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참 되라는 진(眞)

죽음을 앞둔 듯 결정하라!

 

 

 

 

“山氣日夕佳 飛鳥相與還 此中有眞意 欲辯已忘言”

(산기일석가 비조상여환 차중유진의 욕변이망언”

 

“산 노을 지면, 둥지로 돌아가는 저 새들

그게 참 뜻이거늘 ….

순간 말을 잊노라” (도연명)

 

삶과 죽음, 그리고 진실

이 세 단어는 사실 하나다. 보이는 면이 다를 뿐이다.

 

진실은

생과 사를 관통하는 시작점과 마침표다.

 

생은 다만 죽음에서 나와

삶의 시작이요

 

사는 다만 인생에서 나와

삶의 끝일 뿐이다.

 

태어나 아무 것도 몰라

진실하고

죽어 더 이상 거짓을 할 수 없어

진실하다.

 

이 두 진실의 순간, 생(生)과 사(死)를 이어주는 게

바로 삶이다.

삶에서 인간은 진실을 추구할 뿐

진실할 수는 없다.

 

유일한 진실한 순간은

바로 생사의 순간이다.

나고 죽는 그 순간 인간은 순수하게 된다.

 

삶이 그대를 속이는 탓이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삶은 진실을 배반하게 만든다.

인간은 그저 삶 속에서

진실하려 노력할 뿐이다.

 

마치 하늘의 도리가 ‘항’(恒:항상 그런 것)이요,

땅 위 인간의 도리가 ‘항지(恒之:항상 그럴려고 그런 것)이듯

인간의 삶 속에서

진실되려 노력하는 것이다.

 

그게 삶의 도리다. 태어남의 진실의 순간에서

인생의 또 다른 진실의 순간

삶의 마지막 죽음의 순간으로 ‘가는’(之) 것이다.

 

신묘함이 담긴 도리다.

진(眞)을 ‘참되다’는 뜻으로

처음 쓴 도가(道家)의 도리다.

 

진인(眞人)이라는 말에서

처음 ‘참되다’는 의미가 쓰인다.

진인은 ‘참된 사람’이라는 뜻이다.

 

심오한 뜻의 진(眞)은 갑골문에는 없다. 금문에서 등장한다.

아마도 장자 이래 처음 중시된 글자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금문에서 진(眞)은 죽음이란 뜻이다.

화(化의 오른편 자)와 교(교;진 자의 아랫부분)의 회의자다. 설문해자는 그래서 "변(變)이다. 쓰러진 사람이란 뜻을 따른다"라고 풀이한다.

‘쓰러져 변화한 사람’, 즉 죽은 사람이다.

 

현대에서는 하부의 교자를 머리 수(首)를 거꾸로 한 것으로 본다.

시체의 머리를 거꾸로 한 채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의미라는 것이다.

 

음산한 영화의 한 장면처럼

성곽 앞에 효수돼 매달린 머리들이 바로 ‘진’(眞)이다.

 

한자 진은 이런 모습을 담은 글자다.

한자 진은 시체다.

마지막 진실의 순간, ‘사’(死)를 형상화한 것이다.

 

누구나 죽음을 앞두고

좀 더 진실에 다가가게 된다.

‘진지’(眞之)하는 것이다.

 

"모든 결정을 죽음을 앞두고 했다"는 스티브 잡스의 회고처럼,

이 도리를 깨우친 많은 이들이

항상 죽음을 앞에 두고 명상을, 결정을 했다.

내일 죽을 듯, 오늘을 산 것이다.

 

참 진(眞)은 글자 뜻이 참되다는 게 아니다.

죽음이라는 뜻으로

그 글자를 보는 이들이

참되어지라는 글자다.

참 진이 아니라 ‘참되어지라’는 진이다.

 

“无以人滅天, 无以故滅命, 无以得殉名, 謹守爾勿失, 是謂反其眞”

(무이인멸천, 무이고멸명, 무이득순명, 근수이물실, 시위반기진)

 

“천리를 따르고, 명을 어기지 아니하며, 허명을 쫓지 말라, 이를 지켜 단속하고 잃지 않으면, 이를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라 하느니라”

 

장자가 진이라는 글자를 참되다고 처음 쓴 문장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