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9억 달러’
한화로 56조 5,238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분기 전산업 대외 직접 투자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 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대외 투자액이 크게 늘었다. 글로벌 사회 중국 경제의 영향력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의 중국의 대외 투자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3월까지, 중국의 전 산업 대외 직접투자는 40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으며, 그중 비금융 분야의 대외 직접투자는 356.8억 달러로 4.4% 증가했다. 특히 ‘일대일로’ 공동 건설 국가에 대한 비금융 분야 직접투자는 88.7억 달러로 15.6% 증가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 허야둥은 1분기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도 중국의 비금융 분야 대외 직접투자 규모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3월까지 중국의 대외 수주 공사 완공 매출은 341.8억 달러로 5.5% 증가했으며, 신규 계약 금액은 586.7억 달러로 26%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이 중 중국 기업이 ‘일대일로’ 국가에서 수행한 수주 공사의 완공 매출은 275.2억 달러로 4.1% 증가했고, 신규 계약 금액은 471.4억 달러로 16.3% 증가했다.
쑤상은행 특별연구원 푸이푸는 ‘증권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일대일로’ 공동 건설 국가들이 중국의 대외 투자 확대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이는 중국이 수출 제품 구조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장려하는 노력의 일환”이라 설명했다.
대외경제무역대학 국가대외개방연구원 교수 천젠웨이는 《증권일보》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대외 수주 공사의 신규 계약 금액이 빠르게 증가한 이유로 글로벌 인프라 수요의 회복과 전략적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추진을 들었다. 그는 많은 ‘일대일로’ 국가들이 인프라 업그레이드 및 상호 연결 프로젝트에 대한 절박한 수요를 가지고 있어 중국 기업에 넓은 시장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중국 기업들이 프로젝트 수행 능력, 기술적 강점, 금융 조달 능력 등에서 종합적인 경쟁력을 지니고 있어 글로벌 수주 시장에서 더 많은 주문을 받고 있으며, 이는 중국 기업이 세계 경제 거버넌스와 인프라 상호 연결에 깊이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향후 중국의 대외 직접투자 흐름에 대해 천젠웨이는 올해 중국의 대외 투자 협력이 안정 속 성장 기조를 이어가며, 투자 품질과 효율성에 더 중점을 둘 것이라 전망했다.
푸이푸는 국제 정세에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 각국 및 지역 간 발전 협력 강화는 여전히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며, 중국의 대외 개방 원칙도 결코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의 대외 투자가 앞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