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국가세무총국, 춘절 연휴 기간 가구 인테리어 제품 판매 수익 동기 대비 15.5% 증가

 

2025년 새해 설을 맞아 적지 않은 중국 가정이 가구 등 집안 인테리어를 대거 새로 개비한 한 조사됐다.

중국에서 설 연휴기간 가구 및 인테리어 관련 상품 판매 수익이 전년동기 대비 16% 가까이 급증했다. ‘2025년 내수 시장 확대’를 최대 과제로 삼고 있는 중국 당국이 소비진작을 위해 대거 지원 방안을 내놓은 덕이다.

다만 이 같은 일시적 시기의 소비가 쏠리는 현상은 여전히 중국 소비가 당국의 지원에 적극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증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최근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춘제, 중국 설 연휴 기간 부가가치세 계산서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소비재 ‘구제품 교체 신규 구매’ 정책의 지원 아래 가전·가구류 상품 소비 증가율이 높았다. 특히 건축 및 장식 자재 등 가정 인테리어 관련 상품의 판매 수익이 전년 대비 15.5% 증가했다.

중국은 지난해 연말부터 ‘이구환신’(옛 것을 새 것으로 교환하는 것을 지원) 정책을 펼치며 일반 가정의 소비를 독려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자동차 판매 등이 이 정책 덕에 나름대로의 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춘제 연휴 기간 전국 소비 관련 업종의 일평균 판매 수익이 지난해 춘제 연휴 대비 10.8% 늘었다. 이 중 상품 소비와 서비스 소비는 각각 9.9%와 12.3% 증가했다. 특히 소비재 ‘구제품 교체 신규 구매’ 정책의 지원으로 가전·가구류 상품 소비 증가율이 높았다. 관광·문화·예술·체육 서비스 수요가 활발했고, 곡물·식품 소비도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다.

소비자들의 ‘신제품 교체’ 열기가 뜨거웠으며, 가전제품 및 음향·영상 기기의 판매 수익이 전년 대비 166.4% 증가했다. 특히 TV 등 가정용 시청각 기기의 판매 수익은 226.8% 증가했다.

또한, 스마트폰·스마트워치 등 디지털 제품이 신규 구매 보조금 지원 범위에 포함되면서 통신기기 판매 수익이 전년 대비 181.9% 증가했다. 건축 및 장식 자재 등 가정 인테리어 관련 상품의 판매도 빠르게 증가해 전년 대비 15.5% 성장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