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1인당 GDP 1만달러 시대 진입

2019년 12월말 기준 처음으로 돌파

1만263달러741센트(7만 892위안)

 

중국의 1인당 GDP가 2019년 10,263.741달러(7만 892위안)에 달했다.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1만달러 시대에 진입한 것이다.

 

이는 약 20년 만에 10배로 늘어난 것이다. 2020년 중국은 전 국민이 중진국 생활 수준에 도달한다는 의미의 샤오캉 사회 완성을 선언해야 한다.

이번 1인당 GDP 1만 달러 돌파로 샤오캉 사회 완성에도 녹색등이 켜진 셈이다.

하지만 27일 중국 국내외 매체들의 분석을 보면 이 같은 화려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의 내일은 암담하다.

 

무엇보다 중국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국민들의 자유에 대한 욕구가 커졌지만 정치적 자유 수준은 오히려 퇴보했다는 게 여러 국제 평론가들의 평가다.

홍콩에서의 반 중국 시위는 중국의 미래 모습일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국내 여러 이익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기 시작을 해 안으로 사회 계층간의 묘한 피로감이 쌓여가고 있다. 여기에 중국 외교도 우호적이지 않다. 무엇보다 미국과 관계가 최악이다. 대만과의 양안관계도 흔들리고 있다.

 

특히 2020년 중국 경제는 역대 최악의 복병을 만났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그 것이다.

코로나 19의 창궐로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 공장들이 멈춰서 있기 때문이다. 시진핑 주석의 독려로 하나 둘씩 가동을 시작하고 있다고 하지만, 코로나19의 위세 앞에 얼마나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무엇보다 지난해 중국의 GDP 성장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1인당 GDP 1만 달러 돌파는 기억할 만한 일이다. 이는 전년도 2018년 9,982.356달러 대비 2.7% 증가한 수치다.  미국과 무역전쟁으로 세계 경제 무역둔화, 국내 구조적 문제 등 하방 압력이 상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한 채 성장한 것이다.

 

또한  1957년 68.243달러와 비교한다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룬 것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한편  중국 GDP 규모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로,  3위 일본의 2.8배에 상당하는 크기로 성장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