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성실(诚实), 말이 이뤄지도록 노력하는 것.

성실이 끝에이르면, 하늘의 도와 맞닿는다.

 

"至誠之至, 通呼神明" (지성지지, 통호신명)

 

공자집어 효본에 나오는 말이다.

 

문장 그대로의 뜻은 '성실의 극에 다다르면, 신명함을 이룬다'는 것이다.

 

'성'이라는 말이 무겁다.

 

성의 한자는 말씀 언(言)과 이룰 성(成)이 합쳐진 회의자다. 뜻은 간단히 말이 이뤄졌다는 뜻이다.

 

동양에서 성은 하늘의 도다. 하늘만이 그 말이 다 이뤄진다.

 

옛 현인들은 땅의, 인간의 도는 '성지'(誠之)라 했다. 말이 이뤄지도록 노력한다는 의미다.

 

인간은 말을 다 이루면 살 수 없다. '그저 그렇게 되려고 노력할 뿐이다'라는 의미다.

 

다시 본문의 말을 보면, 그 의미가 분명해 진다.

 

성지, 인간의 도는 마지막에 이르면 신통해진다는 의미다. 신의 밝음과 상통하게 된다는 뜻이다.

 

신의 밝음이란 무엇인가? 하늘의 도다.

 

하늘의 도는 앞에 이야기 했듯 '성'이다. 말이 다 이뤄진 것이다.

 

인간의 도가 지극에 다다르면 하늘의 도에 가까워진다는 의미다. 신명의 경지에 오른다는 것이다.

 

다른 누구보다 요즘 시대 조급하기만 한 우리 국민들에게 꼭 필요한 말이다 싶다.

 

본래 진리란 그 답이 분명히 정해져 있다.

 

우리 가운데 과연 그 누가 '선이 무엇이고, 악이 무엇인지?' 모르는 이가 있을까?

 

그런데 우리는 다시 한 번 확인해야만 직성이 풀린다.

 

진리란 이렇게 그 끝이 분명한데, 그래서 그저 성실의 길을 가기만 하면 되는 데 우리는 가기도 전에 그 끝을 보자고 한다.


그 끝을 먼저 확인해주면 그 때야 간다고 한다.

 

하지만 가보지 않고 어찌 그 끝을 알까?

 

그리고 그 끝은 이미 하늘에 펼쳐져 있는데 ….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