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 발표, 중국 대학 중 1위는 베이징대

 

대학교육은 한 국가의 인재 양성의 수준을 보여준다. 아무리 유능한 학생이라고 해도 어떤 교육을 받았느냐에 따라 훌륭한 인재가 되기도 하고, 반대의 경우가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유능한 학생일수록 교육은 중요한데, 유능한 학생이 올바른 가치를 교육 받지 못하면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되기는커녕, 사회에 해악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대학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이다.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최고 점수를 얻으며 1위에 등극했다. 2위는 캠브리지 대학, 3위는 옥스퍼드 대학이었다. 하버드대학이 그 뒤를 이은 4위에 랭크됐다. 

QS 세계대학평가는 2004년부터 시행됐으며, 학계와 고용계 평판, 교원당 논문 피인용 수, 교원 대비 학생 비율, 외국인 교원 비율, 국제 연구 네트워크, 취업 성과 등 다양한 지표를 토대로 세계 주요 대학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평가한다.

올 평가에서 상위 20위 내에는 미국과 영국의 전통대학들이 석권했다.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베이징 대학이 포함됐다. 

중국의 베이징대학은 글로벌 순위 17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서울대학은 100위 권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대학이 미래 지향적인 인재를 양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미 확정된 것을 다른 학생보다 빠르게 많이 외우는 것을 학문이라고 보기 힘들다.

예컨대 법학은 사회적 합의, 그게 정당한 절차로 만들어졌는지 갈수록 의심스러워지는 합의 과정을 통해 확정된 것을 문구로 작성해 놓고 그 문구의 적용만 고민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의술이 기존의 수술을 빨리, 정확히 하는 데만 그친다면 그저 의료 기능인이지 의학도라고 보기 힘들다. 한국 대학 수준에 대한 아쉬움이 큰 이유다.

이번 올해 평가에는 전 세계 2963개 대학이 참여했으며, 이 중 1499개 대학의 순위가 매겨졌다. 300위 안에 포함된 중국 대학 순위는 다음과 같다.

 

17위, 베이징대학교

25위, 칭화대학교

44위, 저장대학교

50위, 푸단대학교

51위, 상하이교통대학교

138위, 중궈커쉐커지대학교

141위, 난징대학교

194위, 우한대학교

216위, 통지대학교

257위, 하얼빈공예대학교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중국 대륙 대학교는 베이징대가 1위, 칭화대가 2위, 저장대가 3위를 차지했다. 푸단대, 상하이교통대, 중궈커쉐커지대가 그 뒤를 이었다.

홍콩, 마카오, 대만의 대학교 중 순위에 오른 대학교는 홍콩대, 홍콩중원대, 홍콩커지대, 홍콩청스대, 홍콩진훼이대 및 링난대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