신에너지 산업 집적도'를 발표했다. 후룬연구원은 신에너지 산업 집적도가 도시의 혁신 역량과 산업환경의 질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발전 가능성과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신에너지 산업에서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도시는 향후 중국의 부(富) 지도에서 더 나은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중국 신에너지 산업 집적
14억 인구의 중국은 순위의 나라다. 인구가 많다 보니, 다양한 접근 방식의 통계를 내고 순위를 매겨 평가하고 있다. 중국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이 시각에선 때론 계량화에 매몰된 단순 비교가 되기도 하지만, 워낙 인구가 많은 상태에서 보다 더 나은 조건의 대상을 고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생각도 든다는 게 공통된 입장이다. 중국 대학 평가도 비슷하다. 다양한 기준에서 우수 대학을 선정하기도 하지만, 현재 얼마나 많은 재학생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중요한 평가 잣대가 된다. 재학생들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훗날 사회 곳곳에 진출한 동문들이 많다는 것이고, 사회 진출한 동문들이 많다는 것은 '꽌시(關係)'가 중요한 중국에선 뭘 해도 득이 된다. 중국에서 교육의 질 평가 방식에서는 당연히 베이징대, 칭화대, 저장대 등이 순위에 꼽힌다. 그럼 재학생이 많은 대학은 어떤 대학들이 있을까? 지린대학과 정저우대학이 꼽혔다. 둘 모두 재학생 수만 7만 명을 훌쩍 넘기고 있다. 지린성 창춘시에 위치한 지린대학은 국가 교육부 직속의 국립대학이다. 법대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배출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중국 교육부가 2023년 기준 대학별 재학생 통계 자료를 최근 발표했다.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