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터 “미중 협상후에도 중국 행태 바뀌지 않을 것”

외국기업에 기술이전 강요, 국영기업 보조금 지원 행위 등 비판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에서 1차 협상을 마무리하면서 두 나라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한숨을 돌렸다. 하지만 서방 언론들은 중국이 미국과 무역협상을 최종적으로 마무리한다고 해도 기술 이전 강요와 국유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 중국의 근본적인 행태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국 로이터통신은 15일(현지시간) 최근 협상 상황을 파악한 소식통이 "중국이 주도하는 경제모델에 대한 미국의 핵심 요구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그중에 외국 기업에 대해 불공정한 사업 수행 대가로 기술 이전을 강요하고, 국유 기업에 대한 불공평한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전 세계 시장의 과잉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라고 보도했다.

 

무역 전문가들과 중국 시장 애널리스트들은 11월 중순 미중 정상회담 전까지 세부 사항에 대한 미중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성사되더라도 중국은 더 난이도가 높은 '2단계' 협상에 필요한 양보를 하기보다 오히려 미국의 높은 관세를 감수할 것이라는 것이다.

 

2009년 당시 태평양투자관리공사(PIMCO)에 근무했던 모하메드 엘에리안(Mohamed El-Erian)은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저성장과 저금리의 구도를 신창타이(新常态·중국경제의 새로운 상태를 뜻함)라는 말로 표현했다고 보도는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10년 뒤인 2019년에는 미국이 중국의 대다수 품목에 대해 높은 관세를 무기한 부과하고, 중국도 다수의 미국 상품에 대해서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는 구도가 마련될 것”이라며 “이는 글로벌 경제에 지속적으로 부담을 주고, 베이징 측의 행태도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