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바늘로 혀를 찌르는 말(言)과 믿음(信)



혀를 바늘로 찌른 것,

그게 말이다.

그런 말을 사람이 하는 게

믿음이다.

 

생각은 내 것이지만

말은 내 것이 아니다.

 

어떤 생각도 말이 돼

입 밖에 나아가지 않는 한

언제든 변할 수 있다.

 

입 밖에 나온 말이

바뀌면

믿음이 있을 수 없다.

 

그런 말은

사람의 말이 아니다.

의미 없는

짐승의 소리다.

 

갑골자 언(言)은

입 위에 바늘이

있는 모습이다.

 

 

입을 바늘로 찔러

메모판 위에

고정해 놓은 듯 싶다.

 

마치

어느 카페에서 만나기로 한

연인의 약속, 그 약속들이

가득히 적힌 메모 조각을

핀으로 꽂아 놓은 메모판

 

그런 메모판처럼

입이 내뱉은 말을

핀으로 ‘콕’ 고정한

 

모습이 바로

바로 말씀 언(言)이다.

 

중국에서는 언(言)이

입에서

혀가 위로 치솟아

음을 내는 것이라 풀이도 한다.

 

 

하지만 혀 설(舌)이 이미 있어

그 설명은 좀 구차해 보인다.

 

설은 입의 바닥을 찾는 모습이다.

 

말씀 언(言)과 같이 쓰였던

음(音)의 모습을 보변

더 명확히 알 수 있다.

 

음(音)은

입 구(口) 속의 점,

혀를 바늘로

찔러 고정시켰다.

 

한 말을 적은 메모지를

벽에 핀으로 고정한 게,

 

말하는 혀를 고정시켜

바꾸지 못하게 한 게

언(言)이요, 음(音)이다.

 

그런 말을 사람이

하는 게 믿음 신(信)이다.

 

동물의 소리가

아닌,

사람의 말을

하는 게

바로 믿음 신(信)이다.

 

소리 값을 정해서

같은 소리 값인 음(音)을 낼 수 있는

유일한 존재가

바로 사람이다.

 

사람만이 고정된 음 값으로

이뤄진 음률을 만들어

노래를 부를 수 있다.

 

동물은 울뿐이다.

소리 내 울뿐이다.

같은 값의

음을 이뤄

노래 부르지 못한다.

 

음이 아닌 소리

성(聲)이라 한다.

 

사람이 이 땅에

음(音)과 성(聲)을

모두 가진

유일한 존재다.

 

사람만이

노래도 하고

울기도 한다.

 

사람만이

말을 한다.

 

그냥 소리가 아닌

혀에 바늘을 꽂은

의미 있는 음을 낸다.

말씀 언(言)을 한다.

 

소리 값이 달라지면

의미 역시 달라진다.

 

‘아’와 ‘어’가

다르다는 건

그냥 한 말이 아니다.

아는 아요,

어는 어다.

 

약속은 말 그대로

지켜야만 하는 것이다.

 

사람이 그런 말을 할 때

동물의 소리가 아닌

사람의 말을 할 때

비로소 사회에

믿음이 생긴다.

 

사람이 동물의 소릴 하면

사회엔 의혹만 싹튼다.

 

말이 적을수록

약속이 적을수록

지키기 쉽고

신뢰가 가는 것이다.

 

말을 안으로 삼키는 것

바로 눌(訥)이다.

 

말을 조금하고 한 말은 꼭 지키는 게

‘訥言敏行’(눌언민행)

‘말은 느리게 행동은 빠르게’

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