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지(知), 안다는 것에 대하여 

 

안다는 게 무엇인가?

인간의 인식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다. 우리는 무엇을 인식하고 기억하는가? 무엇을 안다고 하는가?

어렵고 복잡한 질문이다.

질문이

삶의 본질에서 사건의 지평선 경계까지 맞닿아 있는 탓이다.

삶이란 무엇이냐는 질문처럼

인류의 가장 오래되고

가장 길게 연구돼

마치 모두가 다 아는 양 여겨지는

그런 질문이다.

그런데 정작 그 답을 하는 이는 드물다.

역시 그 질문이

삶의 본질에서 사건의 지평선 경계까지 맞닿아 있는 탓이다.

동양의 사고는 보다 본질적이다.

욕망을 부인하지 않고,

그 욕망을 본질로 보고

인간이 갖는 모든 질문에 답을 찾는다.

그 동양적 사고에 기초하면

사람의 본질은 동물이다.

동물은 생존과 번식이 본질적 목적이다.

간단히, 살아남는 것이다.

살아남아 전하는 것이다.

자식을 낳아 종족을

자신 속의 DNA를

자신의 삶의 흔적을, 기억을

그 흔적과 기억이

영원히 살아남도록 자자손손 전하는 것이다.

동양에서 안다는 것은

이 같은 삶과 죽음의 순환 고리에 순응하는 것이다.

그 고리 속에

새로운 삶과 새로운 죽음이

끊임없이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처음 안다는 뜻의 지(知)를 보고

스스로 물었다.

화살 시(矢)과 입(口)이 어찌 ‘안다는 것’을 대변할까?

앞에 언급한 사족

삶의 순환에 순응키로 하면서

그 오의를 조심씩 알아가고 있다.

삶의 지식은 ‘생존’(生存:살아 존재하는 것) 그 자체라는 사실이다.

지식은 바로 생존이다.

지(知)는 갑골자에도 등장하는 오래된 글자다.

본래

아들(子)이 화살(矢)과 입(口)이 함께 있었다.

한편의 동영상 같은 글자다.

아들에게 화살에 대해 이야기 해주는 모양이다.

 

 

화살은 무기다.

남을 죽이고

동물을 사냥하는 것이다.

바로 원시수렵 사회 속

생존의 도구다.

 

 

지식은 이 화살에 대한 이야기를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식에게

해주는 것이다.

자식에게만 전하는 생존의 비법이 바로 알 지(知)자에 담긴 의미다.

지혜의 지(智)는 본래 지(知)와 같이 쓰였다.

자신만이 아는 생존의 비법을

알려주고

이를 전수 받아

안다는 게 바로 지(智)요, 지(知)였던 것이다.

 

 

노자는 그래서

생존에 대한 지식 탓에

죽음에 대한 지식이 생겼다 했고,

공자는 그래서

진정 안다는 것은 모르는 것을

안다는 것이라 했다.

왕양명은 그래서

행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아는 게

좋은 앎, 양지(良知)라 했다.

모두

안다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사상의 지평선까지 끌고가

얻어낸 답변들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