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1분기 규모 이상 문화산업 매출 ‘약 3조 4000억 위안’...전년보다 6% 늘어

 

‘약 3조 4천억 위안’

한화로 약 672조 3,160억 원 가량이다. 올 1분기 중국의 일정 규모 이상 문화 기업의 영업수익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 이상 증가한 수치다.

중국의 문화산업은 두 자릿수의 급성장기를 지났지만, 안정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을 올 1분기 문화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규모 이상 문화 기업의 영업수입은 약 3조 4천억 위안(약 672조 3,160억 원)에 달했다. 1분기 전국 규모 이상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이하 "문화 기업")의 영업수입은 3조 3,939억 위안(약 671조 1,09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고, 이는 2024년 연간 증가율보다 0.2%p 빠른 수준이었다.

분야별로 보면, 문화 핵심 분야의 영업수입은 2조 3,120억 위안(약 457조 1,7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으며, 이는 2024년 연간 증가율보다 0.8%p 빠른 수준이었다. 그중에서도 뉴스 정보 서비스, 창의 디자인 서비스, 콘텐츠 창작 및 제작 등 3개 주요 업종의 영업수입 증가율이 두드러졌으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0.5%, 8.6%, 7.5% 증가했다.

중국 매체에 국가통계국 사회과학문화사(社科文司)의 수석 통계사 장펑(张鹏)은 2025년 1분기 전국 규모 이상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 데이터를 해석하며, 1분기 문화 기업의 발전이 안정 속에서 상승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올 1분기에는 문화 신업태 특성이 뚜렷한 16개 세부 업종이 영업수입 1조 4,846억 위안(약 293조 5,351억 원)을 실현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한 수치로, 전체 규모 이상 문화 기업보다 6.3%p 빠른 증가율이었다.

문화 신업태 산업은 전체 규모 이상 문화 기업의 영업수입 증가에 83.5%의 기여율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오락용 지능형 무인비행기 제조, 기타 문화예술업, 기타 문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디지털 출판, 인터넷 광고 서비스 등 5개 세부 업종은 각각 36.8%, 24.2%, 23.1%, 19.8%, 16.4%의 높은 전년 대비 증가율을 기록했다.

문화 서비스업이 ‘버팀목’ 역할을 뚜렷이 했다. 1분기 문화 서비스업은 영업수입 1조 8,569억 위안(약 367조 1,462억 원)을 실현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한 수치로, 2024년 연간 증가율보다 2.0%p 빨랐다.

문화 서비스업은 규모 이상 문화 기업 전체 영업수입의 54.7%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p 상승한 수치였다. 또한, 전체 규모 이상 문화 기업의 영업수입 증가에 83.0%의 기여율을 보였고, 전체 영업수입 증가를 5.1%p 끌어올렸다. 문화 도·소매업과 문화 제조업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 1.6%의 영업수입 증가를 실현했다.

문화 기업의 수익성이 꾸준히 향상되었다. 비용 절감 및 효율 제고, 일부 문화 서비스업 업종의 생산·운영 호조 등의 영향으로, 1분기 규모 이상 문화 기업의 총이익은 2,744억 위안(약 54조 2,54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1% 증가했다. 영업수입 대비 이익률은 8.09%로, 전년 동기 대비 1.43%p 상승했다. 업종 중분류별로 보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인터넷 정보 서비스, 인터넷 문화 플랫폼, 정보 서비스 단말 제조 및 판매 등 4개 업종이 수익 견인 역할을 뚜렷하게 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