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1~5월 전국 신축 상품주택 판매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

 

중국의 올 1~5월 전국 신축 상품주택의 판매 면적과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 3.8% 감소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는 1~4월과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부동산이 여전히 활황세 진입을 앞두고 있다고 평했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부동산 시장 동향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1~5월 전국 신축 상품주택의 판매 면적과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 3.8% 감소해 14월과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일부 1선 및 2선 도시에서는 시장 거래가 비교적 활발하여, 상품주택 판매 면적과 판매액이 증가세를 보였다. 상품주택 재고도 다소 줄어들었으며, 5월 말 기준 상품주택 미판매 면적은 4월 말보다 715만㎡ 감소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국가통계국 대변인이자 국민경제종합통계사 사장인 푸링후이는 “올해 들어 각종 부동산 안정화 정책이 빠르게 시행되면서, 부동산 시장은 계속해서 하락세를 멈추고 안정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고 말했다.

그는 “5월 상황을 보면,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운행되었고, 전국 70개 대중도시의 주택 가격 하락폭은 지속적으로 축소되었으며, 상품주택 재고도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각종 부동산 안정화 정책의 효과로 인해 부동산 판매는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58안쥐커(安居客) 선행지수에 따르면, 5월 주택 검색 열기 확산 지수는 전달 대비 0.14포인트 상승했고, 동시에 매물의 게시 기간 확산 지수는 0.5에서 0.38로 하락했다.

그러나 가격 측면에서는, 신축 상품주택 가격의 전년 대비 하락폭이 계속 줄어들고는 있지만, 전월 대비로는 가격 하락세가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상하이 이쥐(易居) 부동산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5월 전국 70개 도시의 신축 상품주택 가격지수는 전달 대비 0.1% 하락에서 0.2% 하락으로 확대되었고, 전국 70개 도시의 기존주택 가격지수 하락폭도 확대되어 여전히 ‘가격 인하를 통한 거래 유도’ 국면에 머물렀다.

푸링후이는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조정 중에 있으며, 시장 신뢰 회복이 아직 진행 중이고, 수요·공급 관계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를 막고 안정 회복을 위해서는 계속해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상하이 이쥐 부동산연구원 부원장 옌웨진은 “현재의 하락폭은 작년, 특히 작년 1~3분기와 비교하면 여전히 통제 가능한 수준이며, 이는 전년 대비 하락폭 지표가 계속 개선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이전의 안정세가 일부 새로운 저항에 부딪히고 있는 만큼, 각 지역은 잠재 수요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거래 지표 개선을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58안쥐커 연구원 원장 장보는 “5월 주택 가격이 단기적으로 변동을 보였지만,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 멈춤과 안정 회복'이라는 전체적 흐름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6월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 저지와 안정 회복을 보다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정책 신호가 나왔으며, 이는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